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김치의 계절별 품질특성 변화
Seasonal Change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2, 2019년, pp.224 - 232  

이재용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천선화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김수지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이희민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이해원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유수연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윤소라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황인민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정지혜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  김성현 (세계김치연구소 위생안전성분석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quality characteristic of seasonal commercial kimchi for hygienic safety levels. The pH of seasonal commercial kimchi was 3.84-6.36 and the titratable acidity and salinity of the samples were 0.21-1.16 and 1.19-1.54%, respectively. The content 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되고 있는 김치의 계절별 위생 안정성에 대한 모니터링과 김치의 품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유통 김치를 계절별(봄, 여름, 가을, 겨울)로 수집하여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절에 따른 김치의 효율적 품질 유지를 위한 유통시스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김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으로 2001년 국제식품규격(Codex)을 획득하고, 2006년 미국 Health지에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되면서 세계 각국의 발효식품과는 차별화된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You et al. 2007; Jeon 2009).
김치의 1인당 소비량은 어떠한가? 김치의 1인당 소비량은 배추 소비량과 함께 4~5년을 주기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과거에는 김치를 가정에서 섭취하기 위해 직접 제조한 김치가 소비되었으나 최근 김치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바쁜 현대인들의 식생활 및 주거환경의 변화, 김치냉장고 보급 확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외식 및 급식산업의 발달, 수입 개방 확대 등 다양한 환경 변화로 직접 제조하는 소비자들보다 상품김치를 구매하여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Seo et al. 2012; Park et al.
김치가 좋은식품인 이유는 무엇인가? 김치는 지역 및 계절에 따라 사용하는 배추와 부재료, 첨가량 등의 차이와 제조 방법이 달라 다양한 맛과 독특한 풍미가 있으며, 발효 중 생성되는 유기산과 미생물 등의 대사산물에서 유래되는 기능성 물질이 성인병 예방, 항암, 항비만, 소화 및 면역증강, 정장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16; Ji et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ng BH, Seo JS,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1): 51-55 

  2. Chang JY, Choi YR, Chang HC. 2011. Change in the Microb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5): 786-794 

  3. Cho HJ, Cho JA. 1998. The study on the kimchi in Chulra-Do. J. Natural sci., 17(1): 166-172 

  4. Cho SK, Moon JS, Kim YJ, Kim JE, Choi HY, Ahn JE, Otgonbayar G. E., Eom HJ, Kim TJ, Kim YM, Kim HR, Han HS. 2012. Comparison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in Korea and Jap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 155-161 

  5. Choi EJ, Jeong MC, Ku KH. 2015. Effect of seasonal cabbage cultivar (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Kimchi cabbages during storage period. Korean J. Food Preserv. 22(3): 303-313 

  6. Choi EY, Kim JS, Kim HC, Kim HR, Han GJ, Chun HK. 2004. Safety Evaluation of Lead and Cadmium in Domestic and Imported Kimchi, J. Fd. Hyg. Safety, 19(1): 911 

  7. Choi HS. 2005. Physiolog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Preserv., 4(1):2-10 

  8. Hwang JW. Song YO. 2000. The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Kimchi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of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 204-210 

  9. Jeon CG. 2009. Marketing Analysis of the Imported Kimchi and Challenges for the Domestic Kimchi Industry. Korean Food Marketing Association, KFMA., 26(2): 79-101 

  10. Ji YS, Kim HN, Park HJ, Lee JE, Lee HJ, Shin HK, Kim BJ, Franz CMAP, Holzapfel WH. 2013. Functionality and safety of lactic bacterial strains from Korean kimchi. Food Cont., 31(2): 467-473 

  11. Kang H, Moon JS, Lee MG, Han NS. 2016. Immunomodulatory effects of Leuconostoc citreum EFEL2061 isolated from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ood, on the Th2 type-dominant immune response in vitro and in vivo. J. Funct. Food, 20: 79-87 

  12. Kang KH, Lee SJ, Ha ES, Sung NJ, Kim JG, Kim SH, Kim SH, Chung MJ. 2016. Effects of Nitrite and Nitrate Contents of Chinese Cabbage on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during Storage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 117-125 

  13. Ko JL, Oh CK, Oh MC, Kim SH. 2009.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7): 892-901 

  14.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7. Status of Processed Food Subdivision Market.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Seoul, Korea, pp 64-68 

  15.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 1497-1502 

  16. Ku KH, Choi EJ, Jeong MC. 2014.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eanal cultivar of salted-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Korean J. Food Preserv. 21(4): 512-519 

  17. Ku KH, Jeong MC, Chung SK. 2013. Industrial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s and fresh-cut Chinese cabbage. Food Sci. Indus., 46(4): 2-11 

  18. Lee EH, Kim SK, Jeon JK, Chung SH, Cha YJ. 1982. Nitrate and nitrite content of some fermented sea foods and vegetables. Korean J. Fish Aquat. Sci., 15(2): 147-153 

  19. Lee EJ, Park SE, Choi HS, Han GJ, Kang SA, Park K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J. Korean Food Preserv., 17(6): 793-799 

  20. Lee HJ, Jeong SY, Kim JH, Yoo SR. 2016. Comparative quality analysis of kimchi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Japan, and China. Korean J. Food Preserv., 23(7): 967-976 

  21. Lee JY, Park YH, Jang BC, Kim SC, Kim PJ, Ryu SN. 2005. Variation of Nitrate Content on Distributed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Crop. Sci., 50(S): 231-238 

  22. Lee YH, Yang LW. 1970. Studies on the packaging and preservation of kimchi.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13(3): 207-218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Food Standards Codex (식품공전),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4 (accessed 2019.03.11) 

  24. Mirvish SS, Wallcave L, Eagen M, Shubik P. 1972. Ascorbate-nitrite reaction: possible means of blocking the formation of carcinogenic N-nitroso compounds. Science, 177(4043): 65-68 

  25. Mirvish SS. 1970. Kinetics of dimethylamine nitrosation in relation to nitrosamine carcinogenesis. J. Natl. Cancer Inst., 44(3): 633-639 

  26. Nordin HR (1969) The depletion of added sodium nitrite in ham. Can Inst Food Sci Technol., J., 2(2): 79-85 

  27. Oh CK, Oh MY, Kim SH. 2004. The depletion of sodium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Med. Food, 7(1): 38-44 

  28. Park YH, Kim YS, Kim SB. 2009. Consumer preference for salted cabbage in Gyeonggi province. Food Sci. Indus., 42(3): 28-34 

  29. Seo HJ, Han SY, Choi HS, Han GJ, Park H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by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2): 207-214 

  30. Shin SM, Park JY, Kim CJ, Hahn YS. 2005. Investigation of some harmful bacteri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21(2): 195-200 

  31. Song HJ, Lee HJ. 2014. Consumption of kimchi, a salt fermented vegetable, is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revalence. J. Ethn. Food, 1(1): 8-12 

  32. Yi SH, Park SY, Jeong DH, Kim JY, Lee AJ, Shin HA, Moon JH, Lee JH, Kim SE, Ryou HJ, Om AS. 2009. Survey Research of Homemade and Commercial Cabbage (Baechu) Kimchi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6): 671-676 

  33. You JH, Kwak EJ, Shin MJ. 2007. A study on kimchi preference and the types of kimchi purchased at markets to improve kimchi marketi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17(4): 511-5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