$\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리튬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of Lithium Batterie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Short Circuit Current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2, 2016년, pp.114 - 122  

심상보 (한국소방안전협회) ,  이춘하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김시국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리튬배터리의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대표적인 리튬배터리 종류인 리튬폴리머배터리리튬이온배터리를 실험시료로 선정하였다. 고온에 따른 폭발위험성 측정결과 리튬폴리머배터리의 경우 평균 $170^{\circ}C$,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평균 $187^{\circ}C$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단락전류에 따른 온도상승측정결과 보호회로가 정상작동 할 경우 과전류를 제한하여 온도상승이 거의 없었지만, 보호회로가 고장 났을 경우 리튬폴리머배터리의 경우 평균 $115.7^{\circ}C$ 및 리튬이온배터리 경우 평균 $80.5^{\circ}C$까지 상승하여 화재 및 화상 위험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short circuit current of Lithium batteries. This study selected the typical types of Li-polymer batteries and Li-ion batteries as the test samples. The result of explosion risk assessment due to the high temperature sh...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리튬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을 분석하고자 대표적인 리튬배터리의 종류인 리튬폴리머배터리 및 리튬이온배터리를 각각 용량별로 실험시료로 선정하였고, 고온에 따른 폭발위험성 측정 및 단락전류 인가 시 보호회로의 정상작동 여부에 따른 온도상승측정 실험을 실시하여 리튬배터리의 화재위험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리튬배터리의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을 측정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실험은 사용상 부주의 및 기기고장 등에 의해 기기 내부단락이 발생된 상태를 가정하였고, 완충전된 리튬배터리의 내부용량에서 발생되는 단락전류에 따른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3은 단락전류에 따른 온도상승측정 실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실험시료인 리튬배터리를 이용하여 단락회로를 구성하고 600 s 동안 단락전류를 인가하였다.
  • 본 실험은 사용상 부주의로 인해 고온의 복사열을 방출하는 전열기 및 전기기기, 전기장판 및 온돌바닥의 이불속, 고온의 밀폐환경 등에 리튬배터리가 장시간 노출될 경우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UL 1642 (standard for lithium batteries)(14) 및 KS C 8541의 리튬배터리 가열시험기준에 의하면 초기온도 20 ± 5 °C 에서 5±2 °C/min 속도로 130 °C까지 가열한 후 130 °C에서 60분간 유지하였을 때 발화 및 폭발이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리튬배터리에 사용된 금속리튬의 특징은? 이에 따라 전원장치로 사용되는 리튬배 터리의 안전성 확보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안전대책이지만, 리튬배터리 관련 폭발 및 화재 사고가 발생되어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도되고 있다. 초기 리튬배터리는 금속리튬을 사용하였는데 리튬의 경우 가장 가벼운 금속원소로 화학적 반응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공기 중에 노출 시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을 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리튬 이온을 사용하는 전지를 개발하였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리튬배터리가 이해 해당된다.
본 논문에서 지금까지 리튬배터리 사고원인으로 인증 받지 않은 저가형 중국산 리튬 배터리 사용을 문제로 지적한 이유는? 최근 발생된 보조배터리 폭발사고, 전자 담배 배터리 폭발사고, 노트북 배터리 폭발사고, 스마트폰 배터리 폭발 및 화재사고, 스마트폰 배터리 부풀음 사고로 인한 무상교체 등 국내 · 외적으로 리튬배터리 위험 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리튬배터리 사고원인의 대부분은 인증 받지 않은 저가형 중국산 리튬 배터리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즉, 인증 받은 제품의 경우 과충전, 과방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있는 보호회로(protection circuit module; PCM)를 내장 하고 있기 때문에 자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인증 받은 리튬배터리 제품도 사용상 부주의 및 사고 등에 의해 보호회로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과충전 및 과방전에 의한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이 나타날 수 있지만, 현재까지 리튬배터리의 위험성에 비해 다각적인 방면에서의 세부적인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기존 리튬배터리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그러나 인증 받은 리튬배터리 제품도 사용상 부주의 및 사고 등에 의해 보호회로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과충전 및 과방전에 의한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이 나타날 수 있지만, 현재까지 리튬배터리의 위험성에 비해 다각적인 방면에서의 세부적인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기존 리튬배터리의 위험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송곳과 같은 물리적 충격에 의한 내부단락에 따른 폭발및 화재 위험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7-9) . 또한 단락전류 인가 시 보호회로 유 · 무에 따른 온도상승으로 인한 열적특성만 관찰하였을 뿐 (10) 보호회로의 정상작동 여부에 따른 단락전류의 세부적인 연구가 미비하였고, 고온환경 노출 시 폭발위험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igieco, "2015 The First Half of Mobile Trend", Digieco Report Issue&Trend, pp. 1-44 (2015). 

  2. N. H. Kim, "Investigation for Cathode of Overcharged Li-ion Battery", The Graduate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Thesis, pp. 1-4 (2011). 

  3. K. M. Lee, "The Improvement of Li-ion Secondary Battery's Safety for Mobile Phone",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Younsei University, Academic Thesis, pp. 1-2 (2007). 

  4. http://gspres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20914. 

  5. S. Y. Kim, D. H. Han, S. S. Chun, D. W. Yi, S. S. Kim, J. T. Lee and C. H. Lee, "Experimental Study on Fire Risk Assessment Method for Lithium-ion Battery of Laptop Computer", Proceedings of 2008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513-517 (2008). 

  6. J. G. Oh, G. T. Lee, C. S. Park, Y. M. Yun, Y. J. Cho and Y. I. Seo, "A Study of a Battery Explosion Case in Cellular Phone", Korean Journal of Forensic Science, Vol. 9, No. 1, pp. 66-71 (2008). 

  7. Y. C. Lee and H. G. Kim, "Fire of Battery, Caused by External Shocks", Proceedings of 2015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Vol. 2015, No. 4, p. 152 (2015). 

  8. S. Kim and Y. S. Lee, "Effect of Center Pin in Free Fall Test for a Cylindrical Li-ion Cell", Proceedings of 2010 Spring Annual Conferenc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A, Vol. 39, No. 6, pp. 639-644 (2015). 

  9. S. H. Lee, J. T. Park and Y. G. Park, "A Study on the Riskiness of Ignition at the Mobile Phone Batter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Vol. 6, No. 1, pp. 31-36 (2005). 

  10. C. H. Lee, S. W. Jee and S. K. Kim, "A Study on the Explosion Hazard by Spark Discharge of the Lithium-Ion Batte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4, No. 3, pp. 14-20 (2010). 

  11. KS C 8541, "Lithium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General" (2003). 

  12. KS C IEC 61960,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Containing Alkaline or Other Non-acid Electrolytes-Secondary Lithium Cells and Batteries for Portable Applications" (2008). 

  13. UL 1642, "Standard for Lithium Batteries"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