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글라이더를 활용한 동해 아중규모 중층성 소용돌이 발견
First Observational Finding of Submesoscale Intrathermocline Eddy in the East Sea using Underwater Glider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4 no.2, 2019년, pp.332 - 350  

박종진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시스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년 8월 7일부터 25일까지 수중글라이더를 활용하여 $37.9^{\circ}N$ 위도 라인를 따라 동경 $129.0^{\circ}E{\sim}131.3^{\circ}E$ 사이를 왕복하는 단면 관측을 수행하였다. 해당 경로는 국립수산과학원 정기선박 관측라인 중 106 라인을 따른 것으로 이 경로를 따라 약 18일간 운용하였으며 위치 유지 모드로 동작했던 시간을 제외하고 총 440 km를 비행하였고, 그동안 고해상도 수온 및 염분의 공간 단면을 관측하였다. 본 관측 해역은 약 0.8 m/s의 강한 유속을 갖는 동한난류가 북상하고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수중글라이더는 지정된 경로에서부터 RMS 거리 400 m 이내를 벗어나지 않고 정확하게 106 라인을 따라 비행하였다. 본 관측에서 얻어진 고해상도 물성 단면 구조를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관측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해양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전선역이나 소용돌이와 같은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서 고해상도 관측이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중글라이더 관측을 통해 이제까지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소용돌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소용돌이는 수평폭이 10~13 km, 수직폭은 200 m 가량되는 렌즈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아중규모 중층성 소용돌이(submesoscale intrathermocline eddy)다. 수온약층 내 혹은 직하부에 존재하면서 아중규모의 렌즈형태의 구조를 갖는 이러한 중층성 소용돌이는 동해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Korea intrathermocline eddy(Keddy)로 명명하였다. 이 Keddy는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중층성 소용돌이(intrathermocline eddy)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Keddy는 수온약층 하부인 수심 약 170 m, 즉 중층에서 유속최대값을 갖는 특징이 있고, 따라서 해표면에는 해당 지오포텐셜 구조가 드러나지 않는 2차 순압성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앙부의 성층화가 주변보다 약하고, 수평크기가 1차 순압성 로스비 변형반경과 유사하며, 로스비 수가 0.7로 1에 근접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onal hydrographic section measurements at $39.7^{\circ}N$ were conducted between $129.0^{\circ}E$ and $131.3^{\circ}E$ from August 7 to 25 in 2017 using an underwater glider. The glider traveled about 440 km for about 18 days along the 106 line of the regular shipbo...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중글라이더는 무엇인가? 수중글라이더는 부력을 조절하여 잠항과 부상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그 힘을 이용해 활강함으로써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해양 관측 로봇의 일종이다. 부력을 바꿈으로써 활강하기 때문에 요구 전력이 낮아 수개월에서 1년 남짓의 기간 동안 광역의 해양에 대해 자동적인 관측이 가능하다.
수중글라이더가 오랜 기간 광역의 해양에서 자동적인 관측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중글라이더는 부력을 조절하여 잠항과 부상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그 힘을 이용해 활강함으로써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해양 관측 로봇의 일종이다. 부력을 바꿈으로써 활강하기 때문에 요구 전력이 낮아 수개월에서 1년 남짓의 기간 동안 광역의 해양에 대해 자동적인 관측이 가능하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구축하여 운용되기 시작한 무인해양관측망에서 계류형 관측 장비와 함께 주력으로 활용되고 있는 관측 장비이며, 약 1~2km 공간 해상도로 표층부터 수심 1000m까지 수평 공간 관측을 수행하고 있을 뿐 아니라 위치 유지 제어(Virtual Mooring)를 통해 시계열 정지 관측까지 수행하고 있어 해양 관측 및 탐사 분야의 무인화를 견인하고 있는 핵심 장비이다(Park, 2013).
수중글라이더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수중글라이더의 활강하는 비행방식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몇 가지 단점도 있다. 활강하기 때문에 이동 속도의 제한이 있어 해류의 영향을 받기가 쉽다. 따라서 원하는 방향으로 똑바로 비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운용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이동속도 제한은 수중에서의 비행 궤적을 추정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수중항법의 제약 요건이 되며, 기존의 음향통신을 활용한 위치 추적은 전력소모가 크고 실효적인 위치 추적 거리가 10km 이내로 짧아 효용성이 낮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들은 고도화된 운용 기술을 통해 해양 관측 자료에 요구되는 성능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해결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elton, D.B., R.A. Deszoeke, M.G. Schlax, K. El Naggar and N. Siwertz, 1998. Geographical variability of the first baroclinic Rossby radius of deformation.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28(3): 433-460. 

  2. Collins, C.A., L.M. Ivanov, O.V. Melnichenko and N. Garfield, 2004. California Undercurrent variability and eddy transport estimated from RAFOS float observ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9(C5). 

  3. D'Asaro, E.A., 1988. Generation of submesoscale vortices: A new mechanis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93(C6): 6685-6693. 

  4. Gordon, A.L., E. Shroyer and V.S.N. Murty, 2017. An Intrathermocline Eddy and a tropical cyclone in the Bay of Bengal. Scientific Reports, 7, 46218. 

  5. Hickey, B.M., 1979. The California current system-hypotheses and facts. Progress in Oceanography, 8(4): 191-279. 

  6. Huyber, A., J.A. Barth, P.M. Kosro, R.K. Shearman and R.L. Smith, 1998. Upper-ocean water mass characteristics of the California Current, summer 1993. Deep Sea Research Part II: T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45(8-9): 1411-1442. 

  7. Kunze, E., 1995. Quantifying salt-fingering fluxes in the ocean. Washington DC American Geophysical Union Geophysical Monograph Series, 94: 313-320. 

  8. Lee, C.M., L.N. Thomas and Y. Yoshikawa, 2006. Intermediate Water formation: AT THE JAPAN/EAST SEA SUBPOLAR FRONT. Oceanography, 19(3): 110-121. 

  9. McDougall, T.J., 1988. Some implications of ocean mixing for ocean modelling. In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Elsevier, 46: 21-35. 

  10. McGillicuddy, D.J., 2015. Formation of intrathermocline lenses by eddy-wind interaction.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45(2): 606-612. 

  11. McGillicuddy, D.J., L.A. Anderson, N.R. Bates, T. Bibby, K.O. Buesseler, C.A. Carlson, C.S. Davis, C. Ewart, P.G. Falkowski, S.A. Goldthwait, D.A. Hansell, W.J. Jenkins, R. Johnson, V.K. Kosnyrev, J.R. Ledwell, Q.P. Li, D.A. Siegel and D.K. Steinberg, 2007. Eddy/wind interactions stimulate extraordinary mid-ocean plankton blooms. Science, 316(5827): 1021-1026. 

  12. McWilliams, J.C., 1985. Submesoscale, coherent vortices in the ocean. Reviews of Geophysics, 23(2): 165-182. 

  13. Park, J.J., 2013. Underwater glider: Its applicability in the East/Japan Sea. Ocean and Polar Research, 35(2): 107-121. 

  14. Pelland, N.A., C.C. Eriksen and C.M. Lee, 2013. Subthermocline eddies over the Washington continental slope as observed by Seagliders, 2003-09.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43(10): 2025-2053. 

  15. Rudnick, D.L. and S.T. Cole, 2011. On sampling the ocean using underwater glider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6(C8). 

  16. Schmitt, R.W., 1995. The ocean's salt fingers. Scientific American, 272(5): 70-75. 

  17. Shin, H.R., C.W. Shin, C. Kim, S.K. Byun and S.C. Hwang, 2005. Movement and structural variation of warm eddy WE92 for three years in the western East/Japan Sea. Deep Sea Research Part II: T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52(11-13): 1742-1762. 

  18. Spall, M.A., 1995. Frontogenesis, subduction, and cross-front exchange at upper ocean fro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0(C2): 2543-2557. 

  19. Steinberg, J.M., N.A. Pelland and C.C. Eriksen, 2018. Observed evolution of a California Undercurrent eddy.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2018). 

  20. Thomas, L.N. and C.M. Lee, 2005. Intensification of ocean fronts by down-front winds.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35(6): 1086-1102. 

  21. Thomas, L.N., 2008. Formation of intrathermocline eddies at ocean fronts by wind-driven destruction of potential vorticity. Dynamics of Atmospheres and Oceans, 45(3-4): 252-273. 

  22. Thomson, R.E. and M.V. Krassovski, 2015. Remote alongshore winds drive variability of the California Undercurrent off the British Columbia-Washington coas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20(12): 8151-8176. 

  23. Todd, R.E., D.L. Rudnick, M.R. Mazloff, R.E. Davis and B.D. Cornuelle, 2011. Poleward flows in the southern California Current System: Glider observations and numerical simul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6(C2). 

  24. Webb, D.C., P.J. Simonetti and C.P. Jones, 2001. SLOCUM: An underwater glider propelled by environmental energy. IEEE Journal of Oceanic Engineering, 26(4): 447-4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