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 중 스마트워치 심박수 믿을 만한가? 폴라와 스마트워치 심박수 간 상관과 일치도 분석
Is Heart Rate Measured by Smartwatch during Exercise Reliable? Analysis of Correlation and Agreement Between Heart Rates of Polar and Smartwatch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331 - 339  

김지혜 (울산대학교 체육학과) ,  이정련 (울산대학교 체육학과) ,  우민정 (울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워치에서 측정된 심박수의 정확도 확인을 위해, 폴라 심박수와 스마트워치 심박수 간 상관과 일치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생 남자 27명(22.41±4.29세), 여자 23명(22.48±6.33세)을 대상으로 스마트워치와 폴라를 착용시킨 뒤, 휴식, 걷기, 줌바, 사이클 네 가지 조건에서 각 조건별 3분씩 총 12분간 심박수가 측정되었고, 두 기기 간 상관과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관계수(r)가 휴식 0.995, 걷기 0.961, 줌바 0.923, 사이클 0.932로 모든 운동 조건에서 폴라와 스마트워치 간 유의하고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BA ratio 값은 휴식 0.02, 걷기 0.03, 줌바 0.06, 사이클 0.04로 폴라와 스마트워치 간 심박수의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스마트워치의 심박수는 모든 조건에서 폴라와 높은 상관과 일치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마트워치는 스포츠 현장에서 폴라를 대체할 수 있는 심박수 측정도구로 사용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agreement between heart rates of Polar heart rate monitor and a smartwatch in order to confirm the accuracy of heart rate measured by the smartwatch. Heart rates of fifty college students were measured for a total of 12 minutes under f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치를 스포츠현장 연구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스마트워치에서 측정된 심박수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다양한 운동조건에서 폴라와 스마트워치 심박수 간의 상관관계와 심박수 일치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휴식, 걷기, 줌바, 사이클 운동 조건에서 스마트워치와 폴라에서 측정된 심박수 간 상관관계와 일치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PG 신호 파형의 두가지 에지단계는? PPG 신호 파형은 헤모 글로빈 양과 비례하는데, 혈액의 헤모글로빈의 변화가 반사되는 빛의 양을 변화시켜 PPG 신호의 변화를 유도한다. PPG 신호 파형은 맥박의 상승과 하강의 두 가지 에지(edge)단계가 있으며, 상승 에지단계는 심장의 수축기, 하강 에지단계는 심장의 이완기를 나타낸다[14,16].
폴라를 통한 심박수 측정의 단점은? 996으로 나타나 폴라가 심전도로 측정된 심박수와 100%에 가까운 상관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폴라는 옷 안에 착용해야 하고, 전극과 피부의 접촉력이 좋아야 하며, 방해 주파수가 생기면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다[11]. 이런 이유 로 스포츠 현장에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착용과 사용이 편리하면서 심박수의 신뢰도가 보장된 기기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적합한 운동방법이 중요한 이유는? 운동은 기적의 약(wonder drug)이라고 불릴 만큼 신체적, 심리적으로 긍정적 효과가 뛰어나다[1]. 운동의 혜택이 널리 알려지면서,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율이 증가했지만[2], 건강증진, 체력증진, 스트레스 해소, 체중조절 및 체형관리, 자기만족도는 2012년에서 2015년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3]. 이러한 결과는 운동참여가 운동에 의한 긍정적 효과를 담보하는 것이 아니며, 적합한 운동방법의 활용과 적정 강도에서 운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 H. Kim. (2008). The Meta-analysis on exercise program effect,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Graduate University, Seoul.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National Life Sports Survey: Participation rate and frequency of regular sports activities. Name of Web Site. http://kosis.kr 

  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National Living Sports Participation Survey: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Name of Web Site. http://kosis.kr 

  4. D. P. Swain & B. A. Franklin. (2002). VO2 Reserve and the Minimal Intensity for Improving Cardiorespiratory Fitnes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4(1), 152-157. DOI : 10.1097/00005768-200201000-00023 

  5. G. R. Yeom, J. S. Lee, J. Y. Jang & J. D. Joo. (2017). Treadmill control system based on heart rate maintenance and customized exercise intensity setting. The HCI Society of Korea, 2, 342-345. 

  6. Y. J. Kim. (2011). Moderate to High intense exercise prescriptions using Treadmill stress testaffect physical response according to exercise types. Korea Sport Society, 9(3), 579-590. 

  7. W. J. Yoon. (2011). Optimization study for heart rate dete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in a wearable ECG system.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8. M. R. Esco, M. S. Olson, H. N. Williford, D. L. Blessing, D. Shannon & P. Grandjean.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heart rate recovery. Clinical Autonomic Research, 20(1), 33-38. DOI :10.1007/s10286-009-0033-2 

  9. M. Weippert, M. Kumar, S. Kreuzfeld, D. Arndt, A. Rieger & R. Stoll. (2010). Comparison of three mobile devices for measuring R-P intervals and heart rate variability : Polar S810i, Suunto t6 and an ambulatory ECG system.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9(4), 779-786. DOI :10.1007/s00421-010-1415-9. 

  10. S. Gillinov et al. (2017). Variable Accuracy of Wearable Heart Rate Monitors during Aerobic Exercis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49(8), 1697-703. DOI : 10.1249/MSS.0000000000001284 

  11. C. J. Kim & J. H. Woo. (2018). Heart rate variability, pulse rate variability, smart watch, short heart rate variability, deep breathing test.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9(2), 87-93. DOI : dx.10.9718/JBER.2018.39.2.87 

  12. J. S. Yoo, J. W. Lee & K. C. Kim. (2016, June). A Study on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of Smart Watch as a Wearable Device.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119-120). Jeju : ICC. 

  13. S. C. Lim. (2017). A Study on the Analysis of Technology and Service Issues for Wearable Device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13(4), 81-89. 

  14. S. Y. Nam. (2015). PPG Implementation of PPG Signal Measuremnt System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PG Signal on Palm.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Tongmyong University, Busan. 

  15. M. S. Shin & Y. J. Lee. (2015).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Wearable Device: Focused on Wrist Wearable Healthcare Device.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DOI : 10.5392/jkca.2015.15.05.498 

  16. S. H. Kim, D. W. Ryoo & C. S. Bae. (2007).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ing Accelerometers for the PPG Signal from Forehead. Conference Proceedings-IEEE Engineering in Medicine Biology Society, 10, 22-26. DOI : 10.1109/IEMBS.2007.4352852 

  17. M. P. Wallen, S. R. Gomersall, S. E. Keating, U. Wisloff & J. S. Coombes. (2016). Accuracy of Heart Rate Watches: Implications for Weight Management. PLoS ONE, 11(5), e0154420. DOI : 10.1371/journal.pone.0154420 

  18. A. Henriksen et al. (2018). Using Fitness Trackers and Smartwatche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in Research: Analysis of Consumer Wrist-worn Wearable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3), 110-129. DOI : 10.2196/jmir.9157 

  19. D. Laurent, V. Maite, D. B. Ilse & C. Geert. (2017). Validation of three Android Wear smartwatches (Huawei Watch, Polar M600 and Asus Zenwatch 3) and Fitbit Charge for measuring amount of steps and time of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16th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Canada : Victoria, BC. 

  20. D. Giavarina. (2015). Understanding Bland Altman analysis. Croatian Society of Medical Bio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25(2), 141-151. DOI : 10.11613/BM.2015.015 

  21. G. P. Luiz & F. J. Luiz. (2008). Comparison of Time­Domain Short­Term Heart Interval Variability Analysis Using a Wrist­Worn Heart Rate Monitor and the Conventional Electrocardiogram. Official Journal of the World Society of Arrhythmias, 32(1), 43-51. DOI : 10.1111/j.1540-8159.2009.02175.x 

  22. S. W. Weinschenk, R. D. Beise & J. Lorenz. (2016).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 deep breathing tests and 5-min short term recordings: agreement of ear photoplethysmography with ECG measurements, in 343 subject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6(8), 1527-1535. DOI :10.1007/s00421-016-3401-3 

  23. H. K. Ra, J. Ahn, H. J. Yoon, D. Yoon, S. H Son & J. Ko. (2017). I am a "Smart" watch, Smart Enough to Know the Accuracy of My Own Heart Rate Sensor. HotMobile '17: Proceedings of the 18th International Workshop on Mobile Computing Systems and Applications. (49-54). USA : C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