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 기반 실감형 재난관리를 위한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3D safety state information platform architecture design for realistic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4, 2019년, pp.564 - 570  

김태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  윤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방안전 및 재난관리를 위해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연구가 일부 시도되고 있으나 실제 현업에 적용하기는 아직 많이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물의 경우 시설물의 복잡성, 용도의 다양성, 이용자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에 더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중이용시설물의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해 3차원 공간정보와 시변 안전상태정보를 융합한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재난관리플랫폼 관련 기존 개발 및 연구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다중이용시설물의 관리현황 및 다양한 현업 사용자들의 요구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둘째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세부 연구대상시설물을 선정하고 발생 가능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방안 및 해당 플랫폼에서 제공 가능한 다섯 가지 서비스 항목을 제시하였다. 해당 연구 성과들은 향후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다중이용시설물의 안전성 향상과 재난취약계층에서의 피해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some studies have been attempted to utilize 3D spatial information for fire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it is still not enough to apply it to actual work. Especially, in case of multi-use facilities, many facilities are more vulnerable to rapid response in the event of a disaster due t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다중이용시설물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기반의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개발을 위해, 첫째 기존 국내외 재난관리플랫폼 개발 활용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현업 사용자들의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 안전 상태정보 플랫폼이란? 공간정보 기반의 실감형 재난관리를 위한 3D 안전상 태정보 플랫폼의 본격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아 키텍처 설계 및 서비스 개발방안이 필요하다. ‘3D 안전 상태정보 플랫폼’이란 표준안전모델 및 시변 안전상태정 보를 기반으로 대상물의 안전상태현황을 3차원으로 표 출하여 관리하고, 다양한 재난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플 랫폼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3차원 실내외 공간정보 를 기반으로 대상지역 건축물 및 시설물의 표준안전모델 을 플랫폼에 탑재하여 사건 및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안 전상태 현황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고, 위험알람, 건물의 구조적 피해예측, 피해저 감방안 및 외부 연계 등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3D 안전 상태정보 플랫폼은 세부적으로 어떤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가? ‘3D 안전 상태정보 플랫폼’이란 표준안전모델 및 시변 안전상태정 보를 기반으로 대상물의 안전상태현황을 3차원으로 표 출하여 관리하고, 다양한 재난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플 랫폼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3차원 실내외 공간정보 를 기반으로 대상지역 건축물 및 시설물의 표준안전모델 을 플랫폼에 탑재하여 사건 및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안 전상태 현황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고, 위험알람, 건물의 구조적 피해예측, 피해저 감방안 및 외부 연계 등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과기정통부에서 추진 중인 핵심플랫폼 사업은? 국내에서의 재난플랫폼 관련 기술개발은 주로 행정안전부, (구)과기정통부, 국토교통부 등 정부부처 및 공공 기관위주로 관련 R&D 및 재정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 며, 일부 학교 등에서 요소기술관련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시나리오 기반 대형복합재난 확산예측 기술개발(‘17~’18)”을 통해 복합재난 발생 시 를 대비한 모형간 최적 연계 모델링 기반을 구축하고 스마트빅보드 개발을 통해 빅데이터 및 ICT 기술을 접목한 지자체용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과기정통부에서는 6개 핵심플랫폼 사업 중 “재난안전정보 공유플랫폼(‘16~’20)”, “지능형 위험분석 피해 예측 기반의 화재상황 대응플랫폼(‘17~’20)”, “다매체 기반의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 플랫폼(‘18~’21)” 등을 시작으로 핵심플랫폼 기술개발을 지속 추진 중에 있 다[2]. 국토부에서는 “수변구조물 통합안전관리 플랫폼 (‘13~’18)” 사업을 통해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 로 수변구조물의 실시간 통합안전성을 평가하고 피해분 석과 복구를 지원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 Park, "Disaster Management of Building and Distributed Simulation Platform",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57, No.3, pp.32-36, 2013. 

  2.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echnical Report, Disaster Safety Platform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Korea, pp.1-2. 2015. 

  3. E. Oh, S. Lee, E. Shin, T. Kang and Y. Lee, "A Framework of Realtime Infrastructure Disast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 and the Sensor Information Model", Journal of KOSHAM, Vol.12, No.6, pp.007-014, 2012. DOI: http://dx.doi.org/10.9798/KOSHAM.2012.12.6.007 

  4. R. Ryu, and Y. Seung, "A Basic Study of iBUM Development based on BIM/GIS Standard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Spatial Databas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mation Society, Vol.22, No.5, pp.27-41, 2014. DOI: http://dx.doi.org/10.12672/ksis.2014.22.5.027 

  5. S. Gang, D. Ryu, T. Kim, H. Park, J. Kim and Y. Choung, "Development of Core Module and Web System for a Visualization Platform for the 3D GIS Service of Disaster Information using Unity",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20, No.3, pp.520-532, 2017. DOI: https://doi.org/10.9717/kmms.2017.20.3.520 

  6.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Research Center for Waterside Structures, PR brochure, Intergrated safety management platform for water infrastructure(WINS'), Korea, pp.6-7, 2016. 

  7. S. Part, C. Hong, C. Youn, and G. Kim,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Disaster Countermeasure Integrated Information Platform for Complex Skyscraper Facilities", Conference Proceedings of KSCE, pp.8-9, 2017. 

  8. H. Seo, G. Min, and D. Jung, "On the development of a scenario-based disaster safety information platform", Journal of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pp.64-6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