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동나무(Sageretia thea) 잎과 가지추출물의 대장암과 폐암세포의 β-catenin 분해 유도 활성
Effect of the Extracts from the Leaves and Branches of Sageretia thea on β-catenin Proteasomal Degradation in Human Colorectal and Lung Cancer Cell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2, 2019년, pp.153 - 159  

김하나 (국립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대학원) ,  박광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김정동 (국립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대학원) ,  박수빈 (국립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대학원) ,  어현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정진부 (국립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동나무 가지 (STB)와 잎(STL)은 $GSK3{\beta}$와 ROS에 의존하지 않는 ${\beta}-catenin$의 분해 유도를 통해 대장암 및 폐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상동나무 가지와 잎의 항암을 위한 대체보완소재 및 천연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추가적 연구를 통해 상동나무 가지와 잎의 ${\beta}-catenin$의 분해 유도 관련 기전연구와 항암 활성물질의 분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branch (STB) and leave (STL) extracts from Sageretia thea on ${\beta}-catenin$ level in human colorecal cancer cells, SW480 and lung cancer cells, A549. STB and STL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SW480 and A549 cells. STB and STL decre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동나무의 β-catenin 단백질 발현 조절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 상동나무가지와 잎 추출물의 대장암세포와 폐암세포에서 β-catenin 단백질 발현 조절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동나무의 정의는? 갈매나무과(Rhamnaceae) 식물인 상동나무(Sageretia thea) 는 약용식물로서 한국과 중국에서 간염과 발열을 위한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Chung et al., 2009; Hyun et al.
상동나무 가지는 어떤 효능을 가지는가? , 2019; Park et al., 2002), 상동나무 가지는 대장암세포와 유방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19; Ko et al.
상동나무의 β-catenin 단백질이 항암활성 관련하여 하는 역할은? , 2016). 상동나무의 항 암활성 관련 작용기전 연구에서 가지와 잎 추출물은 GSK3β의 존성 cyclin D1 인산화를 통해 cyclin D1의 분해 및 Nrf2 의존성 HO-1 발현 유도를 통해 대장암세포의 세포생육억제와 세포사멸을 유도하다고 보고되었다(Kim et al.,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