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유기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바이오 라벨링, 바이오 이미징 및 바이오 센싱에 사용되고 있는 유망한 나노소재이다. 일반적으로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는 수정된 스토버 방법(
Organic dye-doped silica nanoparticles are used as a promising nanomaterials for bio-labeling, bio-imaging and bio-sensing.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s(NPs) have been synthesized by the modified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졸겔(Sol-Gel) 공정으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졸겔 공정에 APTES를 첨가하여,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 른 청색 형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청색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형상과 크기는 전계방출 주사전자현 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하 FE-SEM)으로 분석하였고,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른 형광특성은 파장 365 nm의 자외선 램프(UV Lamp)를 조사하여 확인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APTES를 첨가하여 청색 형광 특성 | 졸겔 공정으로 크기가 다른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졸겔 공정 중에 APTES를 첨가하여 청색 형광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고 특히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와 청색 형광 특성의 상관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
첫째, 졸겔 공정 중에 APTES가 첨가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모두 동일한 색깔의 청색 형광 특성(최대 PL 강도 파장은 418 nm ~ 425 nm)을 나타내었다.둘째, 졸겔 공정으로 APTES가 첨가되어 합성된 청색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청색 형광 강도가 증가하였다. 이것은 실리카 매트릭스 속의 산소결 함과 APTES 층 속의 NH2 기능기가 결합되는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셋째, 졸겔 공정으로 APTES가 첨가되어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에서 하소공정을 거치지 않은 실리카 나노입자는 청색 형광 특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하소 공정을 통해서만 APTES 층의 NH2 기능기와 실리카 매트릭스 내부의 산소 결함이 결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첫째, 졸겔 공정 중에 APTES가 첨가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모두 동일한 색깔의 청색 형광 특성(최대 PL 강도 파장은 418 nm ~ 425 nm)을 나타내었다. 둘째, 졸겔 공정으로 APTES가 첨가되어 합성된 청색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청색 형광 강도가 증가하였다. 이것은 실리카 매트릭스 속의 산소결 함과 APTES 층 속의 NH2 기능기가 결합되는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졸겔 공정으로 APTES가 첨가되어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에서 하소공정을 거치지 않은 실리카 나노입자는 청색 형광 특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하소 공정을 통해서만 APTES 층의 NH2 기능기와 실리카 매트릭스 내부의 산소 결함이 결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형광 염료가 도핑(Doping) 된 실리카(Silica) 나노입자 | 형광 염료가 도핑(Doping) 된 실리카(Silica) 나노입자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
유기 형광 염료의 낮은 형광감도 및 광퇴색의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양자점 나노소재가 가지고 있는 깜박임 현상과 독성 문제
형광 염료가 도핑(Doping) 된 실리카(Silica) 나노입자는 유기 형광 염료의 낮은 형광감도 및 광퇴색의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양자점 나노소재가 가지고 있는 깜박임 현상과 독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바이오 라벨링 및 바이오 이미징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낮은 독성, 높은 생체 적합성, 높은 형광특성, 높은 친수성 및 표면개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3, 5-9]. |
질병의 감염 여부 등을 판단 | 현대의학에서는 질병의 감염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해서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가? |
유전자를 검사하는 DNA 마이크로 어레이(Microarray)
현대의학에서는 질병의 감염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해서 유전자를 검사하는 DNA 마이크로 어레이(Microarray) 를 이용한 분자진단검사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하고 증폭시키는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후에, 바이오 라벨링(Bio-labeling) 및 바이오 이미징(Bio-imaging)을 위해서 유기 형광 염료(Organic Fluorescent Dye)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