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북도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에 적용된 거점강화전략과 계획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ies and Plans for Activating Central Area in the Rural Town Regeneration Projects in Chungcheongbuk-do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2 no.4, 2020년, pp.63 - 70  

이창우 (청주대학교 건축학.건축공학전공) ,  임지택 (한양대학교 에리카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many rural towns have become increasingly declining, and the government has been carrying out the rural town regeneration project to activate central area with the concept of compact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ategies and plans promo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중심지를 지역주민들의 사회활동 영역이라는 관점에서 장소성이 강한 거점을 형성하고 배후마을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컴팩트시티 개념이 2) 실현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설정하였다.3) 읍소재지를 대상으로 농촌 중심지와 배후지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함께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유용한 계획기법과 사례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방 소도읍내 공공 서비스거점 형성을 위한 전략과 세부 계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 중심지 기능강화 및 연계전략을 위해, 단절하고 있는 철로를 철거하고 확보된 부지를 공공시설과 공공공간으로 계획하여 기존 상업거리와 연결하였다. 동서로 긴 200m 정도의 차로를 따라 가로경관사업을 시행하고동측부분에 공공시설을 조성함으로써 과거 철도에 의해 단절되었던 지역 중심지을 하나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봉양지구는 중심상업 거리를 중심으로 거점을 강화하고자 하는 전략에 따라 중심가로와 연결이 가능한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공공 복합시설을 계획하였다.
  • 전면 봉우리가 매봉공원으로 이번 사업으로 생태공원화 계획을 진행하였으며, 기존의 도서관과 청소년 문화의집을 리모델링하여 문화복지기능을 확충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시설 사이의 도로의 개선하고 학교로 이어지는 가로의 보행여건을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실효성 있는 계획기법과 중심지 공간 발전구도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거점강화전략에 따라 추진되는 실행사업을 대상으로 세부 계획안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특성을 도출하는 계획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충북지역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선도지구에서 진행하였던 실제 사업을 중심으로 거점강화를 위해 추진한 계획내용과 전략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향후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의 세부 사업내용을 선정하고 중심지의 공간발전 구도를 설정하는데 유용한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 철거된 시설로 확보된 부지는 도서관이 포함된 생활문화센터로 신축하면서 가로의 경관을 변화시킨다. 여러 중심기능이 집결되면서 경관이 복잡해질 수 있지만 중심가로와 양쪽에 신축되는 공공시설을 조화롭게 계획하여 특화된 경관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내수지구의 경우 읍사무소 주변의 낙후된 시설을 개선하고 기존 시설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여러 공공시설이 단지를 이룬다.
  • 중심상업가로의 동측에 철도부지를 활용하여 복합문화 복지센터를 신축하고 후면에 만남의 장터를 계획하였다. 읍사무소에서 시작하여 구 철도부지까지 형성되어 있는 상가거리를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진행하여 각 시설들의 연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읍사무소 서 측 방향으로 300m 떨어진 천변에 주민어울림공간을 조성하고 천변 여유 공간에 봉양생태마당을 계획하였다.
  • 넷째, 지구별로 설정된 구역에서 나타난 신규 사업의 분포상황, 신규 시설과 기존시설과의 연계, 중심가로와의 상관관계 등을 공간상에서 표현하고 해당 구역의 특징과 중요기능 사이의 관계를 도식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신규 사업들이 기존 중심가로를 포함하는 거점영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각 사업지의 중심거점기능을 강화하기위한 전략과 계획의 특성을 살펴본다.
  • 매포읍은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봉우리 돌아서 동서로 길게 형성되어있다. 전면 봉우리가 매봉공원으로 이번 사업으로 생태공원화 계획을 진행하였으며, 기존의 도서관과 청소년 문화의집을 리모델링하여 문화복지기능을 확충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시설 사이의 도로의 개선하고 학교로 이어지는 가로의 보행여건을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김찬호, 이창호, 우윤석,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을 위한 한국형 압축도시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2(2), 2007. 

  2. 농림축산식품부, 19년 착수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특별교육 워크숍, 2019. 

  3. 박혁서, 일본의 콤팩트 도시 구축을 통한 지방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6(2), 2018. 

  4. 백금철, 읍면 계층분류에 따른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의 특성분석,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5. 심재승, 콤팩트시티와 지방도시의 재생: 일본의 토야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6(3), 2014. 

  6. 오민준, 정재용, 국내외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7(12), 2011. 

  7. 임형백, 인구감소시대에 축소도시를 활용한 도시계획, 한국도시행정학보, 30(2), 2017. 

  8. 카이도기요노부, 콤팩트시티, 문운당, 2014. 

  9.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농촌중심지 정비방안 및 계획기법 현장실증 연구,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