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 성과관리 평가지표 개발연구: 논리모형을 적용하여
Developing a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of Convenient Facilities Facilitation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yeongsangbukdo: Application of Logic Mod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115 - 127  

송인욱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원서진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동화 (경북행복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다양한 보조사업 중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성과관리 평가체계구축의 필요성과 실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성과평가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논리적 구조로 활용되는 논리모형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시설평가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의 성과관리 평가지표를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검토와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성과관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시범평가를 통해 평가지표의 타당성 및 평가용이성 분석을 실시한 후, 시범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의견조사 및 전문가를 통한 타당성 검토를 진행하여 최종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평가지표는 전체 8개 영역, 3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 성과관리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 전반의 합리화를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성과관리 평가지표의 개념틀과 평가접근 방식은 공공부문의 다양한 사회서비스 유형과 특성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needs and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convenient facilities support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erformed by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also to develop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based on logic model. The researchers condu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사업수행주체의 개선과제를 발굴하는 것이다. 사업수행주체인 편의시설설치시민촉진단, 경상북도지체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및 시·군지체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는 2016년 1차 시범평가를 받기 이전까지 성과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성과관리체계 역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 사업수행주체인 편의시설설치시민촉진단, 경상북도지체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및 시·군지체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는 2016년 1차 시범평가를 받기 이전까지 성과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성과관리체계 역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수행 및 성과지향적 관리를 위한 개선과제를 발굴하고자 한다.
  • 이상의 규정은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각 단체에서 필수적으로 진행해야할 사업을 열거한 것으로, 평가지표에도 반드시 포함해야할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직적 요구를 논리모형의 성과, 산출, 활동, 투입의 4개 영역에 포함시킴으로써 평가지표의 체계성을 증진시키고자 했다.
  • 따라서 사업의 지속성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보다는 법령과 정책이 추구하는 장애 없는 물리적 환경조성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개선과 제를 발굴하는 것을 우선순위 목표로 설정하였다.
  • 또한 시·군간 사업성과의 편차를 줄여 사업 능률성을 제고하고자 하였으며, 평가지표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운영 메뉴얼의 표준화를 통해 서비스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최초 시범평가는 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에 대한 평가제도를 처음 도입하면서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의 운영 활성화 및 전반적인 사업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개별 센터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구적인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시범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시범평가지표의 타당성 및 평가용이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는 시범평가를 통해 나타난 결과에 대해 과정지표와 결과지표상의 취약한 영역을 자구적인 노력을 통해 개선한 이후, 최종지표를 통한 재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타당성 높은 성과평가 지표체계를 구축하고자 함이다.
  • 또한 지역별 특성과 장애인편의시설촉진단과 도·시·군의 지체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간의 상이한 특성을 감안하여 공통항목과 개별항목으로 구분하여, 각 기관별 특성을 평가지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먼저, 장애인편의시설설치시민촉진단 운영은 일상생활에서 편의시설에 대한 관련단체 및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유도로 편의시설의 설치촉진 및 적정한 유지·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편의시설 확충 및 운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최종 지표는 8개 영역 총 3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문항은 모든 기관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문항과 각 기관의 실정에 맞춘 비공통 문항으로 구성하여 각 기관 및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성평가와 정량평가를 모두 적용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평가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성과관리의 목적에 비추어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의 성과평가체계에 대한 적용 과정과 내용을 규범적으로 분석하고, 논리모형에 따라 효과적인 성과관리 지표를 개발을 통해 장애인편의지원사업전반의 합리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장애인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편의시설촉진사업에 대한 성과지표 개발에 있어서 투입-활동-산출-성과의 논리모형을 이용하여 평가영역과 지표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모든 보조사업에 대한 성과평가를 의무화한 지방재정법 개정에 따라 경상북도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에 대한 성과관리 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다섯째, 많은 평가지표로 인한 현장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1차 시범평가지표에 비해 2차 최종평가지표에서는 신규 지표 생성을 가급적 지양하고, 평가지표내용의 구체화에 초점을 두었다. 신규지표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평가 받는 기관에 대한 서류준비 및 평가부담을 완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 아울러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의 성과는 사업수행주체의 고유한 사업목적과 그에 담긴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는데 달려있음을 고려할 때, 사업특성에 부합하는 성과개념을 조작화하기 위하여 조직적 요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지체장애인협회의 지체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규정, 도 협회가 제시한 표준사업계획 등 사업지침, 그리고 협회가 홈페이지 등을 통해 표방한 사업의 목적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 또한 시범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시범평가지표의 타당성 및 평가용이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는 시범평가를 통해 나타난 결과에 대해 과정지표와 결과지표상의 취약한 영역을 자구적인 노력을 통해 개선한 이후, 최종지표를 통한 재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타당성 높은 성과평가 지표체계를 구축하고자 함이다.
  • 이를 위해 우선 성과의 개념을 결과와 투입, 과정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관리모형인 논리모형을 적용한 성과관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장애인편의시설설치 촉진과 관련된 중앙정부와 경상북도의 법규와 지침을 중심으로 법제도적 요구를 분석하고, 사업수행주체인 경상북도지체장애인협회의 운영규정 등을 토대로 조직적 요구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성과관리의 목적에 비추어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의 성과평가체계에 대한 적용 과정과 내용을 규범적으로 분석하고, 논리모형에 따라 효과적인 성과관리 지표를 개발을 통해 장애인편의지원사업전반의 합리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장애인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한 제도적 요구 및 조직적 요구 분석, 평가모형 시범적용, 현장의견조사 및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평가지표타당성 및 평가용이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따라 경상북도 장애인복지분야 자체사업 성과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과제 중 하나로 수행된 이번 연구를 통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사회서비스 보조사업에 있어서 사업품질관리의 효과성, 효율성, 신뢰성을 확보하고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체계적인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의 평가지표개발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사회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사업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또한 지역별 특성과 장애인편의시설촉진단과 도·시·군의 지체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간의 상이한 특성을 감안하여 공통항목과 개별항목으로 구분하여, 각 기관별 특성을 평가지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초점집단인터뷰에서 평가부담이 제기되어 가급적 평가지표를 단순화하여 평가 준비로 인한 기관의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시범평가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운영된 사업결과를 바탕으로 2016년도에 실시하였다. 최초 시범평가는 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에 대한 평가제도를 처음 도입하면서 장애인편의시설설치촉진사업의 운영 활성화 및 전반적인 사업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개별 센터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구적인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시범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시범평가지표의 타당성 및 평가용이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평가결과의 활용목적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서비스 사업가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됨으로 발생한 현상은? 이후 사회복지서비스가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면서, 법제도의 개정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사업이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되었고, 기관 간 경쟁도 심화되었다[3]. 오늘날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이양사업의 추진뿐만 아니라, 지역욕구에 부응하는 자체 복지사업을 실시하여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즉 지방정부는 각종 복지서비스와 정책의 공급과 개발이라는 권한과 의무를 동시에 갖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책 및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가 복잡해지고 있는 이유는? 특히 사회서비스의 전달체계가 기존의 공공조직을 통한 공급에 국한되지 않고 민간 영역의 참여가 확대되면서 공적, 사적 영역의 경계가 모호해졌고, 이에 따라 정책 및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가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2].
성과란? 일반적으로 성과(performance)는 목표한 결과(outcome)와 결과를 생산해내기 위한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Horbour(2009)는 실제적인 성취물이나 결과를 성과로 정의하였고[10], Berman(2006)은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자원활용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강조하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백학영, 구인회, 김경휘, 조성은, 안서연, "자활사업 성과관리에 대한 비판적 접근 : 논리모델을 적용한 자활사업 성과평가 체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3-35, 2011. 

  2. 오윤섭, "사회서비스 분야 성과관리 개선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262권, pp.52-53, 2018. 

  3. 양난주, "사회복지시설평가 15년을 평가한다,"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5-31,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4. 

  4. 이봉주, 김용득, 김은정, 서정민, 김낭희, 사회서비스공통품질 최저기준 마련 연구,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2014. 

  5. 이병화, 양희택, 강민희, 권선진, 김동주, 경기도 장애인단체 지원사업 평가지표 개발연구, 경기복지재단, 2014. 

  6. 임지연, 김영석, "청소년활동시설의 논리주도 평가모형 개발연구; 청소년수련원 논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통권 제69호, pp.177-204, 2013. 

  7.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사업안내, 2018. 

  8. 경상북도, 장애인복지과 업무편람, 2018. 

  9. 지은구, 이원주, 김민주, "지역사회복지관 성과관리측정척도 타당도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6, No.1, pp.147-177, 2014. 

  10. J. L. Harbour, The basics of performance measurement (2nd ed.), New York: CRC Press, 2009. 

  11. E. M. Berman,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in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N, Y: M. E. Sharpe, Inc, 2006. 

  12. W. Van Dooren, G. Bouckaert, and J. Halligan,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N, Y: Routledge, 2010. 

  13. M. Armstrong and A. Baron, Performance management, London: Jaico Publishing House, 2005. 

  14. L. L. Martin and P. M. Kettne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Human Service Programs,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2010. 

  15. 황성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고양: 공동체, 2005. 

  16. 이종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서비스 수준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7. 남원석, 김수경, 백세나,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평가체계 개발, 서울연구원, 2016. 

  18. H. T. Chen,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 Assessing and improving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Thousand Oaks, CA:Sage, 2005. 

  19. 김형모, 아동복지서비스 성과관리, 2010년 춘계학술대회 및 workshop 자료집,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pp.171-220, 2010. 

  20. 강혜규, 박세경, 김형용, 사회서비스활성화를 위한 품질 및 성과관리체계 구축방안, 보건복지가족부?사회서비스관리센터, 2008. 

  21.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사업안내, 2015. 

  22. 경상북도, 장애인복지과 업무편람, 2015. 

  23. 경상북도, 경상북도장애인복지사업안내; 자체사업, 2008. 

  24. 최균, 배도, 장진용, 장영신, 박나래, 지역사회서비스 품질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