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과 『송본상한론(宋本傷寒論)』의 백호탕(白虎湯) 및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蔘湯) 탕증(湯證)에 대한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ihutang(白虎湯) and Baihujiarenshentang(白虎加人蔘湯) Patterns in 『Jinguiyuhanjing(金匱玉函經)』 and 『Songbenshanghanlun(宋本傷寒論)』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2 no.2, 2019년, pp.111 - 134  

최동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spective between "Jinguiyuhanjing" and "Songbenshanghanlun" in regards to Baihutang and Baihujiarenshentang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relevant verses of the two texts. Methods : Comparative analysis was undertaken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two ...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70조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처럼 170조는 내적으로 두 탕증을 감별에 대한 기준이 모호하다는 난점을 지니고 있으며, 외적으로 보면 소위 無表證만으로는 두 탕증을 擬似證으로부터 감별한다는 금기 본연의 취지에 대해 전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오국통은 辛涼重劑 白虎湯證을 立論하면서 소위 四大證과 四大禁을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는데, 전자가 두 탕증의 주증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호 감별을 규정하는 의미를 지닌다면, 후자는 두 탕증과 의사증과의 감별을 입체적으로 규정하는 의미를 지니는 있다.
白虎湯 및 白虎加人蔘湯이 무엇인가? 白虎湯 및 白虎加人蔘湯은 張仲景 經方을 대표하는 처방 가운데 하나로, 현대 임상에서도 傷寒이나 溫病 등의 열성 질환은 물론 일부 내과 질환에 이르기까지 가감을 통하여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1)2). 그런데도 『傷寒論』의 관련 조문을 통하여 두 湯證의 主證 및 감별점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몇 가지 의문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오늘날 중국 학계에서 白虎湯證으로 널리 인정하는 소위 ‘四大證’이 『傷寒論』 원문에서 보면 白虎湯證이 아니라 白虎加人蔘湯證이라는 비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크게 문제 삼지 않아도 될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의 주장은 문헌 연구 관점에서 보면 사실에 근거한 자연스러운 결론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임상실천을 결합하여 융통성 있게 바라보면 두 탕증은 원래 『傷寒論』에서부터 病機와 主治를 상당 부분 공유하는 것으로서 양자의 효능 상의 공유점에 비하면 차이점은 오히려 부분적인 문제에 불과하며, 吳鞠通이 말하는 白虎湯 ‘四大證’ 및 ‘四大禁’5)이 비록 『傷寒論』의 원문과 일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임상 적용에 있어 준거로 삼을만하고 실제로도 확실한 효험을 보이며, 현실적으로 대다수 임상가와 학자들이 이를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문헌학적 관점에서의 일부 불일치는 크게 문제 삼을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 설득력을 얻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실적 입장에 설 때 오히려 『傷寒論』 원문의 결함을 어느 정도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함을 깨닫게 되니, 이것이 바로 『傷寒論』의 특별한 가치를 신뢰하는 연구자들을 괴롭혀 온 모순인 것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