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년 여성의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Adolescent Parenting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267 - 277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이승민 (경상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를 둔 중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청소년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한 중년 여성 197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28.0으로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외상 후 성장은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반복연구를 통해 향후 중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arenting traumatic experiences, parenting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related characteristics in middle aged women and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97 middle aged women who experienced adolescent parenti...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중년기는 생의 주요 전환기로 위기의 시기이자 성숙을 도모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이들의 정신·심리적 성숙을 돕고 발달과업의 올바른 이행을 통해 부모-자녀의 정신건강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의 성공적 발달과업 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이들의 외상 후 성장 정도를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추후 중년 여성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의 성공적 발달과업 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이들의 외상 후 성장 정도를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추후 중년 여성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를 중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에 대해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에 대해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C와 J시에 거주하는 청소년 자녀를 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를 원하고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대상지역의 일반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자녀를 둔 40~64세 이하의 중년 여성으로 신문전단 광고와 설명회를 통해 모집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자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세대가 젊은 층과 느끼는 세대갈등이 이전 세대보다 더 큰 이유는 무엇인가? 중년기는 주요한 생애 전환기로 우리나라는 노인장기 요양보험법에 근거하여 만 40세에서 64세까지의 연령층을 의미한다[1]. 우리나라의 중년세대는 성장과정에 급격한 사회경제적 및 문화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이전 세대보다 젊은 층과의 세대갈등을 더 크게 느끼고 있으며, 이는 자녀양육에도 영향을 미친다[2]. 이 시기에는 신체적 능력이 감퇴하고 질환발생이 많아지는데 여성의 경우는 폐경으로 인해 정신·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상실감이나 우울감, 그리고 불안과 고립 등의 문제를 호소하기도 한다[3].
중년기란? 중년기는 주요한 생애 전환기로 우리나라는 노인장기 요양보험법에 근거하여 만 40세에서 64세까지의 연령층을 의미한다[1]. 우리나라의 중년세대는 성장과정에 급격한 사회경제적 및 문화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이전 세대보다 젊은 층과의 세대갈등을 더 크게 느끼고 있으며, 이는 자녀양육에도 영향을 미친다[2].
중년세대는 어떠한 문제를 호소하는가? 우리나라의 중년세대는 성장과정에 급격한 사회경제적 및 문화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이전 세대보다 젊은 층과의 세대갈등을 더 크게 느끼고 있으며, 이는 자녀양육에도 영향을 미친다[2]. 이 시기에는 신체적 능력이 감퇴하고 질환발생이 많아지는데 여성의 경우는 폐경으로 인해 정신·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상실감이나 우울감, 그리고 불안과 고립 등의 문제를 호소하기도 한다[3]. 여성의 갱년기 증후군은 신체적 및 심리적인 노화로 실존적인 공허를 경험하게 하며 중년기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J. J. Park. (2017). Reform direction for elderly-related legislation in an aged.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54, 67-80. 

  2. H. K. Chang. (2018). Influencing factors on mid-life cris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30(1), 98-105. Doi : 10.7475/kjan.2018.30.1.98 

  3. J. S. Cheon. (2003). Reproductive psychiatry : Perimeno-pause and menopause. Journal of The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42(1), 46-53. 

  4. K. R. Shin, E. S. Kong, G. B. Kim, N. C. Kim, C. H. Kim & C. K. Kim. (2002). Middle-aged woman, lived experience with aging,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 878-887. 

  5. M. S. Jung & H. J. Kwon. (2017). The convertgent-factors influencing of the middle aged women's perceived ag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493-501. Doi : 10.14400/JDC.2017.15.2.493 

  6. K. J. Moon & K. J. Oh.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behaviors and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1), 29-43. 

  7. I. Y. Yu. (2005). Parenting stress of adolescent childr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8(1), 17-22. 

  8. J. O. Kim & G. J. Lee. (1988). A study on the stress factor of housewives and the method of coping with stress. Journal of the Women's Problems Research Institute, 16, 37-59. 

  9. S. Y. Soh, J. Y. Ahn, D. H. Yang & K. M. Kim. (2014). Parental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transitions during early: With a focus on the FGI of adolescents and par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2(1), 247-279. 

  10. K. Sullivan & A. Sullivan. (1980). Adolescent-parent separ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93-99. Doi : 10.1037/0012-1649.16.2.93 

  11. C. Maslach & S. E. Jackson.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 2, 99-113. Doi : 10.1002/job.4030020205 

  12. E. K. Kim & C. K. Koh. (2016). The relation of parenting stress, anger and somatization symptom of mother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3), 151-160. 

  13. M. Cosgrove. (2002). Counseling for anger. Dallas : Word Publishing. 

  14. J. K. Kim. (2009). Psychology of healing in movies. Seoul : Sigmabooks. 

  15. S. H. Lee, H. S. Jang & Y. H. Yang. (2016).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on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5), 744-752. Doi : 10.4040/jkan.2016.46.5.744 

  16. C. L. Park & V. S. Helgeson. (200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growth following highly stressful life events-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5), 791-796. Doi : 10.1037/0022-006X.74.5.791 

  17. R. G. Tedeschi & L. G. Calhoun.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Doi : 10.1002/jts.2490090305 

  18. A. Maercker & T. Zoellner. (2004).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 Toward a two 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1), 41-48. 

  19. H. D. Im. (2010). Successful adaptation of middle aged-movement in the perspectives of dynamic psychiatry.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Development, (2), 61-72. 

  20. E. K. Yun, M. H. Kim & T. K. Kim. (1999).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2), 225-237. 

  21. C. W. Waltz & R. B. Bausell. (1981).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hiladelphia, PA : F. A. Davis. 

  22. K. M. Sung. (2013).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stress in parents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3), 216-229. Doi : 10.12934.jkpmhn.2013.22.3.216 

  23. S. H. Song, H. S. Lee, J. H. Park & K. H. Kim. (200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1), 193-214. Doi : 10.17315/kjhp.2009.14.1.012 

  24. M. S. Han. (1992). The study on stress from children's problems, coping strategy and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mid-life w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5. E. H. Youn. (2013).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he needs for parent education-With a focus on parents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26. Y. J. Jeon. (1996). A study on wive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Child & Family Welfare Study, 1, 159-177. 

  27. H. S. Kang & S. Y. Lee. (2017). Effects of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fema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7(10), 518-525. Doi : 10.5392/JKCA.2017.17.10.518 

  28. S. H. Lee, H. S. Jang & Y. H. Yang. (2016).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on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5), 744-752. Doi : 10.4040/jkan.2016.46.5.744 

  29. H. K. Kang. (2017). Convergence factors to post traumatic growth in female urogenital neoplasm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115-124. Doi : 10.15207/JKCS.2017.8.10.115 

  30. H. J. Kim, J. H. Kwon, J. N. Kim, R. Lee & K. S. Lee. (2008).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3), 781-799. 

  31. Y. W. Chang. (2000). Middle-age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ri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2. J. W. Oh, Y. S. Moon & I. S. Park. (2013). A study of nurse's working stress, child-rearing stress and parenting sttitude. Journal of Disital Convergence, 11(10), 469-481. Doi : 10.14400/JDPM.2013.11.10.469 

  33. M. H. Kim, J. S. Rhu & H. S. Sin. (1993). A study on the stress of housewife received in the family life and psychological distress- From the housewifes living in kwangju cit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1(2), 111-126. 

  34. E. J. Kim, S. D. Park & K. C. Kim. (2014).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8(1), 129-151. 

  35. E. J. Kim. (2014).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aregiving stress of working mother in the households providing child care by grandmother.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1(1), 237-259. 

  36. H. J. Lee. (2006). An impact of the parental stress and related variables of disabled adolescents' mother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5-1), 1-25. 

  37. T. G. Thomsen, S. Rydahl-Hansen & L. Wagner. (2010). A review of potential factors relevant to coping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23), 3410-3426. 

  38. E. Y. Seo, S. H. Kwon. (2018). The influences of spiritual well-being, self-estee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 Asian Oncology Nursing, 18(4), 232-240. Doi : 10.5388/aon.2018.18.4.232 

  39. C. Kilmartin. (2007). The masculine self(3rd ed.). Cornwall-on-Hudson. New York: Sloan Publishing. 

  40. G. Kaufman. (2000). Do gender role attitudes matter? Family formation and dissolution among traditional and egalitarian men and women. Journal of Family Issues, 21(1), 128-144. 

  41. J. H. Ha & J. H. Kim. (2016).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in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female single par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8(4), 1023-1046 

  42. Y. J. Son, H. H. Gong, M. A. You & S. S. Kong. (2015).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1), 515-530. 

  43. Y. S. Park, U. C. Kim & Y. Y. Shin. (2011).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perception of filial piety and its influence on life-satisfaction: With specific focus on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9(4), 87-120. 

  44. H. J. Kim, S. I. Lee & Y. B. Lee. (2010). The role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Studies on Korean Youth, 21(4), 115-142. 

  45. M. Seth. (2012). Education zeal, state control and citizenship in South Korea. Citizenship studies, 16, 13-28. 

  46. S. H. Lee & K. I. Lee. (2015). Effects of poor academic achievemen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tress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9), 83-211. 

  47. J. Shakespeare-Finch & J. Lurie-Beck.(2014). A meta-analytic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symptoms of posttraumatic distress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8(2), 223-229. Doi : 10.1016/j.janxdis.2013.10.005 

  48. J. D Huppert, L. F. Bufka, D. H. Barlow, J. M. Gorman, M. K. Shear & S. W. Woods. (2001). Therapists, therapist variables,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utcomes in a multicenter trial for panic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 747-7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