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집단주의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Has the Collectivism of Koreans been changed? An exploratory stud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2, 2020년, pp.593 - 610  

양정은 (평택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이재원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연구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집단주의가 어떤 면에서 변화하였는지, 혹은 변화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기성세대와 신세대들과의 심층인터뷰 및 FGI를 통하여 오늘날 한국인의 집단주의를 표현하는 키워드를 발견하였다. 첫째, 오늘날 한국인들의 집단주의는 '선택적 집단주의'로써, 이전처럼 주어진 집단이 아닌 스스로 선택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보다 축소된 형태의 집단을 기반으로 한다. 둘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오프라인 집단주의와 대조되는 온라인 집단주의가 출현하였는데, 온라인 집단주의는 온라인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하며, 익명성을 통한 평등주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연결성 등을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셋째, 한국인의 집단주의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정'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집단주의의 변화하지 않은 측면으로 인식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인들에게 집단은 자아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인들은 예나 지금이나 집단에 대한 소속감 및 구성원들과의 관계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연구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collectivism of Koreans has changed or has not chang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GI with the older and new generations, keywords that express Korean collectivism today were discovered. First, the collectivism of Koreans is defined as 'selectiv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Transcriptions were read repeatedly by the researchers to get an overall understanding before the coding.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s used grounded theory [25], and the data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researchers analyze separately and then met to discuss their findings and agreeing on the final themes to enhance the objectiveness of the analysis.
  • For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considered suitable to understand naturally occurring phenomena based on real life[23].
  • Sinc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gain initial understanding on the changed and unchanged aspect of the Koreans' collectivism, interview methods were employed to let the interviewees directly and freely speak about what is happening in their everyday lives regarding group formation and collective behaviors and what that means to them.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changed and unchanged aspects of collectivism in Korea by employing a descriptive approach. The interviews with both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revealed several findings regarding how the Koreans perceive the collectivism of Koreans[Figure 1].

대상 데이터

  • In addition to the focus group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communication specialists who have longer than 10 years of work experience, including professors, PR consultants, marketing specialists, journalists, etc.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provide more professional insights on the change of collectivism in Korean society[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 related values, Sage, Beverly Hills, CA, 1984. 

  2. G.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Sage, Thousand Oaks, CA, 2001. 

  3. S. Ting-Toomey, Communicating across Cultures, The Gilford Press, New York, 1999. 

  4. Y. Kim and J. Yang, "The influence of Chemyon on facework and conflict styles: Searching for the Korean face and its impact," Public Relations Review, Vol.37, No.1, pp.60-67, 2011. 

  5. 박치완, "동그라미, 네모, 세모의 개성을 가진 XYZ세대," 글로컬 창의문화연구, 제8권, 제1호, 2019. 

  6. 나은영, 차재호, "1970년대와 1990년대 간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와 세대차 증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3권, 제2호, pp.37-60, 1999. 

  7. H. K. Kim, "Familist individualization of ever-single Korean youth in their late 30s: Individualization and transformed familism in the neoliberal era," Korea Journal, Vol.56, No.1, pp.33-60, 2016. 

  8. Y. H. Shim, "East Asian patterns of individualization and its consequences for neighborhood community reconstruction," Korea Journal, Vol.58, No.1. pp.41-69, 2018. 

  9. 이종한, "한국인의 대인관계의 심리사회적 특성: 집단주의적 성향과 개인주의적 성향으로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6권, 제3호, pp.201-219, 2000. 

  10. T. M. Singelis, H. C. Triandis, D. P. S. Bhawuk, and M. J. Gelfand,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Vol.29, No.3, pp.240-275, 1995. 

  11. D. Oysermann, H. M. Coon, and M. Kemmelmeier,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8, No.1, pp.3-72, 2002. 

  12. M. B. Brewer and Y. Chen, "Where(who) are collectives in collectivism? Towards conceptual clarifica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Psychological Reviews, Vol.114, pp.133-151, 1997. 

  13. 유민봉, 심형인,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합의이론을 통한 범주의 발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9권, 제3호, pp.457-485, 2013. 

  14. 최상진,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0. 

  15. T. Y. Shim, M. Kim, and J. Martin, Changing Korea: Understanding Culture and Communication, Peter Lang, New York, 2008. 

  16.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생각의 나무, 서울, 2007. 

  17. 양정은, "한국인의 집단주의(우리성, we-ness)가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1-14, 2019. 

  18. 임태섭(편), 정, 체면, 한국인의 인간관계, 한나래, 서울, 1995. 

  19. R. Inglehart,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1997. 

  20. T. Hamamura, "Are cultures becoming individualistic? A cross-temporal comparison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l.16, No.1, pp.3-24, 2012. 

  21. Y. Cho, B. Millinckrodt, and S. K. Yune,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as bicultural values: South Korean undergraduates' adjustment to college," Asian Journal of Counseling, Vol.17, No.1, pp.81-104, 2010. 

  22. 양정은, "한국 대학생들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9호, pp.86-98, 2020. 

  23. 박동숙, 질적 인터뷰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2019. 

  2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서울, 2012. 

  25.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Thousand Oaks, 1998. 

  26. 김은미, 연결된 개인의 탄생,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2018. 

  27. 권수영, 한국인의 관계심리학, 살림, 서울, 2007. 

  28. 주은선, 전소연, 심솔지, "한국형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248-261, 2018. 

  29. 방미현, 이영민, "20대 청년 세대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7호, pp.223-232, 202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