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개입의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Intervening towards Elder Abuse among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1, 2019년, pp.60 - 68  

정지혜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장미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intervening towards elder abuse among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A convenience sample of 209 emergency room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의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응급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노인학대 개입의도를 연구한 첫 연구로서 노인학대 개입의도를 향상시키기위한 교육과 실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노인학대 인식,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주관적규범이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향후 의료기관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개입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노인학대사례의 판단을 위한 인식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받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노인학대 관련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진단되지 않은 노인학대 의심사례를 초기에 많이 접할 수 있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학대 인식과 법적⋅제도적 지식,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이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 법적⋅제도적 지식,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이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학대 인식, 법적⋅제도적 지식,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과 노인학대 개입의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개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학대인식, 법적⋅제도적 지식,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이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노인학대 인식, 법적⋅제도적 지식,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을 설명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러한 변인이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입의도를 설명하는 이론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노인학대 개입의도란 학대노인을 인지했을 때 또 다시 학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상자를 교육하고 학대상황에 대하여 인터뷰하며,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기관에 알리는 등의 모든 활동으로[6], 의심되는 학대상황을 간호사 본인의 의사에 따라 학대가 중단되도록 하는 개인의 의지를 의미한다[12]. 이러한 개입의도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인간의 행위의도를 설명하는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13]을 근거로 개입의도에 관련된 변인들을 설명하고 있었다[12,14,15]. 이러한 TPB이론에서 인간의 행위 의도(intention)는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the behavior),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지각된 행위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여기서 행동에 대한 태도는 행동하거나 변화를 주는 것이 ‘좋은 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가치 판단을 반영한다.
노인학대 개입의도의 정의란 무엇인가? 노인학대 개입의도란 학대노인을 인지했을 때 또 다시 학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상자를 교육하고 학대상황에 대하여 인터뷰하며,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기관에 알리는 등의 모든 활동으로[6], 의심되는 학대상황을 간호사 본인의 의사에 따라 학대가 중단되도록 하는 개인의 의지를 의미한다[12]. 이러한 개입의도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인간의 행위의도를 설명하는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13]을 근거로 개입의도에 관련된 변인들을 설명하고 있었다[12,14,15].
노인학대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학대 피해자를 현장에서 가장 먼저 접하는 근무자로[9] 광범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 실무자에게 노인 학대 및 피해자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다[10]. 교육을 받는다 하더라도 현장에서 일하는 의료인들은 증거가 부족하거나 학대 판단이 애매하여 문제의 본질파악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ervice. 2016 Report on the status of elder abuse 2017 [Internet]. Seoul: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ervice; 2017 [cited 2018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ssis.or.kr/lay1/bbs/S1T925C926/A/62/view.do?article_seq11341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Elder abuse 2018 [Internet]. America: WHO; 2018 [cited 2018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elder-abuse 

  3. Daly JM.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Elder abuse preven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11;37(11):11-7. https://doi.org/10.3928/00989134-20111004-01 

  4. Jang MH, Park CG. Risk factors influencing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Apply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ing of abuse count dat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819-32. https://doi.org/10.4040/jkan.2012.42.6.819 

  5. Mandiracioglu A, Govsa F, Celikli S, Yildirim GO. Emergency health care personnel's knowledge and experience of elder abuse in Izmir.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6;43(2):267-76. https://doi.org/10.1016/j.archger.2005.10.013 

  6. Stark S. Elder abuse: Screening, intervention, and prevention. Nursing, 2012;42(10):24-9. https://doi.org/10.1097/01.NURSE.0000419426.05524.45 

  7. Jung SK. A research for reporter recognition level of elder abuse of responsible person and countermove behavior. [master's thesis]. Busan: Silla University; 2007. pp. 1-82. 

  8. Ko C, Koh CK. Factors related to Korean nurses' willingness to report suspected elder abuse. Asian Nursing Research. 2012;6:115-9. http://doi.org/10.1016/j.anr.2012.08.002 

  9. Song KJ, Ahn ME, Ahn HC, Choi JT, Choi YM, You KC, et al. Victims of child abuse to present to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0;11(1):111-9. 

  10. Manthorpe J, Biggs S, McCreadie C, Tinker A, Hills A, O'Keefe M, et al. The UK national study of abuse and neglect among older people. Nursing Older People. 2007;19(8):24-6. https://doi.org/10.7748/nop2007.10.19.8.24.c6268 

  11. Agnew T. Beating abuse. Nursing Older People. 2006;18(1):10-3. https://doi.org/10.7748/nop2006.02.18.1.10.c2407 

  12. Cho YK. Influencing factors on nurses'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4. pp. 1-65. 

  13.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2):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14. Kim SJ, Lee JY. The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ing intention and behavior in relation to child abus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3;34(3):39-58. https://doi.org/10.5723/kjcs.2013.34.3.39 

  15. Feng JY. Wu YB.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Taiwa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5;28(4):337-47. https://doi.org/10.1002/nur.20087 

  16. Seong YW, Sim MS, Lee TR, Hwang SY, Cha WC, Yoon H, et al. A survey of emergency department health care provider on awareness of elder ab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6;27(4):351-9. 

  17. Kim MH, Kwon KJ, Lim YO, Lee YH. Screening scale for elder abus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4):819-42. 

  18. Ko JM.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report on elder abuse between nurses and elderl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0;24(2):270-84. 

  19. Manojlovich, M. Predictors of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behaviors in hospital settings. Nursing Research. 2005;54(1):41-7. https://doi.org/10.1097/00006199-200501000-00006 

  20. Greytak E. Are teachers prepared? Predictors of teachers' readiness to serve as mandated reporters of child abuse. In: Maynard RA, editor.: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2009. 

  21. Kim KK. Development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working in nursing homes on human rights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4):463-72. https://doi.org/10.4040/jkan.2010.40.4.463 

  22. Song MS. Elderly abuse in domestic settings-nursing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Query. 2007;16(1):78-101. 

  23. Rosen T, Mehta-Naik N, Elman A, Mulcare MR, Stern ME, Clark S, et al. Improving quality of care in hospitals for victims of elder mistreatment: Development of the vulnerable elder protection team.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Safety. 2018;44(3):164-71. https://doi.org/10.1016/j.jcjq.2017.08.010 

  24. Rosen T, Hargarten S, Flomenbaum NE, Platts-Mills TF. Identifying elder abu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oward a multidisciplinary team-based approach.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16;68(3):378-82.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16.01.037 

  25. Bertfield DL. Awareness of elder abuse and safeguard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ge and Aging. 2013;42(Issue eLetters Supplement 17):358. https://doi.org/10.1093/ageing/el_358 

  26. Rosen T, Stern ME, Elman A, Mulcare MR. Identifying and initiating intervention for elder abuse and neglec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018;34(3):435-51. https://doi.org/10.1016/j.cger.2018.04.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