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in General Education for Enriching Convergen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221 - 228  

김대영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  현민철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  김정민 (수원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의 교양교육은 전공교육에 비해 본래의 교육적 의의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단계는 바로 현재 각 대학이 편성 운영 중인 교양교육에 대한 정확한 진단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교양교육과정 평가도구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이론적으로 교양교육과정 평가도구를 단편적으로 나열한 것에서 벗어나, 평가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AHP 분석기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평가도구의 배점을 결정하였다. AHP 분석 결과 교양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평가 중 편성의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후순위로는 운영과 평가 영역으로 나타났다. 전체 22개 평가 지표 중 가장 높은 가중치로 결정된 지표는 "교과목 편성의 적절성"으로 나타났으며, 2순위로 "교양교육과정 목표의 적절성"이 선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is facing the problem of failing to perform its original educational function compared to major education. The most urgent step in solving this problem lies in the evaluation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designed and implemented by each university. Theref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역의 융합교육 내실화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각 대학에서 편성·운영 중인 교양교육과정의 진단이 우선되어야 하기에 본 연구를 교양교육과정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교양교육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계신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발된 평가도구의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과정 평가요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교양교육과정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교양교육 평가 지표들을 분석하여, 중복되는 항목을 제거하고 각 영역별 평가항목 리스트를 1차로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역의 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출발점으로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향후 각 대학이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양교육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유형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학계에 발표되거나 대학 현장에서 융합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실시되고 있는 유형은 다양하다[1]. 이중 교양교육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유형은 교차 이수형이다[1]. 각 대학의 교양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초 학문 영역을 구분되며, 각 영역은 관련 교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다.
교양교육을 강화하고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교양교육을 강화하고 내실화하기 위해서 첫째, 교양교육은 학적 보편성이 강한 기초학문 분야가 전담하도록 하고, 둘째, 기초학문분야의 다양한 모든 영역,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이 균형을 잃지 않도록 각 영역이 두루 참여해야 하며, 셋째, 그 학업량은 적어도 전체 학업량의 3분의 1이상 되도록 하며, 넷째, 그 교육내용이 학문적 깊이가 있으면서도 새로운 문화적 현실에 부응하도록 지속적으로 쇄신해 나가야 할 것이다[3]. 
교양영역에서의 융합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확실히 교양영역의 융합교육을 통해 교양교육의 내실화가 도모되고 있다는 점에서 환영받을 만한 일이다. 하지만 교양 및 전공교육과정 영역에서의 융합교육은 학생들의 사고를 확장시키기 위해서 시작되었다기보다는 ACE나 CK와 같은 정부주도의 대형 사업을 유치하기 위한 일환으로 접근되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융합교육은 단기간의 상과주의에 치중하는 경우가 있고, 취업을 위한 실용적 지식만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설픈 제너럴리스트만을 양산할 수도 있고, 방대한 양과 높은 수준의 소수의 우수학생을 위한 교육”[2]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Y. Kim(2016). The merit and demerits of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194, 64-69. 

  2. H. Y. Kim(2013). The proposition of the directions about convergence-based courses and basic-convergence subjects for systemed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2), 11-38. 

  3. D. H. Son(2009). The basis of integrative education & the role of university colleg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3(1), 21-32. 

  4. L. S. Lattuca & J. S. Stark. (2009). Shaping the college curriculu: Academic plans in context. CA: Jossey-Bass. 

  5. D. Y. Kim., et al.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Seoul: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6. H. J. Hong.(2012). Easy understanding curriculum. Seoul: Hakjisa. 

  7. K. C. Huh. (2002). Some thoughts on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2), 1-26, 

  8.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2001). Accreditation system for academic evaluation in 2001. 

  9. H. R. Park.(2007).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General Curriculum of the 4-Year Colleg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109-132. 

  10. S. H. Bae et al. (2012).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educational achievement in general education. Seoul: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11. H. J. Hong & J. K. Lee.(2015). The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a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9(3), 163-192. 

  12. S. H. Bae & J. H. Park. (2016). The support plan of general education for freshman. Seoul: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13. S. K. Hong. et al.(2016).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general education. Seoul: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14.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2017). 2017 general education consulting manual. Seoul: KNIGE. 

  15.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2011). Beyond interdisciplinary boundarie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