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중년세대와 노인의 청력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s of Hearing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New Middle Age and Elderly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0 no.1, 2019년, pp.1 - 14  

오지영 (한국폴리텍대학 서울강서캠퍼스 의료정보과) ,  김석환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보건의료행정과) ,  김한성 (한국폴리텍대학 서울강서캠퍼스 의료정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re are few studies which reflects of each generation's own features, of the New Middle Age and the Elderly's hearing status and their quality of life even though the population of old age has been weighted as baby boom generation's entering into old ag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청력에 따른 불편한 생활 패턴의 변화율을 추적할 수가 없는 점이다. 그러나 전국을 대상으로 한 대표성 있는 표본추출이고 복합 표본설계 내용을 반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므로 타당도를 높여 일반화 할 수 있는 것을 이 연구의 의의로 두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중년 세대와 노인의 연령을 구분하여 청력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형 보건정책 및 청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자료(2016)를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8,150명 중 청력검사에 참여한 50세 이상 3,306명이었다. 신중년과 노인의 청력상태와 삶의 질의 질을 연관성을 파악하여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도를 모색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과 노인의 청력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청년과 노인의 정책 사이 사각지대에 위치했던 신중년과 노인의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도를 모색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이들이 중장년기로 진입하여 은퇴하는 시기의 시대적 흐름에서 신중년과 노인이라는 각기 다른 연령 분류 속에 세대의 특성을 반영하는 정책이나 지원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중년과 노인의 연령을 구분하여 청력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비교한 것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청력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노인의 청력저하는 노인성 난청이라 불리는 생리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 느끼는 청력 불편감을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가족들과의 대화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고 본인도 정확한 발음을 구분하지 못하여 괴로울 뿐 아니라, 가족들도 되묻는 말에 두세 번 같은 대답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가족과의 대화에서 소외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며, 일반 사회 생활도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정서적으로 우울증이 생길 수 있고, 의기소침해질 수 있고, 귀울림이라고 하는 이명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소화불량, 위장장애, 고혈압, 심장박동 증가, 권태 등의 여러 가지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대한이과학회정보위원회, 2019). 선행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노인의 청력 저하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급속도로 증가하며, 우울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약 2.
신중년이란 무엇인가? 특히,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에 태어난 인구)가 노년기로 접어드는 시작인 2020년부터는 노인인구의 비중이 현재보다 가중될 것이다(최보람, 2018). 베이비붐 세대를 정책적 용어로서 ‘신중년’이라고 하며 우리나라 인구 구조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부머인 50대와 60대를 합쳐 정의하는 말이다(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2017). 신중년은 우리나라 고도 성장의 주역이나,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의 이중고를 겪는 마지막 세대로 노후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인구 집단이다(홍은심, 2017).
신중년은 어떤 특징을 갖는 집단인가? 베이비붐 세대를 정책적 용어로서 ‘신중년’이라고 하며 우리나라 인구 구조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부머인 50대와 60대를 합쳐 정의하는 말이다(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2017). 신중년은 우리나라 고도 성장의 주역이나,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의 이중고를 겪는 마지막 세대로 노후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인구 집단이다(홍은심, 2017). 신중년 인구는 1천 340만 명(2016)으로 생산가능인구의 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보건복지부. (2019).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8. 서울: 보건복지부. 

  2. 최보람. (2018). 사회보장 통계와 ISSUE. 노인진료 비 추이와 장기요양서비스 확대에 대한 최신동향. 서울: 사회보장위원회. 

  3. 보도자료. (2017). 대통령직속일자리위원회. 국정 운영시스템과 정책을 일자리중심으로 전면 재설계한다. 

  4. 신문기사(인터넷). 홍은심. (2017). 국내 난청환자 최근 5년새 41% 급증... 젊은층도 늘어. 헬스동아 

  5. 신문기사(인터넷). (2018). 다아라매거진. 실직 은퇴 맞은 50 60세대 맞춤형 일자리 패키지 프로그램시급. 매거진뉴스 

  6. 김희정, 김보혜, 김옥수. (2011). 노인의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 국성인간호학회지, 23(6), 584-594. 

  7. Chang HP, Ho CY, Chou P. (2009).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 Self-Perceived Hearing Handicap in Elderly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Results from a Community-Based Study. Ear and Hearing, 30(5), 576-583. 

  8. 귀질환정보 노인성난청. (2019). 서울: 대한이과학회. http://www.otologicalsociety.or.kr/general/desease/sub05.html 

  9. Saito H., Nishiwaki Y. et al. (2010). Hearing Handicap Predicts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3 Years in Older Community Dwelling Japanes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1), 93-97. 

  10. Bakke et al. (2008). Managing hearing loss in loss in older adults. In M. Alwan & R.A. Felder(ed.), Eldercare technology for clinical practitioners(pp.143-185), Totowa, NJ:Humana Press. 

  11. Lin F.R. (2011). Hearing Loss and Cognition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6A(10), 1131-1136.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0).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 Geneva. 

  13. Mondelli MF, Souza PJ. (2012). Quality of life in elderly adults before and after hearing aid fitting. Braz J Otorhinolaryngol, 78(3), 49-56. 

  14. Tsakiropoulou E et al. (2007). Hearing aids: quality of life and socio-economic aspects. Hippokratia, 11(4), 183-189. 

  15. Carlsson PI, Hall M, Lind KJ. (2011). Danermark B.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audiological rehabilitation afte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50(2), 139-144. 

  16. Agrawal Y, Platz EA, Niparko JK. (2008). Prevalence of hearing loss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4.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8(14), 1522-1530. 

  17. 최성민, 김영혜, 손현미. (2015). 돌발성 난청 환자의 삶의 질과 고독감. 글로벌 건강과 간호, 5(2), 45-54. 

  18. 김기선, 신은영, 주석희. (2015). 노인의 시각과 청각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17(4), 415-429. 

  19. 이현정, 석소현, 김귀분. (2004). 청력 장애 노인들의 고독감,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9(1), 35-45. 

  20. 고영혜, 박명화. (2017). 노인의 주관적 청각장애와 지각된 스트레스가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29(5), 496-504. 

  21. 김석환, 오지영. (2018). 일반인의 청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28(2), 1-7. 

  22. 최헌, 김한중, 진기남, 주경식, 이규식, 손명세. (1998). 건강수준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8(2), 149-165. 

  23. Luo N et al. (2005). Self-reported health status of the general adult U.S. population as assessed by the EQ-5D and Health Utilities Index. Med Care, 43(11), 1078-1086. 

  24. 김수진. (2009). 노인의 청력상태, 기분상태와 삶의 질[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전문대학원. 

  25. Ruben RJ. (2000). Redefining the survival of the fittest: communication disorders in the 21st century. Laryngoscope, 110(2), 241-245. 

  26. Ferrer A et al. (20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nonagenarians: gender, functional status and nutritional risk as associated factors. Medicina Clinica, 134(7), 303-306. 

  27. 이동호. (2010).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1), 93-108. 

  28. 이경미. (2017). 만성질환 남성 노인환자의 청력 상태, 인지기능과 우울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29. Gopinath B et al. (2012). Hearing handicap, rather than measured hearing impairment, predicts poorer quality of life over 10 years in older adults. Maturitas, 72(2), 1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