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치기반 트윗 데이터를 이용한 도심권 추정과 인구의 공간분포 분석
Discovery of Urban Area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ity Population using Geo-located Tweet Data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8 no.1, 2019년, pp.131 - 140  

김태규 (광운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이진규 (광운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조재희 (광운대학교 정보융합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eople in two cities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twitter data. The target cities were selected as Paris, a traditional tourist city, and Dubai, a tourist city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The data was collected over 123 days i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연동된 트윗의 위치정보는 트윗봇이나 중계기 위치가 아닌 사용자가 등록한 정확한 위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Instagram앱이나 Foursquare앱을 통해 업로드한 트윗만을 추출하였다. 한편 현지인과 외국인 분류는 사용자 모국어(user_language) 필드값을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 이에 따라 Cho and Baik(2018)은 다트형 공간분할 기법을 창안하였는데, 이것은 특정 지역(예 :지하철 역세권)의 중심점을 설정하고, 이 지역 내에서 SNS가 발생한 위치와 중심점 간의 거리 뿐만 아니라 SNS가 발생한 위치, 중심점, 그리고 정북 수직선이 형성하는 사잇각을 모두 계산한 후, 이 두 가지 속성값을 다트형 공간을 창출하는 기초 데이터로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공간분할 개념을 도시라는 비교적 큰 공간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파리와 두바이 두 도시에서 발생한 지오트윗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시 내 사람의 공간분포를 분석하였다. 2016년과 2018년, 내국인과 외국인으로 구분하여 공간분포의 차이를 비교 · 분석 하였으며, 도심권의 면적을 계산하고 시각적으로 형상화하여 차이점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윗 데이터 분석 연구의 분류방식은? 트윗 데이터 분석 연구는 사용자의 분포와 이동성을 분석하는 연구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연구로 분류되며, GPS와 같은 위치값의 존재할 경우 상세한 분포 분석과 이동성 분석이 가능하고, 위치값이 없을 경우 후자와 같이 위치 추정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Cho and Seo, 2016).
폴리곤의 형태가 24각형이 되는 이유는? 도시중심점으로부터 10km 이내의 공간에서 수집된 트윗과 15°각도로 등분한 24개의 파이형 차원을 이용하여 폴리곤 형태를 만들어 두 도시의 도심권역을 추정하였다. 폴리곤은 각 파이형 공간의 트윗위치의 산술평균 24개 지점을 꼭짓점 삼아 연결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폴리곤의 형태는 24각형이다.
지오트윗 데이터 안에는 어떤 데이터가 존재하는가? 지오트윗 데이터 안에는 트윗봇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와 중계기(Cell) 위치값을 기록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트윗봇’은 트위터에서 트윗글을 예약된 시간에 올리게 하거나 다른 트위터 이용자를 자동으로 팔로우 하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이며 ‘트위터(Twitter)’와 ‘로봇(robot)’의 합성어로 ‘로봇이 발송하는 트윗’이라는 의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rbosa, H., M. Barthelemy, G. Ghoshal, C.R. James, M. Lenormand, T. Louail, R. Menezes, J.J. Ramasco, F. Simini, and M. Tomasini, "Human mobility : Models and Applications", Physics Reports, Vol.734, 2018, 1-74. 

  2. Cho, J.H. and E.Y. Baik, "Geo-spatial Analysis of the Seoul Subway Station Areas Using the Haversine Distance and the Azimuth Angle Formula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ol.17, No.4, 2018, 139-150. 

  3. Cho, J.H. and I. Seo, "Investigation of Twitter Users' Activity Radius and Home Region in the City : The Case of Las Vega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42 No. 2, 2017, 505-513. 

  4. Cho, J.H. and I. Seo, "Comparing the spatial mobility of residents and tourists by using geotagged tweet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ol.15, No.3, 2016, 211-221. 

  5. Gao, S., "Spatio-Temporal Analytics for Exploring Human Mobility Patterns and Urban Dynamics in the Mobile Age", Spatial Cognition and Computation, Vol.15, No.2, 2015, 86-114. 

  6. Hawelka, B., I. Sitko, E. Beinat, S. Sobolevsky, P. Kazakopoulos, and C. Ratti, "Geo-located Twitter as Proxy for Global Mobility Patterns",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Vol.41, No.3, 2014, 260-271. 

  7. Hong, I.Y.,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Geotweets",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Vol.15, No.2, 2015, 93-101. 

  8. Kang, H.Y., H.J. Jung, and J.Y. Lee, "A Study of Subspacing Strategy for Service Applications in Indoor Spac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23, No.3, 2015, 113-122. 

  9. Kulshrestha, J., F. Kooti, A. Nikravesh, and K.P. Gummadi, "Geographic Dissection of the Twitter Network",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2012, 202-209. 

  10. Lenormand, M., B. Gonclves, A. Tugores, and J.J. Ramasco, "Human diffusion and city influenc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 Vol.12, 2015, doi:10.1098/rsif.2015.0473(Downloaded July 23, 2016). 

  11. Shin, W.-Y., B.C. Singh, J.H. Cho, and A.M. Everett, "A New Understanding of Friendships in Space : Complex Networks Meet Twitter",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Vol.41, No.6, 2015, 751-764. 

  12. Yin, J., Y. Gao, Z. Du, and S. Wang, "Exploring multi-scale spatiotemporal twitter user mobility patterns with a visual-analytics approach", ISPRS Int. J. Geo-Inf., Vol.5, No.10, 2016, 1-19. 

  13. Zheng, Y.T., Z.J. Zha, and T.S. Chua, "Mining Travel Patterns from Geotagged Photos", ACM Transactions on Intelligent Systems and Technology, Vol.3, No.3, 2012, doi:10.1145/2168752.2168770 (Downloaded July 21,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