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량 사고에서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 단축을 위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for the Shorten of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Response Time in Vehicle Accid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111 - 117  

전혁진 (춘해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초록

본 연구는 차량 사고에서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융합연구이다. 연구방법은 한국형 교통사고 심층조사 분석 체계(Korea In-Depth Accident Study)에서 2011년 1월 1일부터 2016년 7월 30일까지 3개의 응급의료센터에 119구급대로 내원한 차량 탑승자 353명을 대상으로 날씨, 도로유형, 사고유형, 구조대 출동 여부를 활용하여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에 대해 요인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고속도로는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을 가장 많이 소요하였고 전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beta}=.543$, p<.001). 따라서 고속도로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고속도로 119구급대의 운영과 비상회차로의 적극적인 사용, 개별 장치를 부착한 자동 긴급구조신호 서비스의 제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convergence study to find a way to shorte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response time in vehicle accid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hospital emergency response time by utilizing weather, road type, accident type, and rescue response to 353 vehicle passeng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량 사고에서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에 대해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별 평균 시간의 비교와 요인 분석을 통해 소요시간 단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 단축을 위한 방안으로 고속도로 119구급대의 설치 운영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경찰에서는 고속도로 순찰대가 운영됨으로써 사고 현장의 빠른 처리가 가능한데 최적의 입지에 설치하여 관할구간을 설정하면 사고 당 5.
  • 본 연구는 차량 사고에 응급의료체계가 대응할 때 발생되는 소요시간을 현장도착시간, 병원도착시간, 전체시간으로 구분하여 각 변수에 따라 평균 시간을 비교하고 전체시간에 대한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의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차량 사고에서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융합연구이다. 연구결과에서 눈 내리는 날씨에서 현장도착시간은 비 내리는 날씨에 비해 더 많이 시간을 소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속도로는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을 가장 많이 소요한 도로유형이었고 지방도와 측면충돌은 가장 적은 시간은 소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차량 사고에서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에 대해 변수별 시간 소요를 비교하며 전체 소요시간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정하였다.
  •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의 단축을 위해서는 고속도로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고속도로 119구급대 운영을 제시하였고 비상회차로의 사용 또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모색되었다. 추가적으로 신고시간과 출동시간과의 간극을 해소시키기 위해 자동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체계란? 응급의료체계는 긴박한 사고 현장에 대응하여 응급환 자에게 처치와 이송, 병원진료를 유기적인 체계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3]. 교통사고 환자는 외상환자로서 치료에 필수적인 처치를 한 시간 내(Golden hour)에 제공해야 생존율이 향상되는데 이 중 10분(Platinum minute) 안에 현장 평가, 환자평가, 환자의 중증도 선정, 응급처치, 적정병원으로의 이송결정, 이송 준비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4].
도로 유형 중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도로 유형의 대응시간 단축을 위해 제시된 것은 무엇인가?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의 단축을 위해서는 고속도 로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고속도로 119구급대 운영을 제시하였고 비상회차로의 사용 또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모색되었다. 추가적으로 신고시간과 출동시간과의 간극을 해소시키기 위해 자동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응급의료 대응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곳은 어디인가? 연구방법은 한국형 교통사고 심층조사 분석 체계(Korea In-Depth Accident Study)에서 2011년 1월 1일부터 2016년 7월 30일까지 3개의 응급의료센터에 119구급대로 내원한 차량 탑승자 353명을 대상으로 날씨, 도로유형, 사고유형, 구조대 출동 여부를 활용하여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에 대해 요인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고속도로는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을 가장 많이 소요하였고 전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beta}=.543$,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9 Mar 2019). KOSIS. Transportation. http://http://kosis.kr/index/index.do 

  2.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29 Mar 2019). TASS . Major Traffic Accident Statistics. Transportation. http://taas.koroad.or.kr/ 

  3. J. M. Koh, T. M. Kim & H. S. Kim. (2003). A Study on Development Way of Fire Fighting 119 Angers of Jeju Islander.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7(1), 147-178. 

  4. S. K. Yoou & T. H. Uhm. (2010). Correlation between En route Distance and Role Time on Call Eeceived Hou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4(3), 5-11. 

  5. J. G. Yoon, G. N. Kim, K. W. Kim & Y. T. Jeong. (2004).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Patients who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by 119 Rescue Service at Nigh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8(1), 117-126. 

  6. T. H. Uhm.. (2005). An Analysis of Emergency Care Based on Prehospital Care Repor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9(1), 101-110. 

  7. K. Y. Lee, J. D. Moon & E. S. Choi. (2016).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119 Ambulance Dispatch, the Distance and Response Time to the Scene. Th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22(2), 29-36. 

  8. S. W. Kim, J. W. Lee & Y. H. Youn.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Structure for the Korea In-depth Accident Study. Transportations of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16(1), 482-492. 

  9. Y. S. Chung, R. K. Park & J. M. Kim. (2014). Study on predictive modeling of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weather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5(1), 9-15. 

  10. C. W. Jeong. (2007).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Drowsy Driving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olice Science Institute, 21, 46-69. 

  11. N. Chakrabartya & K. Guptab. (2013). Analysis of Driver Behaviour and Crash Characteristics during Adverse Weather Condition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 104, 1048-1057. 

  12. C. Kleber et al. (2013). Rescue time and survival of severely injured patients in Germany. Der Unfallchirurg, 116(4), 345-350. DOI: 10.1007/s00113-011-2132-5 

  13. S. Park. (2011). 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Toll Expressways in Korea. Kookmin Law Review, 24(1), 341-373. 

  14. H. R. Shin. (2009). Evaluation on the Improvement Project of Provincial Road Structure, Seoul :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15. J. Y. Park, D. S. Kim, Y. C. Kwak, C. K, Son & Y. H. Youn. (2018). The Effectiveness of Center Airbag on Passenger Kinematics and Head Injury in Side Collisions.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10(3), 7-12. 

  16. M. H. Kim, H. S. Kim, D. K. Kim & C. W. Lee. (2013). Optimal Location of Expressway Patrol Vehicle Stations Using Maximum Covering and Weighted p-Center Problem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2(1), 43-50. 

  17. J. G. Yun & K. C. Choi. (2017). The propriety of Spatial Arrangement Condi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 Mainly Around H Town Area, Countrysid of Y city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1), 374-380. 

  18. X. Liu, G. Chen & L. Li. (2014). Time Criteria for Opening Movable Guardrails Fast.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f Logistics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 642-649). Berlin : ICLEM 

  19. R. Allan (2003). OnStar System Puts Telematics On The Map Millions of drivers now take advantage of this interactive automotive security, convenience, and roadside-assistance infrastructure. Electronic Design, 51(7), 49-56. 

  20. R. M. von Bulow & M. Neubauer. (2013). BMW Assist Advanced eCall: Overview and Benefits. Journal of th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of Japan, 67(12), 26-31. 

  21. W. Wei & F. Hanbo. (2014, April). Traffic accident automatic detection and remote alarm device.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 Information and Control Engineering, (pp. 910-913). Wuhan : IEEE 

  22. S. Chaklader, J Alam, M. Islam & A. S. Sabbir. (2014, May). Black Box: An emergency rescue dispatch system for road vehicles for instant notification of road accidents and post crash analysis.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cs, Electronics & Vision (ICIEV), (pp. 1-6). Dhaka : IEE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