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신경계 재활 환자 가족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NeuroRehabilitation Patients on Family Burd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77 - 85  

양영미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조미옥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하여 뇌신경계 재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가족부담감 정도와 일반적 특성, 질병특성에 따른 부담감의 차이를 파악하고, 융합적인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재활병원에서 재활 치료중인 환자의 주 돌봄제공자인 가족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가족의 부담감 수준은 평균 3.16로 나타났고, 가족의 부담감은 돌봄자의 연령, 교육수준, 돌봄자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부담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한 결과 돌봄자의 연령, 학력, 종교, 환자와의 관계가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중인 가족부담감을 낮추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일반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burden of family burd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undergoing cranial nerve rehabilitation in hospitalized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gration. The questionnaire wa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신경계 재활 환자가족의 부담감 정도와 환자가족의 일반적 특성, 환자의 질병특성이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하여 뇌신경 재활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의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담감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재활 치료중인 뇌신경계 질환 환자를 돌보는 가족돌봄자 113명을 대상으로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신경계 재활 환자를 돌보고 있는 가족의 부담감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신경계 재활 환자의 가족보호자의 부담은 어떠한가? 이것은 결국 가족보호자의 부담으로 직결되어 가족의 갈등과 스트레스 유발 등 가족의 역기능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장애인과 가족이 장애상황을 극복하고 사회 환경에 적응해가는 재활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할 수 있다[15]. 또한 가족의 모든 중심이 장애를 입은 대상자에 집중되어 있기에 보호자는 자신의 삶에서 일상적 생활도 스스로 제한하고 여가생활과 오락 및 사회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고립현상을 보이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가족의 건강한 기능을 위해 환자를 돌보는 가족에게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뇌신경계 질환의 특성은 무엇인가? 뇌신경계 질환은 재활치료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뇌병변이 대표적인 것으로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특성상 일단 생존한 환자의 대부분은 장애를 갖게 된다[1]. 대표적인 뇌병변 장애는 뇌졸중,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으로 분류되는 장애로서 뇌병변장애인의 출현율은 인구 천 명당 6.
뇌병변 장애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신경계 질환은 재활치료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뇌병변이 대표적인 것으로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특성상 일단 생존한 환자의 대부분은 장애를 갖게 된다[1]. 대표적인 뇌병변 장애는 뇌졸중,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으로 분류되는 장애로서 뇌병변장애인의 출현율은 인구 천 명당 6.20건으로 전체 302,3천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 R. Han. (2008). The Current Status of Brain Neurorehabilitation in Korea. Brain & NeuroRehabilitation, 1(1), 1-5. DOI : 10.12786/bn.2008.1.1.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https://www.data.go.kr/dataset/fileDownload 

  3. Y. H. Kim. (2001). Principle of Neurorehabilitation. Journal of the K. S. C. N, 3(2), 223-227. UCI : G704-SER000010584.2001.3.2.020 

  4. M. A. Gignac & C. Cott. (1998). A conceptual model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for adults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and disability. Soc Sci Med, 47(6), 739-753. DOI : 10.1016/SO277-9536(98)00149-X 

  5. C. J. Jeong. (1995). The Effect of a Caregiver Social Support Group on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Primary Caregivers with Brain and Spinal Injuries.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4(2), 124-142. UCI : I410-ECN-0102-2009-510-009539869 

  6. L. G. Collins & K. Swartz. (2011). Caregiver Care. American Family Physician 83(11), 1309-1317. www.aafp.org/afp 

  7. C. C. Goodman & J. Pynose. (1990). A model telephone information & support program for caregivers of Alzheimer's patient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ica, 30(3), 399-404 

  8. N. H. Kim, Y. S. Tae, Y. S. Choi & J. H. Bae. (2016). Influencing Factors on Stress in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Being Admitted in Rehabilitation Cent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17(2), 188-201. DOI : 10.5762/KAIS.2016.17.2.188 

  9. K. Y. Lee & K. Y. Sohng. (1996). A Study on the Degree of Burden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J of Korean Acade of Nursing, 26(4), 853-867.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031895. 

  10. Y. J. Lim, B. H. Cho, H. S. Jang & H. J. Jeong. (2009). A Study on Burden and Well-being of Primary Caregivers od Patients with a Stroke. J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3), 272-281.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620576. 

  11. E. Y. Kim, E. Y. Shin & Y. M. Kim. (2018). Caregiver Burde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troke Caregivers. J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1), 5-13.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29025. 

  12. S. H. Zarit, K. E. Reever & J. B. Bach-Peterson. (1980).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 Correlates of Feeling of burden. The Gerontologist, 20(6), 649-655. 

  13. H. M. Cha. (2005). A Study on Self-help Group Program for Non-congenital Physically Handicapped Family Caregivers frok an Empowerment Perspective.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2, 161-195 http://www.riss.kr.libproxy.bu.ac.kr/link?idA105783841 

  14. J. H. Sohn. (2011). Family Issues in Neurorehabilitation. Brain & NeuroRehabilitation, 4(2), 88-94. 

  15. S. J. Yu & Y. H. Park. (2006). Influencing Fctors on Family Functioning of Caregivers in Families with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18(3), 457-467. 

  16.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39(2), 175-91. DOI : 10.3758/BF03193146 

  17. M. H. Suh & K. S. Oh. (1993). A Study of Well-Being in Cregivers Caring for Chronically Family Memb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3), 467-486. http://www.dbpia.co.kr.libproxy.bu.ac.kr 

  18. S. H. Bang & H. J. Jang. (2007).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with a Chronic Disease and Burden on Family Caregivers. J Korean Acad Nurs 37(1), 135-144.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011304. 

  19. E. S. Kim, J. S. Park & C. J. Park. (2002). A Relation Study on Burd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the Family Caregiver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654-664. http://www.richis.org 

  20. Y. Kim & E. Y. Choi. (2012). An Analysis of Family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the Patient with Brain Injury. stress reserch, 20(1), 61-68. http://www.dbpia.co.kr.libproxy.bu.ac.kr/Journal/ArticleDetail/NODE02026195 

  21. J. Y. Lee & Y. A. Kim. (2009).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urd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aregive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 41-48. UCI : I410-ECN-0102-2012-510-003386250 

  22. I. S. Kim & S. H. Yang.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Coping Behavior of Stroke Patients' Family Members. Chosun University, GwangJu. 

  23. H. K. Park & K. M. Park. (2011). Factors Influencing the Burden Felt by Main Family Patients with Brain and Spinal Disease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2(4), 389-398. http://kiss.kstudy.com.libproxy.bu.ac.kr/thesis/thesis-view.asp?key3068100 

  24. J. S. Lim & B. Y. Chung. (2018). Influencing Factors on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of Inpatients With Acute Stroke. J Korean Acad Soc Educ, 24(2), 149-159. DOI : 10.5977/jkasne.2018.24.2.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