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소마케팅 개념을 도입한 화양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계획
A Revitalize Rural Hub Project in Hwayang-eup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lace Marketing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5 no.2, 2019년, pp.119 - 130  

박지환 (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김태구 (한국농어촌공사) ,  오창송 (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situation in which rural areas are declining,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to revitalize areas by place marketing. Place marketing, defined by various efforts to promote the image of a place, has been used as an economic tool. As a result, the image has been over-promoted and marketing has be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문에서 화양읍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이유는? 화양읍은 청도읍성이 위치한 청도의 중심지였지만 청도읍으로 중심생활권이 이동하면서, 기초 서비스의 위축, 정주환경의 노후화 및 생활서비스 수용 충족이미비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양읍은 다양한문화재 밀집에 따른 관광자원화사업으로 외지인의 방문이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마케팅(marketing)이란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행위이자 전략적 판매활동을 위한 새로운 경영기법을 지칭한다. 마케팅의 개념은 초기 생산지향, 제품지향, 판매지향(1900~1950년)에서 출발하였고 소비자 욕구만족(1960년)을 거쳐, 1970년 이후부터 사회지향 개념으로 자리를 잡았다.
농촌을 대상으로 한 장소마케팅은 무엇이 문제가 되었는가? 그러나농촌을 대상으로 한 장소마케팅은 여러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내부 이해관계의 분화와 정체성에 대한 도전집단I.의 형성에 의한 불안정(Jung, 1998), 지방자치단체의 체계적 연구 부제와 무분별한 진행(Sung and Lim, 2008),개인의 의미와 삶의 경험을 무시하고 전략적으로 주민을지나치게 이용하였다(Parker,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itken, R. and Campelo, A.(2011). The four Rs of place brand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7(9-10): 913-933. 

  2. Alves, H.B., Cerro, A.C., and Martins, A.F. (2010). Impacts of small tourism events on rural places. Journal of Pla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3(1): 22-37. 

  3. Ashworth, G. and Kavaratzis, M.(2009). Beyond the logo: Brand management for cities.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8): 520-531. 

  4. Berg, L., et al(2002) Sports and city marketing in European cities. New York: Routledge. 

  5. Cho, A.N.(2010) A Study on local governance organization factors in the place marketing strategies of local festival: the cases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6. Eimermann, M. et al.(2017) Rural place marketing and consumption-driven mobilities in Northern Swede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ommunity sustainability. Journal of Rural and Community Development 2(3): 114-126. 

  7. Gonzalez, L.P. and Lester, L.(2008) 'All for one, one for all': communicative processes of concreation of place brands through inclusive and horizontal stakeholder collaborative networks, Communication & Society 31(4): 59-78. 

  8. Hankinson, G.(2007). The management of destination brands: Five guiding principles based on recent developments in corporate branding theory.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4(3): 240-254. 

  9. Hanna, S. and Rowley, J.(2011). Towards a strategic place brand-management model.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7(5-6): 458-476. 

  10. Kang J.W.(2006) City image marketing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6(1): 187-207. 

  11. Kang, B.H.(2011) The effects of place marketing on place image,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ir revisit.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Korea. 

  12. Kang, B.S. and Woo, S.Y.(2016)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to the park image fpr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of Daejeon Root Park.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9(1): 63-92. 

  13. Kavaratzis, M.(2009). Cities and their brands: Lessons from corporate branding.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5(1): 26-37. 

  14. Kerns, G. and Philo, C.(1993) Selling place: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 New York: Pergamon Press. 

  15. Kim, S.H.(2007) The theory and practice of local governance: the requirements for resolving local problems. National Association Korean Local Government Studies 9(2): 41-56. 

  16. Lee, H.Y.(2016)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idle space from the viewpoint of place marketing: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17. Lee, M.Y.(2003) Place marketing. Seoul: Non-Hyoung. 

  18. Lee, M.Y.(2006) A study on the cultural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 39-57. 

  19. Nho, J.M.(2008) A study on the concept of place marketing to revitalize the old-town in medium sized city: with focus on the Asa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20. Niedomysl, T. and Jonasson, M.(2012). Towards a theory of place marketing. Journal of Pla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5(3): 223-230. 

  21. Norberg-Schulz, C.(1971)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New York: Praeger. 

  22. Oh, H.E.(2015) Regeneration plan for small cities based on a sense of place-case on Wolcheon Old Downtown, Geochang,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6(5): 139-160. 

  23. Park, B.J. and Seo, S.Y.(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local development using place marketing: focused on Incheon and Busan's Chinatown. Culture and Convergence 40(2): 167-198. 

  24. Parker, C. et al.(2015) Back to basics in the marketing of place: the impact of litter upon place attitude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31: 1090-1112. 

  25. Sung, C.J. and Lim, I.S.(2008) A study on the region development, place marketing and region amenity. Journal of Photo Geography 18(3): 57-68. 

  26. Kim, T.S.(1998) A study on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focus on the Tenant's strateg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7.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김덕형 외2 (역). 장소와 장소상실. 2005. (서울:논형)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