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8년 가을철(9월 5일~10일, 6일간) 수도권대기오염집중측정소에서 미세먼지와 함께 블랙카본(BC, black carbon)의 농도 및 코팅두께를 파악하였다. 가을철 $PM_{10}$$23{\pm}12.6{\mu}g/m^3$, $PM_{2.5}$$12{\pm}5.8{\mu}g/m^3$으로 다른 계절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Aethalometer로 측정한 BC는 $0.73{\pm}0.43{\mu}g/m^3$, SOCEC로 측정한 EC(elemental carbon)는 $0.34{\pm}0.18{\mu}g/m^3$, SP2로 측정한 rBC(refractory-BC)는 $0.32{\pm}0.18{\mu}g/m^3$으로 측정방법에 따른 농도차이를 보여주었으나, 시계열 분포와 일 변동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도권대기오염집중측정소에서 측정된 블랙카본은 자동차와 같은 일차오염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주간과 야간의 출퇴근으로 인한 교통 혼잡 시간대에 높은 특징을 보였다. SP2로 측정한 $PM_{1.0}$ 단일입자에 대한 블랙카본의 개수농도는 84 nm에서 최고치로 관측되었으며, 코팅두께는 43 nm로 산정되었다. 특히 블랙카본 입자의 직경이 작을수록 코팅두께는 증가하였고, 입자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코팅두께는 작아지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ntration and coating thickness of black carbon (BC) were measured along with fine dust in the fall of 2018, a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tensive Monitoring Station (SIMS). In fall, the concentration of $PM_{10}$ and $PM_{2.5}$ was $23{\pm}12.6{\mu}g/m^3$...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BC의 농도 및 입경분포를 파악하고자 서울 도심에 위치한 수도권대기오염집중측정소에서 가을철 초미세먼지(PM2.5)와 BC를 연속 측정하였다. 동시에 광학적투과법, 열광학적방법 그리고 레이저 백열측정법을 통해 측정한 BC의 농도를 비교하여 측정방법간의 차이를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랙카본의 특징은? 내연기관 및 소각 등의 연소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블랙카본(BC, Black Carbon) 및 검댕입자(Soot particle)는 빛을 산란시키기도 하지만 주로 흡수하여 보유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지구기후복사에너지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nd et al. 2013).
미세먼지와 블랙카본의 일변동 분포를 분석한 결과는? 미세먼지와 블랙카본의 일변동 분포를 분석한 결과, 교통 혼잡 시간대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 혼잡 시간대에는 PM2.5가 평상시의 30 %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블랙카본은 약 50 % 이상 증가하여, 자동차와 같은 이동 오염원에 의한 영향으로 PM2.5에 대한 블랙카본의 기여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도시지역 BC 및 검댕입자의 오염원은? 도시지역에서는 BC 및 검댕입자의 오염원으로서 자동차를 주목할 수 있다. 자동차엔진에서 가솔린과 디젤기관 연료원의 주성분은 C8H18, C12H26이며, 이론적인 완전연소 조건에서는 대부분 CO2와 H2O로 분해되지만 연료대비 산소가 부족하거나 연료와 산소의 불안정한 혼합으로 인한 불완전연소 조건에서는 탄화수소화합물이 유기 및 무기탄소와 같은 탄소성화합물로 배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ungardner D, Kok G, Raga G. 2004. Warming of the Arctic lower stratosphere by light absorbing particles, Geophys. Res. Lett. 31(6). 

  2. Bond TC, Streets DG, Yarber KF, Nelson SM, Woo JH, Klimont Z. 2004. A technologybased global inventory of black and organic carbon emissions from combustion, J. Geophys. Res. 109, D14203. 

  3. Bond TC, Bergstrom RW. 2006. Light Absorption by Carbonaceous Particles: An Investigative Review,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40(1): 27-67. 

  4. Bond TC, Doherty SJ, Fahey DW, Forster PM, Berntsen T, Deangelo BJ, Flanner MG, Ghan S, Karcher B, Koch D, Kinne S, Kondo Y, Quinn PK, Sarofim MC, Schultz MG, Schulz M, Venkataraman C, Zhang H, Zhang S, Bellouin N, Guttikunda SK, Hopke PK, Jacobson MZ, Kaiser JW, Klimont Z, Lohmann U, Schwarz JP, Shindell D, Storelvmo T, Warren SG, Zender CS. 2013. Bounding the role of black carbon in the climate system: A scientific assessment, J. Geophys. Res. Atmos. 118, 5380-5552. 

  5. Chow JC, Watson JG, Chen LWA, Arnott WP, Moosmuller H, Fung K. 2004. Equivalence of Elemental Carbon by Thermal/Optical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with Different Temperature Protocols, Environ. Sci. Technol. 38(16): 4414-4422. 

  6. Eckbreth AC. 1977. Effects of laser-modulated particulate incandescence on Raman scattering diagnostics, Journal of Applied Physics 48(11): 4473. 

  7. Fung K. 1990. Particulate Carbon Speciation by MnO2 Oxidation,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12(1): 122-127. 

  8. Gysel M, Laborde M, Olfert JS, Subramanian R, Grohn AJ. 2011. Effective density of Aquadag and fullerene soot black carbon reference materials used for SP2 calibration, Atmos. Meas. Tech. 4, 2851-2858. 

  9. Han JH, Bahng BJ, Lee MH, Yoon SC, Kim SW, Chang LS, Kang KS. 2015. Semi-continuous Measurement of $PM_{2.5}$ OC and EC at Gosan: Seasonal Vari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High-concentration Episodes,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3): 237-250. [Korean Literature] 

  10. Hansen ADA, Rosen HJ, Novakov T. 1983. The aethalometer -An instrument for the realtime measurement of optical absorption by aerosol particl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JUN): 191-196. 

  11. Hitzenberger R, Petzold A, Bauer H, Ctyroky P, Pouresmaeil P, Laskus L, Puxbaum H. 2006. Intercomparison of Thermal and Optical Measurement Methods for Elemental Carbon and Black Carbon at an Urban Location, Environ. Sci. Technol. 40(20): 6377-6383. 

  12. Knox A, Evans GJ, Brook JR, Yao X, Jeong CH, Godri KJ, Sabaliauskas K, Slowik JG. 2009. Mass Absorption Cross-Section of Ambient Black Carbon Aerosol in Relation to Chemical Age, Aerosol Science and Technolgy, 43(6): 522-532. 

  13. Kondo Y, Sahu L, Kuwata M, Miyazaki Y, Takegawa N, Moteki N, Imaru J, Han S, Nakayama T, Kim Oanh NT, Hu M, Kim YJ, Kita K. 2009. Stabilization of the mass absorption cross section of black carbon for filter-based absorption photometry by the use of a heated inlet, Aerosol Sci. Technol. 43(8): 741-756. 

  14. Laborde M, Mertes P, Zieger P, Dommen J, Baltensperger U, Gysel M. 2012. Sensitivity of the Single Particle Soot Photometer to different black carbon types, Atmos. Meas. Tech. 5. 1031-1043. 

  15. Lee SB, Bae GN, Park SM, Jung SG. 2007. black carbon pollution level at a roadside of seoul in spring,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3(4): 466-477. [Korean Literature] 

  16. Lim KT, Kim SJ, Kang MG.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bon Black to Reactive Oxygen Species and Inflammation Reac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A. [Korean Literature] 

  17. Melton LA. 1984. Soot diagnostics based on laser heating, The Optical Society, 23(13): 2201-2208. 

  18. Moteki N, Kondo Y, Miyazaki Y, Takegawa N, Komazaki Y, Kurata G, Shirai T, Blake DR, Miyakawa T, Koike M. 2007. Evolution of mixing state of black carbon particles: aircraft measurements over the western Pacific in March 2004, Geophys. Res. Lett. 34, L11803.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6. The study on the source contribution of pollut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air parcel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Literature]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7. Supersite operation report in 2016. [Korean Literature] 

  21. Oh J, Park JS, Ahn JY, Choi JS, Lim JH, Kim HJ, Han JS, Hong YD, Lee GW. 2014. Study on the Behavior of the Black Carbon at Baengnyeong Island of Korea Peninsular, Korea, J.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4(2): 67-76. [Korean Literature] 

  22. Oh J, Park JS, Lee SU, Ahn JY, Choi JS, Lee SD, Lee YH, Kim HJ, Hong YD, Kim JH, Hong JH, Kim JH, Kim SW, Lee GW. 2015. Characteristics of Black Carbon Particles in Ambient Air Using a Single Particle Soot Photometer(SP2) in May 2013, Jeju,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31(3): 255-268. [Korean Literature] 

  23. Park JS, Song IH, Park SM, Shin HJ, Hong YD. 2015a. The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Variations of OC and EC for $PM_{2.5}$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14, Korea, J. Environ. Impact Assess, 24(6): 578-592. [Korean Literature] 

  24. Park JS, Song IH, Park SM, Shin HJ, Hong YD. 2015b.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High Concentration Ev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Spring of 2014 using Aerosol Mass Spectrometers, Korea, J. Korean Soc. Environ. Analysis. 18(1): 12-25. [Korean Literature] 

  25. Park SM, Park JS, Song IH, Shin HJ, Hong YD, Kim JH. 2015. Characteristics of Oxygenated-VOCs and Oxidation of Organic Component in PM1.0 at an Urban Site of Seoul during June, 2014, Korea, J.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5(3): 207-218. [Korean Literature] 

  26. Park SS, Yu GH, Lee SI, Bae MS. 2018. Aethalometer-based Estimate of Mass Absorption Cross Section of Black Carbon Particles at an Urban Site of Gwangju, J. Korean Soc. Atmos. Environ. 34(5): 727-734. [Korean Literature] 

  27. Schwarz JP, Gao RS, Fahey DW, Thomson DS, Watts LA, Wilson JC, Reeves JM, Darbeheshti M, Baumgardner DG, Kok GL, Chung SH, Schulz M, Hendricks J, Lauer A, Karcher B, Slowik JG, Rosenlof KH, Thompson TL, Langford AO, Loewenstein M, Aikin KC. 2006. Singleparticlez measurements of midlatitude black carbon and light-scattering aerosols from the boundary layer to the lower stratosphere, J. Geophys. Res. 111, D16. 

  28. Schwarz JP, Spackman JR, Fahey DW, Gao RS, Lohmann U, Stier P, Watts LA, Thomson DS, Lack DA, Pfister L, Mahoney MJ, Baumgardner D, Wilson JC, Reeves JM. 2008. Coatings and their enhancement of black carbon light absorption in the tropical atmosphere, J. Geophys. Res. Atmos. 113. D03203. 

  29. Shiraiwa M, Kondo Y, Iwamoto T, Kita K. 2010. Amplification of Light Absorption of Black Carbon by Organic Coating,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44(1): 46-54. 

  30. Stephens M, Turner N, Jon SB. 2003. Particle identification by laser-induced incandescence in a soildstate laser cavity, Appl. Opt. 42(19): 3726-3736. 

  31. U.S. Department of Energ. 2017. Single-Particle Soot Photometer (SP2) Instrument Handbook, DOE/SC-ARM-TR-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