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산모의 골밀도 현황 분석 : 일개 산부인과 전문병원중심으로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Status in Korean Mother : In the Center of One Obstetric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4, 2019년, pp.320 - 328  

김영란 (김해우리여성병원) ,  김혜진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골밀도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조사하여 출산 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최종 137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일반적, 산과적 특성에 따른 T-score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 way ANOVA로,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2.4세였고 T-score 평균값은 0.34였다. 출산 후 4주째 측정한 BMI에서 저체중군은 정상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F=11.935, p<.001). 비타민 D가 충분한 대상자는 부족한 대상자보다 부족한 대상자는 결핍인 대상자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906, p=0.009). 유산경험이 없는 경우가 1회 이상인 경우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t=4.264, p<.001) 자연분만을 한 경우가 제왕절개수술을 한 경우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019, p=.046).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신과 출산과정 중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바탕으로 출산한 산모의 골다공증 관리 예방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by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pregnant mothers. This investigation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analyzed a total of 137 medical records. Differences in T-score between general and obs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모를 대상으로 분석한 첫 번째 연구이고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골밀도 감소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중재 및 예방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진 특성들을 고려한 맞춤형 임산부 대상 골밀도 증진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활용하여 이차적 자료 분석을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일반적, 산과적 특성과 골밀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산과적 특성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골다공증의 예방으로 모자보건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건교육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골밀도를 파악하고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조사하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최근의 임산부는 골성장이 멈추는 나이대인 30대 이상이 가장 많고, 임신과 출산과정은 골감소에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골다공증 관련 선행연구는 폐경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골밀도와 골밀도 영향요인을 조사하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알려진, 골다공증을 치료하기 위한 최선의 치료방법은? 골다공증은 가장 흔한 대사성 골질환의 하나로 골밀도가 감소하여 골절의 위험이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2]한번 발생하면 회복하기가 어렵고 현재 사용 중인 치료제도 골흡수를 감소시키는 효과일 뿐 이미 감소된 골밀도를 증가시키기는 어렵다. 지금까지 알려진 최선의 치료방법은 성장하는 시기 동안 최대의 골량을 극대화하는것과 골소실의 위험인자를 피하는 것이다[3]. 골다공증의 임상 증상은 골절이 생기기 전에는 자각증상이 없고골절 전에 이미 척추 골격의 변형 및 미세한 해부학적신체 변화를 동반하게 되고, 골절이 생기면 급, 만성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4].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가장 흔한 대사성 골질환의 하나로 골밀도가 감소하여 골절의 위험이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2]한번 발생하면 회복하기가 어렵고 현재 사용 중인 치료제도 골흡수를 감소시키는 효과일 뿐 이미 감소된 골밀도를 증가시키기는 어렵다. 지금까지 알려진 최선의 치료방법은 성장하는 시기 동안 최대의 골량을 극대화하는것과 골소실의 위험인자를 피하는 것이다[3].
골다공증의 임상 증상은 어떠한가? 지금까지 알려진 최선의 치료방법은 성장하는 시기 동안 최대의 골량을 극대화하는것과 골소실의 위험인자를 피하는 것이다[3]. 골다공증의 임상 증상은 골절이 생기기 전에는 자각증상이 없고골절 전에 이미 척추 골격의 변형 및 미세한 해부학적신체 변화를 동반하게 되고, 골절이 생기면 급, 만성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4]. 골밀도가 낮은 뼈는 가벼운 충격으로도 골절을 유발시키며 주요 골절 부위로는 척추 골절, 대퇴부 고관절 골절, 콜레스 골절(Colles’s fracture)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National Health Insurance, Quiet Thief[Osteoporosis], "1 out of 10 women in their 60s or older is sick", www.nhic.or.kr, 2016. 

  2. M. H. Seong, S, H. Kwon, H. Y. Kim, J. S. Park, S. H. Lee, S. Y. choi & J. Y. Ha, "Maternal newborn nursing & women's health II", Soomoonsa, p.14, 2018. 

  3.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Geneva, p.843, 1994. 

  4. J. S. Moon & K. C. W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ation, 25(1), p.19-30, 2008. 

  5. Y. W. Moo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 18(4), p.397-404, 2006. 

  6.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The Journal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94(6), p.785-795, 2001. 

  7.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Seoul: Author, 2008. 

  8. C. H. Yu, J. S. Lee, L. H. Lee, S. H. Kim, S. S. Lee, & I. K. Jung, "Na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wome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35, p.779-790, 2004. 

  9. E. Y. Lee, "Lifestyle behavi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peri-menopausal wome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3. 

  10. G. H. Kim, J. H. Lee & J. D. Yeo, "The bone mineral density impact factors of adult women before the menopause -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9(3), p.147-168, 2015. 

  11. Y. R. Kim, Y. S. Min, U. S. Jang, M. H. Nam, C. M. Chun, J. H. Chun & H. S. Sohn, "Improvements of behavior and attitude of pregnant women trained by a maternity-oriented antenatal education program : Assessment of Korean Gentle Birth (KGB) program", Journal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16(2), p.227-237, 2012. 

  12. HJ. Kalkwarf & BL. Specker, "Bone mineral change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Endocrine, 17(1), p.49-53, 2002. DOI: http://doi.org/10.1385/ENDO:17:1:49 

  13. A. J. Black, J. Topping, B. Durham, R.G. Farquharson, & W.D. Fraser, "A detailed assessment of alterations in bone turnover, calcium homeostasis, and bone density in normal pregnanc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5(3), p.557-563 2000. DOI: https://doi.org/10.1359/jbmr.2000.15.3.557 

  14. Y. K. Choi, N. Y. Kim, J. M. Kim, M. S. Cho, B. S. Kang & Y. R. Kim, "Studies of nutrient composition of transitional human milk and estimated intake of nutrients by breast-fed infants in Korean mother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8(6), p.476-487, 2015. DOI: http://dx.doi.org/10.4163/jnh.2015.48.6.476 

  15.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Committee for Practice Guidelines,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Seoul: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010. 

  16. Statistics Korea, Population Trend Survey(1993-2014). DOI: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17. H. Y. Min & G. H. Jeong, "Advanced aged women's need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care",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1(4), p.332-341, 2015.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5.21.4.332 

  18. E. G. Kim, D. S. Hwang, J. M. Lee, C. H. Lee, J. B. Jang & K. S. Lee, "Investigation of clinical research of acupuncture treatment on hyperemesis gravidarum in medline",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5(4), p. 66-80, 2012. DOI: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4.066 

  19. A. S. Laura, E. C. Mary, S. S. Kelly, P. Geraldine, F. Cynthia, B. P. Cheryl, M. Y. Stella & R. Deborah, "Prepregenancy body mass index and pregnancy weight gain: Association with preterm delivery", Obstestics & Gynecology, 96(2), p.194-200, 2000. DOI: https://doi.org/10.1016/S0029-7844(00)00883-8 

  20. S. H. Kim & M. J. Park, "Management of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0(3), p.233-241, 2017. DOI: https://doi.org/10.5124/jkma.2017.60.3.233 

  21. J. S. Oh & M. S. Cho, "Comparison of eating habits based on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Centered on recommended standards of the institute of medicine, Journal Korean Diet Association, 17(2), p.99-117, 2011. 

  22. CM. Olson, "Achieving a health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nual Review of Nutrition, 28, p.411-423, 2008. DOI: https://doi.org/10.1146/annurev.nutr.28.061807.155322 

  23. E. Althuizen, MN. van Poppel, JC. Seidell, W, van Mechelon, "Correlates of absolute and excessiv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Journal Womens Health, 18(10), p.1559-1566, 2009. DOI: https://doi.org/10.1089/jwh.2008.1275 

  24. G. J. Jang & S. H. Kim,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n breast-feeding rates and infant's growth",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40(2), p.277-286, 2010. DOI: https://doi.org/10.4040/jkan.2010.40.2.277 

  25. H. Y. Kim & Y. R. Heo, "Biochemical bone turnover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Korean women, Journal Korean Society Food Science Nutrition, 42(2), p.195-202, 2013. DOI: http://dx.doi.org/10.3746/jkfn.2013.42.2.195 

  26. E. T. Choi & S. J. Lee, "The effect of postmenopausal program of osteoporosis protection exercise on the density of bone an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5), p.727-734, 2003. 

  27. Dargent-Molina, Poitiers, & Breart, "In elderly women weight is the best predictor of a very low bone mineral density: evidence from the EPIDOS study", Osteoporosis International, 11(10), p.881-888, 2000. 

  28. Y. H. Oh, "Association between hemoglobin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014. 

  29. S. G. Kim, D. C. Kweon & C. H. Oh, "A comparative study of Influencing BMD factors in postpartum and general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0(1), p.25-32, 2007. 

  30. S. J. Jang, Y. M. Park, Y. E. Choi & K. H. Cho, "The correl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anemia in Korean older population", Korean Journal Clinical Geriatrics, 14(2), p.53-59, 2013. 

  31. AC. Looker & ME. Mussolino,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hip fracture risk in older U.S. white adult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3(1), p.143-150, 2008 DOI: http://doi.org/10.1359/JBMR.071003 

  32. TL. Lash & AK. Fink, "Semi-automated sensitivity analysis to assess systematic errors in observational data", Epidemiology, 14(4), p.451-458, 2003. 

  33. JP. Devogelaer, S. Goemaere, S. Boonen, JJ. Body, JM. Kaufman, JY. Reginster, S. Rozenberg & Y. Boutsen,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a consensus document of the Belgian bone club, Osteoporos Int., 17, p.8-19, 2006. DOI: https://doi.org/10.1007/s00198-005-2032-z 

  34. E. J. Han, J. H. Yang, S. Y. Park, C. H. Lim, S. H. Kim, H. G. Yoon, Y. J. Han, S. W. Lee, H. M. Ryu & B. G. Park, "Vitamin D awareness and serum 25 (OH) D and serum TSH levels in pregnant women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p.210, 2013. 

  35. D. Liel, N. Atar & N. Ohana, "Pregnancy-associated osteoporosis: preliminary densitometric evidence of extremely rapid recovery of bone mineral density", South Med Journal, 91(1), p.33-35, 1998. 

  36. S. Guven, C. Kart, E.H. Comert, H. Sal & E.S. Guvendag Guven, "Elective repeat caesarean delivery may affect bone mineral density compared with normal vaginal delivery",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19, p.131-136, 2017. DOI: https://doi.org/10.1016/j.ejoqrb.2017.10.005 

  37. S. Christopher & Kovacs, "Calcium and bone metabolism in pregnancy and lactatio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6(6), p.2344-2348, 2001. 

  38. S. P. Jung & K. M. Lee, "Factors affecting to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The Yeungnam University Medication Journal, 13(2), p.261-269, 1996. 

  39. H. J. Jeon,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life style by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Society for Wellness, 9(4), p.239-250, 2014. 

  40. H. J. Kang, Y. J. Kim, S. Y. Lee, J. G. Lee, Y. H. Yi, D. W. Jeong, Y. H. Cho, E. J. Choi, Y. J. Tak, H. R. Hwang, A. R. Jo, S. H. Lee, J. S. Jeon & J. H. Shin, "The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total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postmenopausal women :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3(2), p.330-335, 2015. 

  41. N. M. Chun, H. J. Chae, "Problems with bone health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across the life cycle",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1(1), p.43-54, 2015. DOI: http://dx.doi.org/10.4069/kjwhn 

  42. P. C. Jerilynn, A. K. Susan, J. Lawrence, K. Nancy, M. M. Timothy, A. H. David, D. A. Jonathan, M. V. Yvette, Claudie Berger, Lucie Blondeau, A. J. Stuart & Alan Tenenhouse, "Oral contraceptive us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data from the Canadian Multicentre Osteoporosis Stud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5(8), p.1023-1029, 2001. 

  43. J. O. Koo, H. S. Ahn, S. Y. Yoo,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habits of 20-30 years women",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13(4), p.489-498, 2008. 

  44. S. K. Kang, "Intake amount by food group and blood cadmium concentration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s of age 30 years and above: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0-2011)", Master's thesis, Keimoung University, Daegu,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