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복원 사례를 통해 본 전통정원 보존기법 - 한·중·일 궁궐정원 유적을 중심으로 -
The Traditional Garden Conservation Techniques through Partial Restoration Case - Focusing on the Palace Garden Sites of Korea, China and Japan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20년, pp.28 - 35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정원 유적의 복원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중·일 궁궐정원유적을 대상으로 기단복원, 개별 정원요소 복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보존기법별 고려되어야 할 특징들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단복원이 이루어진 정원유적들을 살펴본 결과, 북해공원의 만불루 경구는 관련 문헌과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기단부와 주춧돌만을 복원하였다. 부여 관북리 유적은 발굴이 완료된 지역 중 연못과 수로, 대형건물 터에 남아있는 기단과 흙다짐 기초만을 복원하였다. 평성궁의 제2대극전은 건물지와 기단을 복원하고 주변에 제2태극전의 영역을 알 수 있도록 장대나 말뚝을 설치하였다. 둘째, 개별요소의 복원이 이루어진 경주 동궁과 월지는 초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연못 정원유구와 사료들을 토대로 전통정원 유적을 선제적으로 복원하였다. 원명원의 황화진은 서양동판화와 관련 기록들을 토대로 복원하였으나 복원 이후 추가로 발견된 자료를 통해 현재의 모습과 다르게 복원한 점을 확인하였다. 평성궁 동원 정원은 기존 유구들을 복토하고 그 위에 건물들을 복원하였으며, 경석과 수로 등 대표적 정원 요소들을 보존처리하여 노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기단복원은 전통정원 유적의 현재 상태 또는 발굴조사를 통해 기단부가 확인된 경우로 입면 구성방식이나 규모 등이 확인된 기단부를 우선 복원하여 영역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복원은 전통정원 유적 내 일부 건물이나 시설물 등 개별 요소들에 대해 문헌 고증을 통한 복원이 가능한 대상들을 한정하여 복원하는 방법으로 면밀한 문헌 고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toration techniques of traditional garden sites targeted Korean, Chinese, Japanese palace garden. Restoration was divided into the restore foundation and restore individual elements depending on the residual state of the actual garden features. And derived characteristi...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정원 유적의 복원기법 특성을 살펴보고자한 · 중 · 일 궁궐유적의 복원 사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한 · 중 · 일 궁궐정원 유적을 대상으로 복원 사례를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한 · 중 · 일 궁궐정원 유적의 복원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존기법 선정에 고려되어야 할 특징들을 도출함으로써 전통정원 유적 복원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W. H.(2019). A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Korean Garden Sites Exca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arden Archaeology. The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Conference Abstract. pp.89-92. 

  2. Ahn, G. B. and Lee, W. H.(2014). A Proposition on Landscape Restoration of Joseon Dynasty's Palace Gard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10-20. 

  3. Lee, W. H., Kim, D. H., Kim, J. U., Ahn, H. I., Kim, D. Y. and Cho, U. Y.(2014). A Study on the Maintenance Plan of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for Representing Traditional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82-95. 

  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09). Foreign survey data collection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 sites. 

  5. Kim, Y. M.(2007). A Preliminary Study of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inciples of Traditional Gardens.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 82-95. 

  6. OhmyNews. 6. December. 201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93210&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7. Byeon, C. B.(2015). An aesthetic analysis of the ruins of a historical site. The Journal of Human Studies. 37(1): 175-203. 

  8. Beijing Cultural Relics Research Institute(2018). Brief Report on Excavation of Tower of Ten-thousand Buddha Site of Beihai. Beijing Cultural Relics and Museums. 2018(1): 93-102. 

  9. https://www.hotbak.net/key/%E5%8C%97%E6%B5%B7%E4%B8%87%E4%BD%9B%E6%A5%BC.html 

  10.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09). Report on the excavation of Baekje relics in Gwanbuk-ri, Buyeo.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1. http://www.cha.go.kr 

  12. http://www.baekje-heritage.or.kr 

  13. https://www.library.pref.nara.jp/ 

  14. Ahn, G. B.(2000). A Study to Principles of Landscape Design in Anapji(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4): 57-67.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4). A Fundamental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Strategy for Landscape Space in the Silla Dynasty. 

  16. Kim, K. M. and Kim, J. S.(1991). Geography of Scenery and Customs in Gyeongju. Bou Cultural Foundation. 

  17. Wolseonggun Municipal Office of Education(1971). National Park Tourism Bulguksa Temple, Gyeongju. 

  18. 何重義 and 曾昭奮(2009). 圓明園園林藝術.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2009). Oriental Landscape Cultural History. Goyang;Daega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