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식 분석
A Study on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in Free Learning Semester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1, 2017년, pp.111 - 124  

김성숙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정현 (중앙대학교) ,  정인경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시점에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자유학기제가 학교교육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 및 가정과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조사대상 중학교 가정과교사들은 자유학기제가 운영되는 목적으로 학생의 진로탐색 및 1차적 진로 의사결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 참여 중심 수업방법을 핵심과제로 하여 꿈과 끼를 탐색하는 교육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자유학기제의 도입취지나 목적에 대한 이해도도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 위한 자료나 정보를 취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활동도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학교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일반학교 교사들의 경우 자유학기제 관련 교사연수의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수 경험이 없는 연구학교와 일반학교 교사 모두 자유학기제 관련 내용의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역할로는 생애설계적 관점에서 진로교육을 지도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생애를 자기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교 시기는 자아, 소질, 기회 등을 탐색하며 여러 가지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 탐색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자유학기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길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앞으로 가정 교과를 통해 생애설계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인생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자유학기가 한 학기의 이벤트성 운영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 일반학기에도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수업으로 연계성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Free Learning Semester (FLS) in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effective implement of FLS in future school curricula.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ived that the objective of FLS was to hel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실행 취지에 적합한 과목인 가정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자유학기제가 학교교육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실행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해봄으로써 2016년 자유학기제 전면 도입에 따른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역할과 자유학기제에 있어서 가정과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자유학기제를 도입한 이유는? 청소년기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진로 준비를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 대부분이 자신의 적성이나 특기를 발견할 기회를 스스로 탐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경민, 2013). 이에 현 정부에서는 중학생들에게 꿈과 끼를 키워주고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여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줄 목적으로 2013년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였다. 2013년에는 전국의 42개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하고 2014년에는 811교, 2015년에는 2,550여 개의 학교를 지정하여 2년여 동안 시범운영 하였고 , 2016년 1학기에 전면 시행되었다.
청소년기의 현실은? 청소년기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진로 준비를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 대부분이 자신의 적성이나 특기를 발견할 기회를 스스로 탐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경민, 2013). 이에 현 정부에서는 중학생들에게 꿈과 끼를 키워주고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여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줄 목적으로 2013년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였다.
자유학기제 학교 현황은? 이에 현 정부에서는 중학생들에게 꿈과 끼를 키워주고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여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줄 목적으로 2013년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였다. 2013년에는 전국의 42개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하고 2014년에는 811교, 2015년에는 2,550여 개의 학교를 지정하여 2년여 동안 시범운영 하였고 , 2016년 1학기에 전면 시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u Y-K (2013). The Career maturity improvement effect according to the career education and Operational direction for transition semester.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0(1), 27-49 

  2. Cho J, Kim S, Kang S (2011). Current Stat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4), 67-85. 

  3. Choi S-H, Kim E-S, Kwon O-K, Oh C-H, Park K-T (2008). A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and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High School Science Subject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2(1) 96-106 

  4. Hong H-J, Lim Y-N, Jang S-Y (2013). An Inquiry on the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of Stakeholder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9(2) 33-68 

  5. Hong H-Y & Yoo T-M (2008). Analysis of Influential Variables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elf-Identity.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3). 49-64. 

  6. Hwan J-Y & You J-A (2016). Exploring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Free Semester System.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5(1), 949-962. 

  7. Jeong K-S (2013). Approach to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grated Subjects Teaching in Middle School.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7(3), 1-30. 

  8. Ji S-Y (2016). A Study on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tion and the Transi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Unpublished ma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Kang K-S (2011).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8), 113-124. 

  10. Kim D-I, Ra Y, Lee H-E, Keum C-M, Park S-Y (2016). Investigating Facilitating and Risk Factors for Successful Free-semester Program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0(2), 345-371. 

  11. Kim E & Min S (2015). Does the Introdu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 Increase Teachers’ Workload?.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2(2), 181-203 

  12. Kim E-J (2013).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and Application Plan in Free Learning Semester - Focus on Home Economics education Unit -.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3), 105-121. 

  13. Kim J & Lee B (2016). Practical Strategies of Student Assessment in Happy Education through Case Analysis on Free Semester Program. Korean Education Inquiry, 34(3), 113-132. 

  14. Kim J-S (2013). Comparison of Curriculums between 'Transition Year' in Ireland and 'Free Learning Semester'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3(6), 163-183 

  15. Kim M-J & Hong H-J (2016). Research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nd its Implication for the Identity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4(1), 1-28 

  16. Lee B-H, Lim Y-H, Kwon, M-S (2015). An Inquiry on the stably settling Methods for Free Semester System based on the Survey of Education Commun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2), 103-126. 

  17. Lee E-Y, Son J-Y, Kim Y-S, Cho J-S (2014). Home Economics related Programs from the First Pilot Schools implement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3), 69-89. 

  18. Lee J-Y (2013a). The Validity of Career Oriented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3), 1-22. 

  19. Lee, J-Y (2013b).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안- 교과 통합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3-51. 

  20. Lee S-H (201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fe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cross the life spa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3), 123-142. 

  21. Lim J-I, Kim M-J, Lee J-C, Hong H-J (2015). Analysis of education assessment characteristics on pilot schools of Free Learning Semester.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8(3), 233-255. 

  22. Ministry of Education (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계획(안). 

  23. Ministry of Education (2015).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교육과학 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24. Park K-Y, Joo Y-H, Ko Y-J (2014). The Direction and Task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2(1), 25-51. 

  25. Shin C-K, Hwang E-H, Kim E-Y (2014). An Analytical Study on the Operation and Actual State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3), 27-55. 

  26. Son H-K (2013). Constitutional Issues Arising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Journal of Law of Education, 25(1), 151-180. 

  27. Son H-H, Park M-J, Chae J-H (2009). A Content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Secondary School developed by the 7th Educational Proces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4), 145-158. 

  28. Won H-H (2016). An Exploration on Formative Evaluation Methods for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1), 289-299. 

  29. Yeo J-Y & Chae S-M (2016). The School Experiences of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5), 698-708. 

  30. Yoon H, Yoon W, Woo A-J (2011).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Science Textbook,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3), 757-776. 

  31. 강신천 (2014). "꿈과 끼 키우는 '행복수업'을 위해서는...", 행복한 교육, 379, 22-25. 

  32. 권유진, 김순주, 김신애, 어지현, 남희화, 최미선 (2010). 가정교과에서의 진로교육과 실천 사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3-190. 

  33. 문경민 (2013). "아이들에게 생각할 여유를 주어야 한다". 좋은교사, 152, 50-55. 

  34. 박현아 (2015). "자유학기제 훈풍 타고 현장에 안착", 행복한 교육, 392, 22-31. 

  35. 신철균 (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 연구원 연구보고서. 

  36. 양창욱 (2015). BBS방송. '양창욱의 아침저널-자유학기제때도 정상수업합니다' 2015. 4. 27일자, 

  37. 이윤정 (2013). 자유학기제를 통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94-95. 

  38. 장명희 (2014). 가정과교육에서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역량 강화를 위한 접근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52-84. 

  39. 정철균 (2013). 직업체험 시설을 활용한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40. 지은림 (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평가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41. 진미석 (2014). "자유학기제: 주요쟁점과 이슈". 학교운영위원회, 171, 11-31. 

  42. 채정현 (2013).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안 -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2013(7), 52-61. 

  43. 최상덕 (2014).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학교별 사례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