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식 정자의 설계 시공법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Movable Pavilion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4, 2019년, pp.51 - 59  

이정한 (제이제이 시스템개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동식 정자의 설계시공방법을 살펴보고자 문헌분석을 통해 조영 배경과 입지와 향의 설정, 규모와 구성, 재료, 시공방법 등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이동식 정자는 곳곳에 펼쳐진 경승을 두루 유람하기 위해 고안된 정자로 산수를 즐기는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집을 소유하고 정자를 경영하는 것보다 이상적인 삶을 추구하는 방식이 반영된 창작물이었다. 둘째, 이동식 정자의 조영은 계절별, 시기별 경관을 때와 장소의 제한 없이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로 조성되었으며. 풍류를 즐기기 위한 도구를 매번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고안되었다. 셋째, 이동식 정자는 경관을 조망하기 용이한 곳을 향하여 입지와 향이 결정되며, 대부분 소규모로 조성되어 그 안에서 경관을 감상하거나, 바둑, 작시, 탄금 등을 위한 공간을 구분하였다. 또한 목재를 주로 사용하고, 하중을 저감시키기 위해 대나무나 짚, 유둔, 면포 등 가벼운 소재로 지붕과 벽면을 구성하였다. 시공방식은 결합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결구기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선박이나 수레 상부에 정자를 조성할 경우에는 일반 정자의 목구조식 시공이 이루어졌다. 넷째, 일반 정자와 이동식 정자의 설계시공 특성을 비교해보면 이동식 정자는 조영목적상 경관의 관람이 용이하여 입지와 향의 설정에 제한이 없으나, 기동력을 고려하고, 구조적으로 하중을 견디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정자로서의 기능과 형태를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보다 엄격한 제도와 기법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movable Pavilions.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the setting up of the construction background, location and direction, size and composi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정자들을 대상으로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당시 이동식 정자를 조성하고자 했던 사람들의 의도와 정자 조성을 위한 공간의 배치나 분할, 정자의 기동성 확보를 위한 방법, 조영기법 등을 살펴봄으로써 이동식 정자의 설계 시공기법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자는 어떤 건축물인가? 중국에서 정자는 원림건축의 중요 요소로서 조망시점의 제공과 강학, 시 짓기, 악기연주 등 풍류를 즐기기 위한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정자는 일반 주택과는 달리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 주거단위라기보다는 자연과 함께 벗하며 한시적으로 거주하기 위한 건축물이라고 하겠다.
이동식 정자의 형성 배경은 무엇인가? 첫째, 이동식 정자의 형성 배경을 살펴보면, 빼어난 경치를 감상하기 위해 조성된 정자는 정자 주변의 경관만을 감상할 수 있으며, 곳곳에 펼쳐진 경승을 두루 유람하기 위해 모든 곳에 정자를 조성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다양한 경관을 탐미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었다. 또한 자신의 집을 소유하고 정자를 경영하는 것보다 더 이상적이고 초월적인 삶의 실천 중 하나로서 산수를 즐기는 경험을 바탕으로 이동식 정자에 대한 구상이 이루어졌다.
일반 정자와 이동식 정자의 건축재료에 대한 설계 시공 특성 차이는 무엇인가? 넷째, 일반 정자와 이동식 정자의 설계 시공 특성을 비교해 보면 경관감상을 주요 목적으로 조성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으 나, 일반 정자는 건축적 제도와 제반사항을 따르는 반면 이동식 정자는 입지와 향에 제약사항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반면, 규모와 형태면에서 일반 정자는 사각,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태와 규모를 지니고 있으나, 이동식 정자는 주로 방형의 형태로 한정적인 공간 속에서 이용행태에 따른 분류가 확인된다. 재료의 선정은 일반 정자가 정원 내 조성되는 건축과 유사한 형태를 기초로 하고 있으나, 이동식 정자는 하중의 저감, 이동성의 고려 등으로 인해 목재나 기와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종이, 면포, 대나무, 짚 등을 활용하는 특징이 확인된다. 시공방법 에서도 목구조식 골격을 통해 조성되는 정자와 달리 이동식 정자는 해체와 재조립을 위한 결합방식과 난간의 조성 외에는 간이시설을 활용한 시설조성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ee, W. H.(Author), (translate) Lee, S. H., Han, D. S., Lee, J. H. and Jo, I. S. (2000). Design Theory of Chinese Classical Architecture. Seoul; Sigongsa 

  2. Chung, D. O.(1986) Site Chracteristics and Space Organizations of the Traditional Arbors in Chonnam Provi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5(1): 25-38. 

  3. Kim, Y. K., Lee M. J. and Sagong, Y. B.(1999). A Study on the Preferred Elements of Pavilion in Kwang Ju City through the Analysis of Po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1): 29-45. 

  4. Kim, Y. K. and Lee, J. K.(1992). A study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arbour grove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 with priority given to the " Byeol Seo " garden in the Young, Honam districts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0(1): 15-31. 

  5. Heo, G.(2009) Korean Pavilion. Seoul; Darunsesang. 

  6. Gwon, S. H.(2012). Go find the beauty of Korea. Seoul; Pobple. 

  7. Lee, G. G., Kim, S. G. and Kim, B. G.(2012). The Soul of Korea, Pavilion. Seoul; Minsokwon. 

  8. Kim, S. H. and Choi, K. R,(2009) A Study on 'Yusik' Space of Jung-ja Architecture in Choso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9):197-204 

  9. Park, E. K., Yun, H. S., Nam, H. H., Kim, Y. S., Choi, Y. C. and Hong, S. J.(1989). A Study on Jungja According To Sharyunchunggi.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Conference Abstract. pp.201-204. 

  10. Hong, H. S. and Lee, W. H.(2006). Experimental Spirit in Pavilion Culture of the End of Goryeo - Focusing on Sa Ryun Jeong Gi (四輪亭記) of Gyu-bo Lee(李奎報)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4(-): 26-34. 

  11. Wang, Y.(Author), Kim, D. W.(Translate)(2014). Wonrim and Chinese Culture 3. Goyang; Hakgobang. 

  12. Seo, Y. G.(Author) Ahn, D. H.(Translate)(2013). Build a House in the Mountainside. Paju; Dolbegae. 

  13. Do, M.(Author) Kim, J. H.(Translate)(2010). Okhobing. Seoul; ZMANZ. 

  14.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2009). Oriental Landscape Culture History. Goyang; Daega Books. 

  15. Lee, E.(Author) Kim, E. J.(Translate)(2018). Garden of Pleasure. Paju;Geulhangari. 

  16. Seo, Y. G.(Author) Research Institute of Imwongyeongje (Translate) (2019). Imwongyeongjeji Iunji. Seoul; Punseok Cultural Foundat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