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의 어원 연구
Etymology of Kimchi: Philological Approach and Historical Perspectiv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2, 2019년, pp.112 - 128  

백두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kimchi' can be trac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wordforms 'dihi' (디히), 'dimchʌi' (딤?), and 'thimchʌi' (팀?) in ancient Korean texts. As native Korean words, the 'dihi' word line ('dihi', 'dii', 'jihi', and 'ji') constitutes an old substratum. This word line co...

주제어

표/그림 (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근원은 무슨 언어인가? ‘김치’라는 낱말의 근원이 한자어 ‘沈菜’에 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2)
沈菜가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된 용어인 이유는 무엇인가? Cho(1994)은 ‘김치류 명칭의 유래’라는 항목에서 김치류를 중국의 옛 경서에서 ‘菹’라고 했고, ‘漬’는 한국에서 독특하게 사용한 것이라 했다. ‘沈菜’는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된 용어였는데 이것은 아마 소금에 절인 채소류가 국물이 나와 그 속에 잠기게 되는 김치 담그는 방법이 우리나라에만 있어서 이 한자어가 생겨난 것이라 했다.
‘딤 ·짐 ’를 사용한 ‘딤 ’ 계열 문헌과 ‘팀 ·침 ’를 사용한 ‘팀 ’ 계열 문헌의 차이는 무엇인가? Jeong(2008)은 ‘딤 ·짐 ’를 사용한 ‘딤 ’ 계열 문헌과 ‘팀 ·침 ’를 사용한 ‘팀 ’ 계열 문헌 두 가지로 나누고, 두 계열 문헌의 성격이 서로 다르다고 보았다.『 Hunmongjaheo (訓蒙字會)』,『Sinjeungyuhap (新增類合)』 , 『Guhwangchwalyo (救荒撮要)』,『Doosikyeonghumbangeonhae (痘瘡經 驗方諺解)』 등의 ‘딤 ’ 계열 문헌은 어린이나 초보학습자를 위해 간행한 책이거나 아니면 일반 서민들이 쉽게 보게 하기 위해 한글로 언해된 책들이다. 반면 ‘팀 ’ 계열 문헌은양반 지식층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16세기 보통 백성들은‘딤 ’가 어디서 온 말인지도 모르고 사용했고, 최세진, 유희춘, 김육 등 양반 지식층은 ‘딤 ’라는 말이 한자어 ‘沈菜’에서 온 것을 알면서도 민간의 언어를 존중하여 ‘딤 ’라고 표기한 것이라 해석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Ahn DH. 2009. The Period of the Appearance of t-palatalization in Korean Central Dialect. Korean, 54:110-136 

  2. Ahn OG. 1989/1996. Etymology Dictionary (어원사전). Northeast Choseon Ethnic, Link Korea Publisher, Korea 

  3. Baek MS. 1998. Looking for Korean Roots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Samkwang Publisher, Korea 

  4. Cheon SY. 1984. Food Name 'Go': Centering on etymological considerations (음식물명어고 (I): 그 어원적 고찰을 중심으로). Thesis, 2:117-138 

  5. Cheon SY. 1990. Arisurigoma (아리수리고마-천소영 어원수상록)]. Culture action Publisher, Korea 

  6. Cho HB. 2009. 100 words of Curious Korean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Yedam Publisher, Korea 

  7. Cho JS. 1994. Historical Review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 Life, 4(2):93-108 

  8. Choi CR. 1987. Words' Origins Buried in the Beautiful Illusion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Linguistics (어학), 14:1-18 

  9. Choi CR. 1989. A Beautiful fork Language (아름다운 민속어원). Shina Publisher, Korea 

  10. Choi CR. 1993. Etymology Walk (어원산책). Hanshin Publisher, Korea 

  11. Choi JS. 2009. The Functions of Hypercorrection and Sound Changes in Progress of the Late 19th Century Regional Dialects of Korean (19세기 후기 국어방언에서 진행중인 음성변화와 과도교정의 개입에 대한 일 고찰). Korean Literature, 46:323-385 

  12. Heo W. 1965/1982. Korean phonology (국어음운학). Jeongeumsa Publisher, Korea 

  13. Heo W. 1993. Korean phonology (국어음운학). Sam Publisher, Korea 

  14. Hong YP. 1997. Korean, Hidden Meaning: Kimchi is a Chinese word, and 'Ji' is a unique word (우리말, 숨은 뜻 7: 김치는 한자어, '지'가 고유어). Country, 191:133-133 

  15. Hong YP. 2008. On the Study of the Korean Ethmology (국어 어원 연구에 대한 관견). Korean Studies, 39:131-158 

  16. Hwang WJ. 1996. The Period of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Process of Initial Settlement (한문자의 수용시기와 초기 정착과정(1)). 한문교육연구, 10:115-149 

  17. Hwang WJ. 2000. A Study on the Early Settlement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The situation before prehistory (한문의 초기 정착과정 연구 (2)-기원 이전의 상황-). Daedong Chinese Literature, 13:89-130 

  18. Jang JH. 1972. History of the Manufacturing of Korean 'Kimchi' (저채류 제조사 -특히 고농서류 (古農書類) 나타난저채류 및 채소류를 중심으로-). National Culture, 6:1-74 

  19. Jeon JH. 1973. Changes in the meaning of 'Gyejip' and 'Anhae' ('겨집'과 '안해'의 의미변천). Kimsayeop Research 

  20. Jeon JH. 1987. Korean Language Lexical Research (국어어휘사 연구).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Korea 

  21. Jeong KR, Jang DJ, Yang HJ, Kwon DY. 2010. Think Again about the Etymology of Kimchi (김치의 어원에 대한 재고). Food Culture Hanmathaneol, 3(1):8-30 

  22. Jeong G. 1992. Achieving a Synthesis Waeoyuhae (제본 집성 왜어유해). Thaehaksa Publisher, Korea 

  23. Jeong SH. 2003. Study of Japanese Studie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조선후기 왜학서 연구). Thaehaksa Publisher, Korea 

  24. Jeong YS. 2008. A Study on the Changes of Kimchi Production Process and names (김치의 제조법과 명칭 변화에 대한 재고찰). Thesis Conllection, 17:93-110 

  25. Joo BD. 2001. Acceptance of Chinese Charaters and Acceptance of Buddhism in Shilla (신라에서의 한문자 수용 과정과 불교 수용). Yeongnamhak, 1:191-224 

  26. Joo BD. 2009. Settlement of Chinese Characters of Shilla in the 6th Century Seen through Job Title, Official Name, Place Name, Person (직명.관등.지명.인명을 통해 본 6세기 신라의 한문자 정착). Lee Gidong Research 

  27. Kang YJ. 2012. A Study on the Etymology of "Kimchi"- Through Compare Korean and Chinese (한중 양국의 김치관련 어휘의 비교를 통해본 우리말 '김치'의 어원 연구: 김치(沈菜)의 沈을 중심으로).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3(53):417-446 

  28. Kim BH. 1980. A Preliminary Study of Korean Etymology (한국어 어원 연구를 위하여).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5:9-33 

  29. Kim HG. 1956. About the (‘겨집’에 대하여). Hangeul, 119:40-49 

  30. Kim MH. 2012. The Research for the Distribution of Changes in the Name of 'Kimchi'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김치' 명칭의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 Dialectology, 16:287-326 

  31. Kim MS. 1997. Korean etymology Dictionary (우리말 어원사전). Taehaksa Publisher, Korea 

  32. Kim IH. 2001. Choseon Language Source Manual (조선어어원편람 상). Institute of Linguistics of the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agijong Publisher. Korea 

  33. Kim JH. 1979. A Lexical Analysis of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고유 한자어의 어휘론적 고찰). Seoggok Thesis, 10:222-245 

  34. Kim JW. 1997. On Palatalization and Hypercorrection (구개음화와 과도교정). Korean, 29:33-49 

  35. Lee DC. 1987. Choseon Language Lexical research (조선어어휘사). Yanbian University 

  36. Lee DS. 2004. A Lexical Study of Middle Korean Word 'kj?t?zip'. National Cultural Studies, 40:293-319 

  37. Lee DS. 2013.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Lexical research 1 (우리말 어휘의 역사 연구 1). Youkrack Publisher, Korea 

  38. Lee EG. 2000. A Comparative Study on the Editions of Duchang Gyeongheombang ( 의 이본 비교 연구). The Journal of Linguistic Science, 18:209-234 

  39. Lee GS. 2014. About Language and Character Data related to Lee Gyugyeong's Myungmuldosujihak (이규경(李圭景)의 명물도수지학(名物度數之學)과 관련된 언어와 문자 자료에 대하여). Jindanhakbo, 121:141-176 

  40. Lee GH et al. 2005.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hangeul Language (조선 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Thaehaksa Publisher, Korea 

  41. Lee GM. 1970. About the Blessings of Shilla (신라어의 복 (동)에 대하여).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49.50:201-210 

  42. Lee GM. 1991. Korean Language Lexical research (국어 어휘사 연구). Donga Publisher. Korea 

  43. Lee GM. 1999. Dimchae and Dihi ('딤채'와 '디히'). Saegugeosanghwal, 9(1):127-133 

  44. Lee JD. 1990. Studies on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of Chinese Modern Mandarin (중국 근세 관화의 음운 연변 연구). Doctoral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45. Lee SJ. 1995. A Study on Kimchi (김치에 대한 고찰). Thesis, 14:399-422 

  46. Lee SY. 1998. Vocabulary History of Food Names (음식명의 어휘사). 국어 어휘의 기반과 역사 (심재기 편), Thaehaksa Publisher, Korea 

  47. Lee SY. 2004. Study on the Words Written in the Emsikdimibang and Jubangmun. Linguistics, 84:123-150 

  48. Lee SW. 1984. Korean Food and Culture History (한국식품문화사). Gyomunsa Publisher. Korea 

  49. Lee Tak. 1967. One Part of Korean Language (국어어원 풀이의 일단). Hangeul, 140:26-72 

  50. Lee YH. 2007. Language and Letter Life of Shilla Through Wooden Tablets (목간으로 본 신라의 문자.언어생활). Gugyeol Studies, 18:107-139 

  51. Nam PH. 1968. Chinese Words Borrowed in Korean Translation of 15th Century Bibligraphy (15세기 언해 문헌에 나타난 정음 표기의 중국계 차용 어사 고찰).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39.40:39-86 

  52. Park BC. 1971. The Mythology of Chinese Characters (국어 한자음의 모태론고). Baeksan Thesis, 10:33-79 

  53. Park CL. 2013(b). Roots of Joseon Dynasty Kimchi (조선시대 김치의 탄생): a deep, wide study of culture, cuisine and folklore. Minsokwon, Korea 

  54. Paek DH. 1992. Phonological Study of Yeongnam Literature Word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ries 19, Taehaksa Publisher, Korea 

  55. Paek DH. 1998. A Study on Vocabulary in Dialect Reflected in Yeongnam Literature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 어휘 연구). Korean, 32:217-245 

  56. Park YS. 1995. Korean Verbal Lexicography (국어한자어휘론). Pagijong Publisher, Korea 

  57. Ryu CD. 1974. Leejo Korean Language Research (이조국어사연구). Seonmyeong Culture, Korea 

  58. Ryu CD. 1975. Lexical Research (어휘사연구). Samwoosa Publisher, Korea 

  59. Seo JB. 2000. Korean Language Dictionary (국어어원사전). Bogosa Publisher, Korea 

  60. Song KH. 2002. Ancient Letter Life: Comparison and Timing (고대의 문자생활: 비교와 시기 구분). Korean Ancient History, 5:1-60 

  61. Song M. 1968. Japanese Language 'ha' in Bangeonjipseok and Waeoyuhae Publication Period (방언집석의 일본어 'ハ' 행음 전사법과 왜어유해의 간행 시기). Lee Soongnyeong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