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람의 심박변화와 활동강도를 이용한 운동 검출 방법
Exercise Detection Method by Using Heart Rate and Activity Intensity in Wrist-Worn Device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v.8 no.4, 2019년, pp.93 - 102  

성지훈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최선탁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이주영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조위덕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개인의 건강상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모니터링하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과 일상 활동을 구분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기계학습을 활용한 방식이다. 하지만 개인별 학습 데이터에 의존적인 과적합 문제와 연속적인 사건으로 구성되는 사람의 행동을 독립적으로 취급하여 인식 결과가 중간에 끊기고 오인행동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 시 심박이 오르내리는 생체반응 원리를 기반으로 한 운동 상태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3축 가속도 센서와 PPG 센서를 통해 활동강도 및 심박 수를 산출하여 심박 회복기를 판단한 후, 활동강도 검사 또는 심박 상승기 검사를 통해 운동 상태를 검출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평균 정확도 98.64%, 정밀도 98.05%, 재현율 98.62%로 기존 알고리즘보다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interest in wellness grows, There is a lot of research about monitoring individual health using wearable devices. Accordingly,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distinguish exercise from daily activities using wearable devices. Most of these existing studies are machine learning methods.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심박은 최대심박의 40% 이상의 중강도 이상의 운동에서 회복률이 높다[2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강도 이상의 운동을 한 직후의 심박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부분을 관찰한다. 그리고 20대 남성의 평균 회복속도를 고려하여 임계값의 상한값(ThHR,lower), 하한값(ThHR,upper)을 설정해 심박 회복 영역을 설정한다[23].
  • 본 연구에서는 PPG 센서로 측정한 심박과 3축 가속도센서로 측정한 움직임의 크기를 통해 사람의 물리적, 생리적 특징을 상호 보완하여 운동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Fig.
  •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에서 공통으로 드러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사람의 생체반응 원리를 이용한 행동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운동 시에는 체내에 필요한 산소섭취량이 증가하며, 운동이 끝난 후에도 일정기간동안 안정 시 수준 이상의 산소를 소비한다[16].
  • 심박 회복기는 운동 직후 올라간 심박이 기저심박으로 다시 내려가는 시간이다. 심박 회복기를 통해 운동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심박이 감소하는 기울기를 검사한다.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신호 단위를 샘플(sample)에서 평균값을 통해 초(sec)로 변환한다.
  •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PPG 센서로 측정한 심박 수와 3축 가속도센서 신호를 통해 사람의 생리적 특징을 고려한 운동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가설 설정

  • 7은 Case 1에 대한 SVM 알고리즘(b)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운동시간 검출 결과(c)를 수기로 기록한 기준(a)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SVM과 같은 기계학습으로 운동을 검출할 경우, 행동의 연속성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b) 그래프와 같이 인식 결과가 중간에 끊기거나 오인행동이 생기게 된다. 반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c) 그래프와 같이 운동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계산하여 운동을 검출하기 때문에 정밀도나 재현율이 다른 알고리즘보다 더 높게 측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시스템에서 운동 검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시스템은 크게 두 종류의 운동을 구분하는데, 손목 움직임이 적은 운동과 손목 움직임이 큰 운동이다. 운동 검출을 위해 ⅰ) 먼저 3축 가속도 센서와 PPG 센서를 통해 활동강도와 심박 수를 계산한다. ⅱ) 그 다음 심박 수가 감소하는 부분, 즉 심박 회복기가 검출되면 그 시점을 운동 직후 시점으로 결정한다. ⅲ) 앞선 신호에서 활동강도가 일정 크기 이상일 경우 손목 움직임이 큰 운동으로 간주하여 가속도 신호 기반 운동 검출을 한다. 또는 일정 크기 이하인 신호가 검출되면 손목 움직임이 작은 운동이므로 심박 상승기를 검사하여 심박이 오르내리는 구간을 통해 운동을 검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쉽고 간단한 맥박 측정이 가능해지면서 어떤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는가? 특히 2014년 이후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기술의 발전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쉽고 간단한 맥박 측정이 가능해졌다[3]. 이를 통해 운동 중 사용자의 심박 수, 체지방율, 스트레스 수준 등의 생리변인을 측정하여 목표 운동량 대비 적절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피드백해주는 다양한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4].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시스템에서 구분되는 운동의 두 유형은? 1과 같다. 시스템은 크게 두 종류의 운동을 구분하는데, 손목 움직임이 적은 운동과 손목 움직임이 큰 운동이다. 운동 검출을 위해 ⅰ) 먼저 3축 가속도 센서와 PPG 센서를 통해 활동강도와 심박 수를 계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ller, James William. "Wellness: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a concept," Spektrum Freizeit, Vol.27, No.1, pp.84-106, 2005. 

  2. Pantelopoulos, Alexandros, and Nikolaos G. Bourbakis, "A survey on wearable sensor-based systems for health monitoring and prognosi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Part C (Applications and Reviews) Vol.40, No.1, pp.1-12, 2010. 

  3. T. Tamura, Y. Maeda, M. Sekine, and M. Yoshida, "Wearable photoplethysmographic sensors-past and present," Electronics, Vol.3, No.2, pp.282-302, 2014. 

  4. Seung-Hun Park and Dae-Geun Jang, "IT Convergence Trends in Wellness,"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31, No.3, pp.61-72, Mar. 2013. 

  5. Bao, Ling, and Stephen Intille, "Activity recognition from user-annotated acceleration data," Pervasive Computing, (2004): 1-17. 

  6. J. Parkka, M. Ermes, P. Korpipaa, J. Mantyjarvi, J. Peltola, and I. Korhonen, "Activity classification using realistic data from wearable sensor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Biomedicine, Vol.10, No.1, pp.119-128, 2006. 

  7. U. Maurer, A. Smailagic, D. P. Siewiorek, and M. Deisher, "Activity recognition and monitoring using multiple sensors on different body positions," Wearable and Implantable Body Sensor Networks, 2006. BSN 2006. International Workshop on. IEEE, 2006. 

  8. L. C. Jatoba, U. Grossmann, C. Kunze, J. Ottenbacher, and W. Stork, "Context-aware mobile health monitoring: Evaluation of different pattern recognition methods for classification of physical activity,"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2008. EMBS 2008. 30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IEEE, 2008. 

  9. O. D. Lara, A. J. Perez, M. A. Labrador, and J. D. Posada, "Centinela: A human activity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cceleration and vital sign data," Pervasive and mobile computing Vol.8, No.5, pp.717-729, 2012. 

  10. E. M. Tapia, S. S. Intille, W. Haskell, K. Larson, J. Wright, A. King, and R. Friedman, "Real-time recognition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intensities using wireless accelerometers and a heart rate monitor," Wearable Computers, 2007 11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EEE, 2007. 

  11. Altun, Kerem, and Billur Barshan,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inertial/magnetic sensor units," International Workshop on Human Behavior Understandi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 

  12. A. M. Khan, Y. K. Lee, S. Y. Lee, and T. S. Kim, "A triaxial accelerometer-based physical-activity recognition via augmented-signal features and a hierarchical recognizer,"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Biomedicine, Vol.14, No.5, pp.1166-1172, 2010. 

  13. He, Zhen-Yu, and Lian-Wen Jin, "Activity recognition from acceleration data using AR model representation and SVM," Machine Learning and Cybernetics,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ol.4. IEEE, 2008. 

  14. Z. He, Z. Liu, L. Jin, L. X. Zhen, and J. C. Huang, "Weightlessness featurea novel feature for single tri-axial accelerometer based activity recognition," Pattern Recognition, 2008. ICPR 2008.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08. 

  15. He, Zhenyu, and Lianwen Jin, "Activity recognition from acceleration data based on discrete consine transform and SVM," Systems, Man and Cybernetics, 2009. SMC 2009.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09. 

  16. Fox, Edward L., Richard W. Bowers, and Merle L. Foss. The physiological basis for exercise and sport. No. Ed. 5. Brown & Benchmark, 1993. 

  17. Montoye, H. J., "Circulatory-respiratory fitness," An Introduction to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Vol.4, pp.41-87, 1970. 

  18. S. Mehrang, J. Pietila, J. Tolonen, E. Helander, H. Jimison, M. Pavel, and I. Korhonen,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A Single Optical Heart Rate Monitoring Wristband Equipped with Triaxial Accelerometer," EMBEC & NBC 2017. Springer, Singapore, 2017, 587-590. 

  19. A. Kamisalic, I. Fister, M. Turkanovic, and S. Karakatic, "Sensors and Functionalities of Non-Invasive Wrist-Wearable Devices: A Review," Sensors, Vol.18, No.6, pp.1714, 2018. 

  20. Serra, Jean, "Biomedical image analysis by mathematical morphology (author's transl)," Pathologie-biologie, Vol.27, No.4, pp.205-207, 1979. 

  21. Saltin, Bengt, and Loring B. Rowell, "Functional adaptations to physical activity and inactivity," Federation proceedings, Vol.39. No.5, pp.1506-1513, 1980. 

  22. Davies, C. T. M., A. V. Knibbs, and J. Musgrove, "The rate of lactic acid removal in relation to different baselines of recovery exercise," Internationale Zeitschrift fur Angewandte Physiologie Einschliesslich Arbeitsphysiologie, Vol.28, No.3, pp.155-161, 1970. 

  23. C. R. Cole, E. H. Blackstone, F. J. Pashkow, C. E. Snader, and M. S. Lauer, "Heart-rate recovery immediately after exercise as a predictor of mortal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41, No.18, pp.1351-1357,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