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과 수직고경 감소를 동반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교합평면 회복을 통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through re-establishment of occlusal plane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with reduced vertical dimension accompanied by loss of posterior occlusal sup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60 no.3, 2022년, pp.263 - 275  

조영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치과병원 생체재료보철과) ,  이성복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치과병원 생체재료보철과) ,  이석원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치과병원 생체재료보철과) ,  최조셉준석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치과병원 생체재료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면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되면서 대합치의 점진적인 정출과 전치부 치아들의 전방 돌출을 초래하게 되고 결국 교합평면이 붕괴됨과 아울러 안모의 변화, 저작 효율 저하, 그리고 측두하악관절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확한 진단 과 예지성 있는 치료계획 수립을 통한 교합평면 재설정 및 수직고경 회복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71세 여성 환자로, 교합 평면이 붕괴되고 구치부 보철 수복 공간이 부족하여,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을 계획하였다. 생리적 하악안정위, 연하, 발음, 안모, 전치부 평균 길이 등을 평가하는 임상적 과정을 통해 적절한 수직고경 및 3차원적 교합평면을 재설정하여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약 5개월 간 임시 보철물 상태로 악관절 및 저작근의 적응 여부를 관찰하고 교합을 안정화하였다. 기능적, 심미적 임상증상이 없음을 확인한 후 최종 보철 수복하였다. 이러한 환자친화적 완전구강회복 과정을 수행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ss of posterior occlusal support leads to further complications such as collapsed occlusal plane and reduced vertical dimension, and it may cause problems such as facial appearance change, reduced chewing efficiency,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such case, it is necessary to re-es...

주제어

참고문헌 (23)

  1.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2. Winstanley RB.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treatment of occlusal disharmony by selective grinding. J Oral Rehabil 1986;13:169-81. 

  3. Rugh JD, Drago CJ. Vertical dimension: a study of clinical rest position and jaw muscle activity. J Prosthet Dent 1981;45:670-5. 

  4. Lee YJ, Leesungbok R, Lee SW, Park SJ, Ahn SJ. Implant supported removable dental prosthesis with magnetic attachment in crossed occlusion: A case repor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7;55:53-60. 

  5. Leesungbok R. Dr. Lee's Top-Down implant dentistry. Seoul; Myoung Mun Publishing Co.; 2004. 

  6.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7. Sierpinska T, Kuc J, Golebiewska M.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Tooth Wear before and after Treatment. Open Dent J 2013;7:55-61. 

  8. Min BK, Jun DJ, Yang HS, Park SW, Lim HP, Yun KD, Park C. Restoration of partial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fter fabricating of surveyed crowns utilizing electronic surveying: a case report. J Dent Rehabil Appl Sci 2017;33:135-42. 

  9.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10. McGRANE HF. Five basic principles of the McGrane full denture procedure. J Fla State Dent Soc 1949;20:5-8. 

  11. Bloom DR, Padayachy JN.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why, when and how. Br Dent J 2006;200:251-6. 

  12. Song JW, Leesungbok R, Park SJ, Chang SH, Ahn SJ, Lee SW. Analysis of crown size and morphology, and gingival shape in the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in Korean young adults. J Adv Prosthodont 2017;9:315-320. 

  13. Albashaireh ZS, Ghazal M, Kern M. Two-body wear of different ceramic materials opposed to zirconia ceramic. J Prosthet Dent 2010;104:105-13. 

  14.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1st ed. St. Louis; MO; Elsevier Health Sciences; 2007. p. 430-52. 

  15. Ramfjord SP, Blankenship JR. Increas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 adult monkeys. J Prosthet Dent 1981;45:74-83. 

  16. Carlsson GE, Ingervall B, Kocak G. Effect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n the masticatory system in subjects with natural teeth. J Prosthet Dent 1979;41:284-9. 

  17. Rivera-Morales WC, Mohl ND. Relationship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o the health of the masticatory system. J Prosthet Dent 1991;65:547-53. 

  18. Gross MD, Ormianer Z.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crease on mandibular postural rest position. Int J Prosthodont 1994;7:216-26. 

  19. Dahl BL, Krogstad O. The effect of a partial bite raising splint on the occlusal face height. An x-ray cephalometric study in human adults. Acta Odontol Scand 1982;40:17-24. 

  20. Ormianer Z, Palty A. Alter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 comparative retrospective pilot study of tooth- and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9;24:497-501. 

  21. Miyazaki T, Nakamura T, Matsumura H, Ban S, Kobayashi T. Current status of zirconia restoration. J Prosthodont Res 2013;57:236-61. 

  22. Williams RJ, Bibb R, Eggbeer D, Collis J. Use of CAD/CAM technology to fabricate a removable partial denture framework. J Prosthet Dent 2006;96:96-9. 

  23. Wood GN. Centric relation and the treatment position in rehabilitating occlusions: a physiologic approach. Part II: The treatment position. J Prosthet Dent 1988;60:1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