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권도의 전자호구 충격값과 포스플랫폼 충격력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Value of Electronic Body Protector and the Impact Force of Force Platform in the Taekwondo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23 no.2, 2013년, pp.125 - 130  

배영상 (계명대학교 체육대학 태권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electronic body protector has been officially adopted by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WTF) in 2006, no scientific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 reliability of its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value of 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호구 사용에 따른 태권도 경기 현장에서의 유효득점판정의 불규칙성에 관련되는 문제해결의 요인을 구명하고자 포스플랫폼과 전자호구를 이용한 충격력 측정 장치를 설치하여 엘리트 태권도선수군과 태권도학 전공학생군의 발차기 충격량을 측정하고, 포스플랫폼의 충격량 데이터와 전자호구 충격값의 관련성을 비교 검토하는데 있다.
  • 즉 첫째는 충격력 측정에 참가하는 피험자가 부상을 우려하여 참가를 기피한다는 점이며, 둘째는 포스플랫폼 등의 신뢰성과 정밀성을 갖춘 장비라고 하더라도 표면이 철판이기 때문에 직접 충격력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표적면에 완충재료를 사용할 수밖에 없고, 그때의 충격력 값은 측정조건에 따라 상대값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실험방법에서 제시한 충격력의 산출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확보하였기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 즉 앞차기는 밀어차기형, 돌려차기는 치기형, 뒤차기는 지르기로 분류할 수 있다(Kaneko & Fukunaga, 2006). 이상과 같은 발차기 기술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자호구의 충격값과 포스플랫폼의 충격력데이터와의 관련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권도 경기의 전자호구에 과학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한 성별, 연령별 및 체중계급별의 충격력의 기준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더욱이 오늘날의 태권도경기와 같이 태권도경기내용의 객관성을 확보하면서, 정확한 심판의 판정을 위해 도입된 전자호구는 보다 과학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한 성별, 연령별 및 체중계급별의 충격력의 기준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성별, 연령별, 체중계급별에 따라 충격력의 강도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수 개개인의 특성과 사용하는 태권도기술에 따라서도 충격력의 강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권도경기에서 전자호구를 사용했을 때, 태권도경기의 과학화를 위해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세 가지로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태권도경기에서 전자호구를 사용하는 것이 공식적으로 채택된 것은 언제인가? 태권도경기에서 전자호구를 사용하는 것이 세계태권도연맹(World Taekwondo Federation[WTF])에 의해 2006년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지만 전자호구 사용에 대한 신뢰성이나 타당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거의 없다(Del Vecchio, Franchini, Del Vecchio와 Pieter, 2011). 전자호구는 심판의 유효득점 판정에 따른 주관적 관점에 의해 주어지는 기존의 득점인정제도에 비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득점판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태권도경기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획기적인 일이었다.
전자호구 도입은 어떤 점에서 태권도경기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획기적인 일이었는가? 태권도경기에서 전자호구를 사용하는 것이 세계태권도연맹(World Taekwondo Federation[WTF])에 의해 2006년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지만 전자호구 사용에 대한 신뢰성이나 타당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거의 없다(Del Vecchio, Franchini, Del Vecchio와 Pieter, 2011). 전자호구는 심판의 유효득점 판정에 따른 주관적 관점에 의해 주어지는 기존의 득점인정제도에 비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득점판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태권도경기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획기적인 일이었다. 블루투스무선기술에 바탕을 둔 전자호구의 제작을 가장 먼저 시도한 회사는 LaJust(Korea)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 Y. S., Shibukawa, K., & Ishijima, S. (1989). Biomechanical study on dolryeochagi of taekwondo, Japanese Journal of Sports Science, 8(4), 238-242. 

  2. Bae, Y. S. (1992). Biomechanics of Taekwondo, Daegu : Keimyung University Publication. 

  3. Bae, Y. S., & Lee, K. M. (2006). Kinesiology of Taekwondo, Seoul : World Taekwondo Federation(WTF). 

  4. Choi, C. S. (2004).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pact forces on target distance and punching types during taekwondo punching motion, Unpublished Master Art'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5. Choi, C. S., Shin I. S., & Seo J. S. (2004). Evaluation of the impact force on the vertically placed platform,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4(2), 57-68. 

  6. Del Vecchio, F. B., Franchini, E., Del Vecchio, A. H. M., & Pieter, W. (2011). Energy absorbed by electronic body protectors from kicks in a taekwondo competition. Biology of Sport, 28(1), 75-78. 

  7. Kaneko, M., & Fukunaga, T. (2006). Biomechanics - Scientific Basic of Physical Exercise-, Tokyo : Kyorin Shoin. 

  8. Kim, C. O. (2012, Sept. 17). A period of electronic body protectors. Newspaper of Taekwondo, 781, 8. 

  9. Moenig, U., Cho, S., & Song, H. (2012). The modifications of protective gear, rules and regulations during taekwondo's evolution - from its obscure origins to the Olympic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History of Sports, 29(9), 1363-1381. 

  10. O'Sullivan, D., Chung, C. S., Lee, K. K., Kim, E. H., Kang, S. C., Kim, T. W., & Shin, I. S. (2009).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taekwondo and yongmudo turning kick impact force for two target height.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 8, CSSI 3, 13-16. 

  11. Pedzich, W., Mastalertz, A., & Urbanik, C. (2006). The comparison of the dinamic of selected leg strokes in taekwondo WTF. Acta of Bioengineering and Biomechanics, 8(1), 257-266. 

  12. Pieter, F., & Pieter, W. (1995). Speed and force in selected taekwondo techniques. Biology of Sport, 12(4), 256-264. 

  13. Seo, S. W. (2012, Sept. 24). Science of Taekwondo that need to accomplished, Taekwon Line, 43, 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