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1, 2019년, pp.143 - 160  

김유라 (이화여자대학교) ,  최애란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15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and science assessment. We analyzed frequencies of teacher choice for closed questions and use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or teacher description and individual interview. Most teachers determined a low ranking f...

주제어

표/그림 (1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학기에서 피드백이 중요한 이유는? Ministry of Education (2015)은 자유학기에는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학생들에게 수시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학습 결손을 예방할 것을 권고하였다. 피드백이 과학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 중 Lee, Choi, & Nam (2000)은 형성평가 실시 후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자세히 제공한 실험반이 정답만을 제시한 비교반에 비하여 과학 학업성취도가 더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Kim & Jhun (2016)은 동료평가 과정에서 초등과학영재간에 피드백이 빈번하거나 피드백에 대하여 오랜 시간 여러 의견이 오고갔던 탐구 수행 평가 준거의 경우 평가 점수가 향상되었고, 피드백이 활발히 오고가지 않 았던 평가 영역의 점수는 대부분 비슷하거나 소폭 향상된 결과를 나 타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교육적 효과가 밝혀진 피드백을 자유학기에 교사들이 어느 정도 제공하고 있는지, 피드백을 제공하는 이유 및 제공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아본다면 피드백 제공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유학기제란 무엇인가? 이러한 관점에서 2015년 학교 교육 과정에 핵심역량 함양과 행복교육 실현 추구, 꿈과 끼 탐색을 목표로 하는 자유학기제가 도입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자유학기제란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동안 학생 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토론, 실험, 실습 등 학생 참여 수업을 운영하고, 진로탐색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 (Ministry of Education, 2015).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과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수업과 연계된 적합한 평가 즉, 학생의 학습 과정과 성장을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하고 측정하며 기록하는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Chi et al.
자유학기제가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평가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자유학기제란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동안 학생 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토론, 실험, 실습 등 학생 참여 수업을 운영하고, 진로탐색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 (Ministry of Education, 2015).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과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수업과 연계된 적합한 평가 즉, 학생의 학습 과정과 성장을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하고 측정하며 기록하는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Chi et al., 2014;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Carless, D. (2005). Prospec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2(1), 39-54. 

  2. Chi, E., Won, H., Min, K., Son, W., Kim, T., Lee, S., & Kang, C. (2014). A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yste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CR 2014-07. 

  3. Choi, K., Choi, K., & Lee, H. (2009). Exploration of rel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teaching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2), 267-275. 

  4. Ha, H. (2016). Comparison and analysis of free semesters and regular semesters by the government adop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5. Jang, D. (2015). In free learning semester science of curriculum form and class methods analysi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6. Jeong, H., & Lee, H.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tific inquiry-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for free-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3), 334-350. 

  7. Kim, H., Kwack, D., & Sung, M. (2000). An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evaluation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01-111. 

  8. Kim, H., & Yun, H. (2015). Promoting teacher-based assessment: Korean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its application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4(2), 171-187. 

  9. Kim, K., & Kim, S. (2002). A study on the weight of assessment domains in science education focused on the teacher's view poi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3), 540-549. 

  10. Kim, S. (2007). A study on analysis and alternativ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high school science subjec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0(4), 53-73. 

  11. Kim, S. (2014). Teacher's Cognitions and Implementation on Student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7(1), 141-161. 

  12. Kim, S. (2017a). A stud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rough the scientific inquiry program in the free-semester system: Using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13. Kim, S. (2017b). Development of program integrating career education in the life science chapter for free learning semester.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4. Kim, S., & Jhun, Y. (2016). The effect of peer review to the improvement 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open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6), 969-978. 

  15. Kim, Y. (2007). Qualitative research. Seoul: Moonumsa. 

  16. Kim, Y. (2012). Qualitative research. Paju: Academypress. 

  17. Kim, Y., & Jeong, S. (2017). Qualitative research. Paju: Academypress. 

  18. Kriek, J., & Stols, G. (2010). Teachers' beliefs and their intention to use interactive simulations in their classrooms. South African Journal of Education, 30(3), 439-456. 

  19. Lee, H., Choi, K., & Nam, J. (2000).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479-490. 

  20. Lee, J. (2018).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science-based STEM program for free-year in middle school.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1. Lee, J., Kim, J., & Hong, S. (2016).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for impeding leisure sports activity of women with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4(3), 97-111. 

  22. Lee, J., & Shin, Y. (2014).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88-596. 

  23. Lee, K., Rim, H., Park, I., Seo, M., & Kim, B.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urvey items for affective domain in mahtmatics of NAEA. Th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9(4), 45-70. 

  24. Lee, S., Bak, D., & Nam, J. (2015). Impact of peer assessment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argumentation in argument-based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353-361. 

  25. Lee, Y., Kim, Y., Lee, H., Kim, Y., Cho, D., & Cho, J. (2005) Action Research. Seoul: Hakjisa. 

  26. Lim, J., Kim, M., Lee, J., & Hong, H. (2015). Analysis of education assessment characteristics on pilot schools of free learning semester.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8(3), 233-255. 

  27. Ministry of Education (2015). A schematic design for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8.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How can we evaluate student performance focusing process? ORM 2017-19-2. 

  29. Nam, J., Kim, J., & Hahn, I. (2002).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6(3), 287-295. 

  30. Noh, T., Lee, J., Kang, S., & Kang, H. (2015).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ctual and preferred types of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725-733. 

  31. Paik, S., & Ryu, H. (2014).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descriptive assessment activity experiences by teacher or by pe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93-599. 

  32. Park, H. (2016). A survey on the conditions of middle school science evalu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5(3), 389-398. 

  33. Park, H., & Namkung, J. (2016). Factors influencing the key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8), 149-172. 

  34. Sato, M., Coffey, J., & Moorthy, S. (2005). Two teachers making assessment for learning their own. Curriculum Journal, 16(2), 177-191. 

  35. Seong, T., & Si, K. (2006). Research methodology. Seoul: Hakjisa. 

  36.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6). A manual for operating Seoul fee semester. 2016-17. 

  37. Shin, C., Hwang, E., Kim, E., Song, K., & Park, M. (2014). Settlement measures for middle school free-semester program in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 2014-17. 

  38. Shin, H., Ahn, S., & Kim, Y.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Focus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5-162. 

  39.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40. Tierney, R. D. (2006). Changing practices: Influences on classroom assessment.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3(3), 239-264. 

  41. Won, E., & Jeon, Y. (2016). Development of survey to inquire continuity of english curriculum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8), 568-579. 

  42. Won, H. (2016). An exploration on formative evaluation methods for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1), 289-299. 

  43. Yoo, H., & Shin, J. (2014). A foundation study developing assessment framework for korean teacher culture competency. The Korean Language & Culture Education Society Academic Conference, 2014(1), 51-60. 

  44. Yoo, K., Jeong, J., Kim, Y., & Kim, H. (2018).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oul: Parkyoung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