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권도 전자호구 개발을 위한 충격감지 센서 연구
Research on Impact Sensor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Body Protector of Taekwondo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4, 2019년, pp.648 - 655  

기재석 (상명대학교 스포츠ICT융합학과) ,  정동화 (상명대학교 스포츠융합학부) ,  이현준 (상명대학교 스포츠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의 복잡하며 부정확한 기존의 태권도 전자호구 시스템과 차별화 되는 전자호구 개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전자호구에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마그네틱 센서, 전기용량 센서, 접촉식 스위치 방식, 압전필름 센서) 방식에 대하여 시험을 통해 분석하여 차별화된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센서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전자호구의 타격에 대한 정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몸통호구에만 집약된 광범위한 센서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를 호구와 손, 발 보호대로 분산하였다. 또한 몸통호구에는 초경량 필름형 압전센서를 통해 몸통호구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도록 하여 무게를 경량화 하였다. 기존의 전자호구의 경우 몸통호구에 집약된 센서 및 통신 제어 장치를 개별 장비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개별 구입할 수 있도록 스마트 앱을 활용하여 스코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하는 전자호구의 무게는 약 1kg 이하로 기존 대비 20% 정도 감소되는 효과를 얻었다. 완벽한 시험 환경을 갖추지 못하여 충격량에 대한 효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한 부분은 본 연구의 보안 사항을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the differential development of a Taekwondo electronic body protector. For this development, the most suitable sensor system was selected after analyzing and testing various sensor methods (magnetic sensors, electric capacity sensors, contact switch sensors, and piezo-film sensor...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자호구의 복잡성(개인 보호대및 무선 송수신기, 점수 표시 전광판 및 각종 스캐닝 기구 등 공동의 장비도 필요)을 벗어나서, 기존의 개인 장비만의 대체(호구 및 손·발 보호대) 구매를 통해서 전자호구 경기의 방식을 익힐 수 있는 실질적인 장비를 제공하기 위해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 방식을 시험을 통해 분석한다. 또한 기존의 몸통호구에 집약된 광범위한 센서 및 무선 통신 제어부를 발 보호대와 몸통으로 분산하고, 몸통호구에는 초경량 필름형 압전센서를 통해 몸통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도록 하여 구조 경량화 및 단순화로 기존 대비 저렴한 연습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유형의 충격감지 센서를 분석하여 충격량 감지에 대한 정확도, 배터리 수명, 무게 등을비교 항목으로 적용 가능한 센서에 대해 분석한 후 비교센서 중 최적의 센서를 이용하여 태권도 전자호구 개발방안을 제시한다. 몸통호구와 발 보호대에 센서신호를 처리하는 배터리 수명을 24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도록지그비(zigbee) 통신을 채택하였으며[11], 리튬폴리머 박막 전지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모듈을 개발하여 사용성을 높이도록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Fig. 15와 같이 몸통호구 센서와 발목보호대 센서를 통해 동기화된 충격데이터를 분석하여 보다 가볍고, 신뢰도가 높은 전자호구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자호구의 복잡성(개인 보호대및 무선 송수신기, 점수 표시 전광판 및 각종 스캐닝 기구 등 공동의 장비도 필요)을 벗어나서, 기존의 개인 장비만의 대체(호구 및 손·발 보호대) 구매를 통해서 전자호구 경기의 방식을 익힐 수 있는 실질적인 장비를 제공하기 위해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 방식을 시험을 통해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호구는 어떤 상황이 발생하여 개발되었는가? 태권도 경기에서 순식간에 이루어지는 선수들의 타격기술들을 심판이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많은 판정 불복 사태들이 속출하고 있다[1]. 이러한 문제는향후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종목에 지속적으로 포함되기위하여 반드시 넘어야 할 장벽이다.
태권도 경기에서 사용하는 전자식 몸통 채점기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있는가? 전자식 몸통 채점기는 개인득점표시 및 입력단자가있는 전파송신기와 선수의 척추 및 장기보호가 가능한등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호구의 중앙과 좌우에 손·발 구분이 가능한 센서가 부착되고 내부에는 충격과 강도를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채점이 이루어진다[8-9].심판기는 전자호구의 충격과 강도를 실시간으로 전광판에 송신하며 동시에 수십 명이 경기를 하여도 혼선이되지 않도록 부심기와 연결할 수 있는 송수신기, 호스트컨트롤 박스(host control box), 운영 소프트웨어 등으로구성되어 있다.
태권도 경기에서 심판기는 어떤 구성을 이루고 있는가? 전자식 몸통 채점기는 개인득점표시 및 입력단자가있는 전파송신기와 선수의 척추 및 장기보호가 가능한등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호구의 중앙과 좌우에 손·발 구분이 가능한 센서가 부착되고 내부에는 충격과 강도를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채점이 이루어진다[8-9].심판기는 전자호구의 충격과 강도를 실시간으로 전광판에 송신하며 동시에 수십 명이 경기를 하여도 혼선이되지 않도록 부심기와 연결할 수 있는 송수신기, 호스트컨트롤 박스(host control box), 운영 소프트웨어 등으로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손·발 보호대의 경우도 센서를 적용해 선수의 부상방지와 함께, 득점 순간을 확인 할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Youngsang, Ba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Value of Electronic Body Protector and the Impact Force of Force Platform in Taekwondo",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 23, No. 2, pp. 125-130, 2013. 

  2. Youngsang, Bae., Willy. P. "Kick Force of Male Taekwondo Athletes: Comparison of the Chest Protector with the Force Platform" Science Paper, Vol. 41, pp. 15-24, 2015. 

  3. Dongki, Shin. "An Examination on Satisfaction of Collegiate Athletes for Using Electronic Body Protector", Journal of World Society Of Taekwndo Culture, No.4, pp. 1-48, 2012. 

  4. Kyonghwa, Yi., Hyesoo Kim. "Actual Wearing Conditionof Taekwondo Uniform & Protector",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8, No.1, pp. 89-107, 2008. 

  5. Jae-Won, Yoo. "An Analytical Study on the Management Factors of the Taekwondo Training Halls by the Sizes of the Number of the Trainees", Korea Sports Research, Vol. 16, No.2, pp. 375-382, 2005. 

  6. Ringsven MK, Bond D. Gerontology and Leadership skills for nurses. p.15-80, Delmar Publishers, 1996. 

  7. American Cancer Society. Cancer Reference Information [Internet]. Atlanta (GA): American Cancer Society, c2012[cited 2010 Jun 20], Available From: http://www.cancer.org/docroot/ CRI/CRI_0.asp. (accessed Oct., 10, 2012) 

  8. Jong-hak, Hwang. et al. "2014 Report: Study on Developing Standard of Electronic Body Protector in Taekwondo",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pp. 107-125, Dec. 2014. 

  9. World Taekwondo Federation, "Taekwondo Electronic Body Protector WTF 0000:2014", 2014. 

  10. S. R. Ahuja, K. D. Hong, K. S. Hong, "The Rapport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A Software Overviews", Proc. of 2nd IEEE Conference on Computer Workstations, Vol. 5, No.1, pp. 52-58, March, 1988. 

  11. Link labs. A bluetooth & zigbee comparison for IOT applications, https://www.link-labs.com/blog/bluetoothzigbee-comparison, October,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