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d Study o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Depression Stress,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48 - 54  

김정숙 (세경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의 (세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의 관계와 그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C지역의 C대학과 H대학 3학년 간호대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없었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beta}=0.246$, p=.000), 자기효능감(${\beta}=-.170$, p=.000), 자아존중감(${\beta}=-.131$ p=.000)순으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의 원인과 우울수준을 심층적으로 사정하고 우울을 감소시켜 정서적 건강문제를 위협하는 대처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nursing students influence factor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of 116 nursing college students in 3rd graders at two c, h colleges in c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간의 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상담, 취업연계, 학습지도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우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위한 교육과 상담, 학습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은 우울과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우울의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우울의 원인과 우울수준을 심층적으로 사정하고 관리해 줄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부지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며 스트레스와 우울관련에 대한 연구범위를 확대시키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어떤 변화가 오는가 ?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습현장, 임상현장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긍정적으로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과 적응력이 높고 학업성취감이 높다[3]. 반면에 낮은 자아존중감은 슬픔, 우울, 무기력감을 경함하며 중증 우울로 진행될 수 있어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스트레스란 ? 스트레스는 스트레스원(stressor)에 대응하는 개인적 신체적 정신적 행동에 대한 반응상태를 말하며 정신질환의 원인적 요소가 되기도 한다[1]. 간호대학생은 일반 대학생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R. S. Lazarus & S. Fa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Verlag. 

  2. S. J. Whang.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 Efficacy, and Self - 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e education, 12(2), 205-213. 

  3. H. S. Kim. (2003). Original Articles :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Typ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al Health Nurs, 12(4), 385-393. 

  4. A. Bandura. (1969). Principle of behavior modific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Freedom and Company. 

  5. D. J. Kim. (2013). The Influence of Ego Resillance and self-efficacy on Departments Satisfacement of Nursing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6. Y. J. Choi, G. W. Lee, C. H. Jung & A. R. Lee. (2009).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Rational-Emotive Trai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Stress Cop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al Health Nurs, 18(2), 186-196. 

  7. Beck. (1987). Cognitive models of depression.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 An International Quarterly, 1, 5-37. 

  8. H. M. Park. (2013). The effect o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stress and depression in regards to personal relationship. Doctoral dissertation.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9. Yunhap News. (2013). Serious Youth Mental Health. 

  10. Y. S. Choi. (2011). The Effect of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rapy on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Cha Medical University. pochon. 

  11. G. S. Uo, S. J. Jang, O. J. Choi & G. W. Park. (2008).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10-419. 

  12. J. Y. Hong. (2012). Lif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2(2), 35-42. 

  13. S. Y. Kim, S. Y. Lim & H. M. Choi. (201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in clinical practic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1(4), 59-64. 

  14. M. Rogenberg.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B. Z. Jeon. (1974.).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elf concept measurement. Yonsei Publishing House. 109-129. 

  16.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 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17. H. S. Oh.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18. Y. H. Lee & J. Y. Song.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e. 10(1). 

  19. S. K. Choi. (2018).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257-266. DOI : 10.14400/JDC.2018.16.5.257 

  20. S. J. Yu, M. R. Song & E. M. Kim. (2014).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 71-80. DOI : 10.5977/jkasne.2014.20.1.71. 

  21. H. Y. Jung. (2016).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59-268. DOI : 10.14400/JDC.2016.14.7.259. 

  22. M. K. Jeon & M. S. Kim. (2013). A study on relations among patient-adllesent communication self differentiation self esteem Life stress in Nursing department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4), 293-302. 

  23. S. J. Jang, S. B. Goo & D. B. Kang. (2005).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Korean job stress measurement tool.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Science, 17(4), 297-317. 

  24. M. G. Seo. (2004). A Comparative Study on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Self-esteem Perceived Delinquent and Normal Adolescents. Master's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25. M. Y. Seong, O. S. Kim, Y. O. Jung & S. H. Sok. (2017). Comparisons of Clinical Practicum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Type D Personality and non-Type D Personalit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al Health Nurs, 26(3), 217-225. DOI : 10.12934/jkpmhn.2017.26.3.217 

  26. K. M. Yang. (2016).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7(11). DOI : 10.15207/JKCS, 2016. 7. 1.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