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릉 조성 및 관리에 따른 식재유형 고찰
A Study on the Type of Planting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1, 2019년, pp.33 - 40  

김은경 (국립수목원) ,  배준규 (국립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왕릉의 조성 및 관리에 따른 식재 유형에 대해 문헌 기록을 분석하고, 향후 조선왕릉 수목관리를 위한 사적(史的)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조선왕릉 42기 중 40기를 대상으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한 편년체 사료와 "능지(陵誌)" 중심으로 식재와 관련한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능역의 수목식재는 정식(定植)과 보식(補植)으로 나눌 수 있다. 정식(定植)은 능침 조성 당시 산릉도감(山陵都監)에서 진행한 식재를 말한다. 능역 조성 후 이루어지는 모든 식재는 추가 식재 즉 보식라고 할 수 있다. 조선왕릉의 조성 및 관리에 따른 식재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능역 조성 과정 중 조경을 위한 1차 식재가 이루어졌다. 둘째, 산릉 조성 이후 모든 식재는 추가식재로 능행 중 왕명에 의한 식재가 실행되었다. 셋째, 조선후기 산림황폐화로 인하여 능침의 수목 희소처에 추가식재가 이루어졌다. 넷째, 자연재해로 인한 수목 훼손 후 보토공사와 함께 수목식재가 행해졌다. 다섯째, 정조 22년 모든 왕실가족의 무덤에 정기적인 식재가 법으로 정해졌다. 본 연구는 조선왕릉 능제복원을 위한 역사경관림 관리의 사적고증으로서 향후 조선왕릉에 식재된 개별 수종과 능역 내 공간별 식재에 대한 문헌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istorical records of what the trees had been planted like by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so that it could be utilized for historical records to manage the trees in the Royal Tombs. The research method was to analyze t...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조 22년 8월 정조는 장릉(長陵) 헌관(獻官) 신대현(申大顯)으로부터 장릉의 묘역 내 여러 곳을 간심하고 탈이 있는 곳에 대해 보고받았다. 말라서 훼손된 수목을 교체하여 보충하여 심는 것에 전념하여 울창하게 하도록 명하였다.
  • 조선왕릉에 수목을 식재한 시기는 여름과 겨울 두 시기를 제외하고 식재가 이루어졌다. 먼저 수목 식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태종은 태조의 장례가 끝난 후 처음으로 건원릉에서 동지제(冬至祭)를 지낸 후 건원릉에 나무가 전혀 없다고 말하였다.
  • 본 연구는 조선왕릉의 역사경관림 관리에 사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조선왕릉 식재기록을 분석하여 조선왕릉 조영 및 조선 왕릉 관리 과정에서 행해진 식재유형에 대해 밝혔다.
  • 본 연구에서는 식재기록 중 식재시기 및 식재유형에 대한 분석만을 진행하여 조선왕릉 조성 당시 식재를 비롯한 추가 식재 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관리에 관한 사적 고증과 함께 조선왕릉 수목에 관한 문헌 사료 연구가 세분화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무오년 수교의 중심 내용은 매년 3월과 10월에 씨를 뿌리고 심 은 숫자를 보고하도록 한 것이다. 즉, 식재한 소나무의 숫자와 파종한 도토리의 자라는 밀도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이를 감독하기 위해서 헌관, 승지, 사관이나 선전관 중에서 추첨하여 숫자대로 심었는지 고찰하도록 하였으며, 근무의 성실한 정도에 따라 상을 주고 징계를 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능침에 소나무와 잣나무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능침에 소나무와 잣나무가 없는 것은 이유가 있었다. 태조는1408년 5월 24일 승하하였다. 태조의 승하 이후 6월 큰 비가 내려서 홍수가 났으며, 왜선의 침입이 2차례 발생하였다7). 6월28일에서야 택지가 양주(楊州)의 검암(儉巖)으로 선정되었다8). 7월에는 황충(蝗蟲)의 피해가 여러 차례 나타나고 있으며, 장마로 인한 기청제(祈晴祭)가 실시되었다9). 본격적인 공사의 시작은 풀을 베고 흙을 파는[참초파토(斬草破土)] 일이시행된 8월 25일10)이었다. 실제 국장이 치러진 날은 9월 9일로11) 능의 석물 조성을 끝내기도 벅찬 시간이었다. 오랜 장마와 여름이라는 계절적인 제약으로 인해 식재가 어려웠다. 두달 뒤인 1408년 11월 26일 건원릉에 행차하여 수목 식재를 명하였던 것이다. 이후 태종은 3차례 더 능행하였으며, 식재를 명령하였다.
의릉을 통해 어떤 것을 알 수 있는가? 능침 조성 과정 중 수목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곳이 의릉(懿陵)이다. 영조는 화소의 면적을 넓게 잡을 경우 생기는 백 성들의 피해를 고려하여 백성의 전답이 화소 안으로 많이 들어 가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조선후기 인근산 뿐 아니라 능침 또한 민둥산이 된이유는? 조선후기 온돌의 보편화와 소빙기로 인한 땔감 수요의 상승 으로 인해 도성 인근 산 뿐 아니라 지엄한 공간인 능침 또한 민둥산이 되었다2). 이로 인하여 도벌 실정을 철저히 조사하고 매년 보충하여 식재할 것을 항식(恒式)으로 정하도록 하였으 나, 능침수목의 도벌을 막을 길이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ee, K. J., Oh, K. K.,Woo, J. S. and Song, K. J.(1990). Studies on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Tomb (II): Successional Trends of the Plant Community of Heonin Royal Tomb.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7(3): 35-47. 

  2. Lee, S. and Jin, S. C.(2002). Analysi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for the Landscape Management of the Heritage Site: A Case of Dongguneung, Kyu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366-377. 

  3. Cho, A. Y.(2008). A Research on the Vegetation Management Criteria for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Focused on Donggureung, Gwangneung, and Seooreung.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4. Kim, M. S., Lee, K. J., Kim, J. Y. and Hur, J. Y.(2015). A Study on the Change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Landscape Forest of Taeneung, Joseon Dynasty Royal Tomb,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56-72. 

  5. Lee, S. J.(2013).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Emperor Tomb in the Great Korean Empire: In Case of Hongyureung(Tomb), Namyangju, Gyeonggido.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6. Jung, J. M.(2014). A Study on the Assessment and Improving Methods of the Vegetation Landscape in World Culture Heritage Donggureung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Kore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7. Lee, C. H. and Kim, D. G.(2017). A Study on the Conservation for the Historic Landscape of Yungneung and Geolleu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2): 45-57. 

  8. Cho W. Y. (2008).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Doctoral thesis, Sangmyung University. 

  9. Lee, C. H., Lee, S. P., Jong, J. S., Jeon, H. W., Kim, K. Y. and Choi, J. H.(2009).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aereung and Gangreu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2): 59-71. 

  10. Lee, C. H., Jong, J. S., Lee, W. H. and Choi, J. H.(2010).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Gimpo Jangreu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2): 86-97. 

  11. Lee, C. H., Jong, J. S., Lee, W. H. and Choi, J. H.(2010).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Ureung Gunreu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3): 39-52. 

  12. Lee, S. and Kim, Y. M.(2004). The Planting and the Maintenance around the Royal Tombs of the Josen Dynasty: Focusing on the Seo-O-Reu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1): 88-101. 

  13. Kim, E. K.(2015). A Study on the tree planting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Doctoral thesis, Kookmin University. 

  14. http://db.itkc.or.kr 

  15. http://db.history.go.kr 

  16. Yoo, J. B.(2014). Study on Neungji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Changleungji.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 31(-): 180-20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