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적 집단주의(우리성, we-ness)가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Influence of Korean Collectivism(Uri, we-ness)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1 - 14  

양정은 (평택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한국인들에게서 보이는 집단주의의 모습은 서양 이론에서 정의한 집단주의(collectivism)와는 차이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인들의 집단주의 정서, 즉 '우리성(we-ness)'의 개념이 가지는 하부차원을 규명하고, 이러한 '우리성'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적 집단주의인 '우리성'은 심리적지지, 집단이기주의, 집단회의주의, 개인희생, 집단지향, 정서적 친밀감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크게 긍정적 집단주의(심리적지지, 집단지향, 정서적 친밀감)와 부정적 집단주의(집단이기주의, 집단회의주의, 개인희생)로 나뉠 수 있었다. 긍정적 집단주의와 부정적 집단주의가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 집단주의는 건설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부정적 집단주의는 비건설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argued that the collectivism found among Koreans are quite differenct from the collectivism defined by Western theories. The study aims to define the dimensions of the Korean collectivism (Uri, we-nes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ri dimensions on variou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h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이러한 ‘우리성’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갈등 커뮤니케이션 역량 또한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종종 다루어졌던 커뮤니케이션 변수들이다 [38]. 이 연구에서는 논쟁성(argumentativeness)/언어적 공격성(verbal aggressiveness) 및 갈등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 즉 똑같이 적극적(aggressive) 커뮤니케이션이지만, 공격의 대상이 상대방의 입장이냐 상대방의 인격이냐에 따라 논쟁성과 언어적 공격성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논쟁성과 언어적 공격성이 우리성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한국적 집단주의인 우리성(we-ness)을 구성하고 있는 하부차원과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우리성의 하부차원들이 커뮤니케이션 행위 (커뮤니케이션 역량 및 갈등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553으로 나타났다. 직접대면의 신뢰도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이론적으로 검증된 척도임을 고려하여 분석에 사용하되, 결과 해석에 주의하고자 하였다.
  • 첫째, 한국적 집단주의 정서, 즉 ‘우리성’의 개념이가지는 하부 차원을 규명하고 그 구성요소를 밝히고자하였다.
  • 특히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한국인의 ‘우리성’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 한국적 집단주의인 우리성을 구성하는 하부 요인들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한국적 집단주의인 우리성에서 발견된 서로 상반된 차원의 집단주의 변수가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갈등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645로 나타났다. 표현력 및 지지 차원의 신뢰도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이론적으로 검증된 척도임을 고려하여 분석에 사용하되, 결과 해석에 주의하고자 하였다.
  • 이를 사회적 관점에서 본다면, 개인이 가진 긍정적 집단 주의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집단주의를 최소화하는 것이 상생과 협력, 사회적 갈등 해소로 갈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긍정적 집단주의가 발현되며 어떤 경우에 부정적 집단주의가 발현되는가? 한국인의 집단주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맥락(context) 변수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질문에 대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직적 집단주의는 무엇인가? 수평-수직 차원은 홉스테드의 문화 이론 중 권력거리(power distance)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 차원을 추가함으로 개인주의나 집단주의 문화내의 ‘권위수용’의 정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18]. 수직적 집단주의의 경우 집단 성원들 간 위계질서가 확고하며 권위에 복종하며, 집단의 목표를 위해 자신의 목표를 희생하는 집단 일체감을 중요시한다. 수평적 집단주의는 자신을 다른 사람과 동등하다고 생각하며, 공동의 목표를 강조하지만 권위에 굴복하지 않으며, 공동체적 목표를 강조하고 대인관계를 중시한다[21].
미국, 한국, 중국, 일본인이 자신과 집단의 관계와 집단 내 자신과 구성원의 관계에서 중요시 하는 것은 무엇인가? 집단주의 척도에 나타난 집단주의의 구성요소는 크게 자신과 집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과 집단 내에서 자신과 집단 내의 구성원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뉜다[25]. 예를 들어 미국인들의 경우 ‘집단에의 소속감’과 관련된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반면 한국인들의 경우 ‘집단 내 타인과의 관계성’과 관련된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일본인의 경우 ‘타인과 함께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중국인의 경우 ‘내집단 내 구성원간의 조화’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집 단주의 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 문화권이 가지는 문화적 특징을 설명하는 변수로써 가장 많이 연구된 분석틀은 집단주의-개인주의 이론이며[17], 이 중 가장 널리 인용되는 연구는 홉스테드(1984)의 문화이론이다[4][12]. 홉스테드에 의하면, 집 단주의 문화에서 구성원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에 의해 부과된 의무와 규범에 의해 동기화되고, 개인적 목표보다는 집단의 목표에 우선을 두며, 집단 구성원들과 자 신의 연결성을 강조한다는 특징을 가진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경동, 한국사회변동, 서울: 나남, 1993. 

  2.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서울: 생각의나무, 2007. 

  3. 최상진,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0. 

  4. G.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 Bevery Hills, CA: Sage, 1984. 

  5. M. S. Kim, Non-Western perspective on Human Communication, Thousand Oaks: Sage, 2002. 

  6. R. Merkin, "Cross-cultural communication patterns: Korean and American Communication," Journal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Vol.20, pp.5-15, 2009. 

  7. G. Jenkins, D. Klopf, and M. Park, "Argumentativeness i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A comparison," Paper presented at the World Communication Association Convention, Jyvaskyla, Finland, 1991. 

  8. E. Yook and B. Ahn, "Comparison of apprehension about communication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89, pp.161-164, 1999. 

  9. Y. Song, "A comparison of organizational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Americans and Korea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ICA, New Orleans, 2004. 

  10. D. Klopf and M. Park, "Korean communication practices: Comparative research," Korea Journal, Vol.32, No.1, pp.93-99, 1992. 

  11. Y. Shim, M. S. Kim, and J. Martin, Changing Korea: Understanding culture and communication, London: Peter Lang, 2008. 

  12. 유민봉, 심형인,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합의이론을 통한 범주의 발견,"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제19권, 제3호, pp.457-485, 2013. 

  13. 양하이데, "조직 '우리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8권, 제1호, pp.73-105, 2014. 

  14. 박통희, "정, 가족주의 그리고 대인간 신뢰: 한국 중앙정부의 사례,"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6호, pp.23-45, 2004. 

  15. Y. Kim and J. Yang, "The influence of Chemyon on facework and conflict tyles: Searching for the Korean face and its impact," Public Relations Review, Vol.37, pp.60-67, 2011. 

  16. Y. Kim and J. Yang, "Impact of Chemyeon on Koreans' verbal aggressiveness and argumentativeness," Korea Journal, Vol.53, No.3, pp.48-77, 2013. 

  17. 한규석, 신수진,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 :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3권, 제2호, pp.293-310, 1999. 

  18. H. Triandis and M. Gelfand, "Converging measurement of horizo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No.1, pp.118-128, 1998. 

  19. 찐언쉐,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서울: 우석출판사, 2000. 

  20. 김호정, "갈등유형과 갈등관리방식의 관계," 한국조직학회보, 제8권, 제2호, pp.111-140, 2011. 

  21. H. Triandis,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1995. 

  22. 정태연,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제24권, 제3호, pp.53-76, 2010. 

  23. D. Oyserman, H. Coon, and M. Kemmelmeier,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8, No.1, pp.3-72, 2002. 

  24. T. Lim, S. Kim, and J. Kim, "Holism: A missing link in individualism-collectivism research," Journal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search, Vol.40, No.1, pp.21-38, 2011. 

  25. 정영태, "동아시아 집단주의에 대한 연구 동향: 일본, 대만, 서구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31권, pp.691-718, 2013. 

  26. D. Oyserman, "Culture as situated cognition: Cultural mindsets, cultural fluency, and meaning making,"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Vol.22, No.1, pp.164-214, 2011. 

  27. M. Brewer and Y. Chen, "Where(who) are collectives in collectivism? Toward conceptual clarifica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Psychological Review, Vol.114, pp.133-151, 2007. 

  28. 김영욱,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29.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 서울: 현암사, 1994. 

  30. 송호근,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세대 그 갈등과 조화와 미학,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3. 

  31. 최상진, 최인재, "한국인의 문화심리적 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 우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1호, pp.55-71, 2002. 

  32. H. R. Markus and S. Kitayama,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Vol.98, pp.224-253, 1991. 

  33. 최인재, 정, 우리성, 체면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4. M. S. Ki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Asia: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0, No.2, pp.166-180, 2010. 

  35. J. M. Wiemann, "Explication and test of a mod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 pp.195-213, 1977. 

  36. R. Rubin and M. Martin,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11 No.1, pp.33-44, 1994. 

  37.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6호, pp.380-408, 2003. 

  38. S. Ting-Toomey and J. G. Oetzel, Managing intercultural conflict effectively, Sage: London, 2001. 

  39. A. Rancer and T. Atvgis, Argumentative and aggressive communi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Sage: Thousand Oaks, CA, 2006. 

  40. D. Infante and A. Rancer,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 of argumentat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6, pp.72-80, 1996. 

  41. S. B. Goldstei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conflict communication scal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9, No.9, pp.1803-1832, 1999. 

  42. 조윤경,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1호, pp.91-109, 2003. 

  43. 김용신, 심리학, 한국인을 만나다, 서울:시담, 2010. 

  44. 권수영 외 공저,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서울:21세기북스, 2016. 

  45. 김문조 외 공저, 한국인은 누구인가, 서울:21세기북스, 2013. 

  46. D. A. Infante, C. M. Aderson, M. M. Martin, A. D. Herrington, and J. Kim, "Subordinates'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superiors' compliance-gaining tactics, argumentativeness, verbal aggressiveness and style,"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6, pp.307-326, 1993. 

  47. A. Field,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Sage: Thousand Oaks, CA, 2003. 

  48. 노형진, SPSS를 위한 주성분분석과 요인분석, 서울:한울출판사, 2014. 

  49. T. Lim and S. Choi,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Korea," in W. Gudykunst, S.Ting-Toomey and Nishida (eds.), Communic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across cultures, Sage: Thousand Oaks, CA, 1996.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