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 질환 마우스에서 중첩주파수를 활용한 미세전류가 인지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crocurrent Wave Superposition on Cognitive Improvement in Alzheimer's Disease Mice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241 - 251  

김민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아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조동식 ((주)내츄럴웰테크) ,  조은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Alzheimer's disease(AD) 마우스 모델에서 미세전류의 적용을 통한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ICR 마우스에 amyloid beta($A{\beta}$)를 뇌 내 주입하여 인지능력 손상을 유도한 후, 4가지 파형의 미세전류를 각각 적용하여 손상된 인지능력에 미치는 미세전류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AD 마우스의 공간 및 물체 인지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행동실험을 실시한 결과,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와 Morris water maze test에서 $A{\beta}$로 인해 손상되었던 인지능력이 미세전류 적용군에서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지질과산화 반응으로 인한 malondialdehyde의 뇌 내 생성량 또한 감소하였다. 뇌 조직에서 AD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특히 미세전류 Wave4 [STEP FORM 파형(0, 1.5, 3, 5V), 중첩Hz 적용] 적용군에서 $A{\beta}$ 생성 관련 단백질인 ${\beta}$-secretase, presenilin 1, presenilin 2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신경영양인자인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D 마우스에서 미세전류를 이용한 손상된 인지능력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AD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으로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icrocurrent against cognitive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AD) mice model. The cognitive impairment was induced by intracerebroventricularly injection of amyloid beta ($A{\beta}$) to ICR mouse brain, and four kinds of micorocurren...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β로 AD가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미세전류기를 적용하였을 때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4가지 파형 [Wave1, SAW_Minus파형(중첩Hz 미적용); Wave2, SAW파형(중첩Hz 적용); Wave3, SQUARE파형(중첩Hz 적용); Wave4, STEP FORM파형(중첩Hz 적용)]의 비교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파형을 알아보고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특징은? 최근 의학 기술 발달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있으며, 노령인구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치매, 뇌졸중, 당뇨, 암 등 다양한 만성퇴행성질환 유병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인 치매는 기억력 장애, 판단력 상실 등 정신기능의 전반적인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매로 인한 기억력 손상과 인지 능력 저하는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있어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사회 경제적 부담 역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1,2].
임상에서 전기치료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임상에서 전기치료는 골관절염이나 근골격계 질환에 의한 통증감소 또는 손상된 조직의 치유를 돕는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미세전류 자극치료는 인체에서 거의 느낄 수 없는 1000 μA 미만의 전류를 이용하는 치료 방법으로써, mA 단위를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전기치료와 구별이 된다[8]. 이전 연구에 따르면, 미세 전류 자극 치료는 생체전기이론과 세포 내 이온 통로를 통해 세포들 사이의 특정한 신호 전달 체계에 영향을 받는다는 세포통신이론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안정성이 탁월하고 부작용도 거의 없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9].
Alzheimer’s disease(AD)형 치매의 대표적인 병리학적 원인은 무엇인가? 치매의 약 60-70%를 차지하는 Alzheimer’s disease(AD)형 치매는 amyloid beta(Aβ)단백질이 뇌에 비정상적으로 침착되어 신경독성을 일으키고, 시냅스 소실, 또는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인지기능 저하와 행동장애로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다[3,4]. 이러한 질환의 대표적인 병리학적 원인이라고 알려진 Aβ 단백질은 amyloid precursor protein(APP)라는 단백질이 β-secretase와 γ-secretase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되며, 정상인의 경우 Aβ를 생성하지 않는 경로를 통해 비독성의 물질로 대사되지만, 노화 등으로 인해 Aβ의 생성이 증가할 경우 뇌에 침착하여 병변을 초래할 수 있다[5,6]. 오늘날 AD를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약물이 개발되었으나 장기간 복용 시 간독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방법을 통해 AD를 예방 및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M. Citron. "Alzheimer's disease: strategies for disease modification",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 Vol.9, No.5, pp.387-398, 2010. DOI: https://doi.org/10.1038/nrd2896 

  2. M. J. Cho.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in the Korean elderly", Health Welfare Policy Forum. Vol.156, pp.43-48, 2009. 

  3. M. S. Parihar, T. Hemnani. "Alzheimer's disease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Vol.11, No.5, pp. 456-467, 2004. DOI: https://doi.org/10.1016/j.jocn.2003.12.007 

  4. D. J. Selkoe, J. Hardy. "The amyloid hypothesis of Alzheimer's disease at 25 years", EMBO Molecular Medicine, Vol.8, No.6, pp.595-608, 2016. DOI: https://doi.org/10.15252/emmm.201606210 

  5. K. J. Barnham, W. J. McKinstry, G. Multhaup, D. Galatis, C. J. Morton, C. C. Curtain, N. A. Williamson, A. R. White, M. G. Hinds, R. S. Norton, K. Beyreuther, C. L. Masters, M. W. Parker, R. Cappai. "Structure of the Alzheimer's disease amyloid precursor protein copper binding domain. A regulator of neuronal copper homeostasi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78, No.19, pp.17401-17407, 2009. DOI: https://doi.org/10.1074/jbc.M300629200 

  6. G. F. Chen, T. H. Xu, Y. Yan, Y. R. Zhou, Y. Jiang, K. Melcher, H. E. Xu. "Amyloid beta: structure, biology and structure-based therapeutic development", Acta Pharmacologica Sinica, Vol.38, No.9, pp.1205-1235, 2017. DOI: https://doi.org/10.1038/aps.2017.28 

  7. P. B. Watkins, H. J. Zimmerman, M. J. Knapp, S. I. Gracon, K. W. Lewis. "Hepatotoxic effects of tacrine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ama, Vol.271, No.13, pp. 992-998, 1994. DOI: https://doi.org/10.1001/jama.1994.03510370044030 

  8. J. O. Go. "Effects of self-microcurrent massage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and sit and reach: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73, pp.463-470, 2018. 

  9. J. W. Jung "A study on the effect of microcurrent on pain relie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12, No.2, pp.195-205, 1991. 

  10. H. J. Oh, J. Y. Kim, R. J. Park.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recovery of function and pain in chronic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3 No.1, pp.47-56, 2008. 

  11. M. I. Lambert, P. Marcus, T. Burgess, T. D. Noakes. "Electro-membrane microcurrent therapy reduces signs and symptoms of muscle damag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34, No.4, pp.602-607, 2002. DOI: https://doi.org/10.1097/00005768-200204000-00007 

  12. C. R. McMakin, W. M. Gregory, T. M. Phillips. "Cytokine changes with microcurrent treatment of fibromyalgia associated with cervical spine trauma",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Vol.9, No.3, pp.169-176, 2005. DOI: https://doi.org/10.1016/j.jbmt.2004.12.003 

  13. C. Yu, Z. Q. Hu, R. Y. Peng. "Effects and mechanisms of a microcurrent dressing on skin wound healing: a review", Military Medical Research, Vol.1, No.1, pp.24, 2014. DOI: https://doi.org/10.1186/2054-9369-1-24 

  14. S. Yennurajalingam, D. H. Kang, W. J. Hwu, N. S. Padhye, C. Masino, S. S. Dibaj, D. D. Liu, J. L. Williams, Z. Lu, E. Bruera.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for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anxiety, sleep disturbance, and pain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55, No.2, pp.198-206, 2018. DOI: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7.08.027 

  15. A. Childs, M. L. Crismon. "The use of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in post-traumatic amnesia: a report of two cases", Brain Injury, Vol.2, No.3, pp.243-247, 1988. DOI: https://doi.org/10.3109/02699058809150948 

  16. M. S. Cho. "The effect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xpression of BMP-4 after tibia fracture in rabbi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7, No.1, pp.1124-1129, 2009. DOI: https://doi.org/10.5392/JKCA.2010.10.3.196 

  17. J. S. Kim, K. O. Min,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the astrocytes proliferation at injured brain of rabbit",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ol.9, No.3, pp.107-119, 2002. 

  18. S. U. Kim, J. S. Lee, S. S. Kim, H. D. Shin, S. H. Chung, "The effect of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 on stress-related hormone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13, No.4, pp.1-18, 2003. 

  19. R. J. Park, J. S. Kim, I. H. Lee, J. H. Park, D. U. Han, "Effects of electrotherapy on blood velocity of vranial artery in tension - type headache subjects",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Vol.12, No.2, pp.349-359, 2000. 

  20. L. L. Baker,S. Rubayi, F. Villar, S. K. Demuth.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waveform on healing of ulcers in human beings with spinal cord injury", Wound Repair and Regeneration, Vol.4, No.1, pp.21-28, 1996. DOI: https://doi.org/10.1046/j.1524-475X.1996.40106.x 

  21. H. G. Oh, J. H Kim, E. H. Shin, Y. R. Kang, B. G. Lee, S. H. Park, D. I. Moon, I. S. Kwon, Y. P. Kim, M. H. Choi, O. J. Kim, G. H. Park, H. Y. Lee. "Improving effects of platycodon extracts jelly on ${\beta}$ -amyloid-induced cytotoxicity and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animal model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ol.26, No.4, pp.417-425, 2013. DOI: https://doi.org/10.7732/kjpr.2013.26.4.417 

  22. S. Y. Choi, J. Lee, D. G. Lee, S. Lee, E. J. Cho. ""Acer okamotoanum improves cognition and memory function in $A{\beta}_{25-35}$ -induced Alzheimer's mice model",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60, No.1, pp.1-9, 2017. DOI: https://doi.org/10.1007/s13765-016-0244-x 

  23. K. C. Montgomery. "A test of two explanations of spontaneous alternation", Journal of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Psychology, Vol.45, No.3, pp.287-293, 1952. DOI: http://dx.doi.org/10.1037/h0058118 

  24. R. A. Bevins, J. Besheer. "Object recognition in rats and mice: a one-trial non-matching-to -sample learning task to study 'recognition memory'", Nature Protocols , Vol.1, No.3, pp.1306-1311, 2006. DOI: https://doi.org/10.1038/nprot.2006.205 

  25. R. Morris.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a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Vol.11, No.1, pp.47-60, 1984. DOI: https://doi.org/10.1016/0165-0270(84)90007-4 

  26. M Mihara, M Uchiyama.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precursor in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test", Analytical Biochemistry, Vol.86, No.1, pp.271-278, 1978. DOI: https://doi.org/10.1016/0003-2697(78)90342-1 

  27. L. Asth, B. Lobao-Soares, E. Andre, P. Soares Vde, E. C. Gavioli. "The elevated T-maze task as an animal model to simultaneous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ugs on long-term memory and anxiety in mice", Brain Research Bulletin, Vol.87, No.6, pp.526-533, 2012. DOI: https://doi.org/10.1016/j.brainresbull.2012.02.008 

  28. D. J. Sanderson, D. M. Bannerman. "The role of habituation in hippocampus-dependent spatial working memory tasks: Evidence from GluA1 AMPA receptor subunit knockout mice", Hippocampus, Vol.22, No.5, pp.981-994, 2012. DOI: https://doi.org/10.1002/hipo.20896 

  29. P. A. Dudchenko. "An overview of the tasks used to test working memory in rodent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Vol.28, No.7, pp.699-709, 2004. DOI: https://doi.org/10.1016/j.neubiorev.2004.09.002 

  30. I. M. Mansuy, M. Mayford, B. Jacob, E. R. Kandel, M. E. Bach. "Restricted and regulated overexpression reveals calcineurin as a key component in the transition from short-term to long-term memory", Cell, Vol.92, No.1, pp.39-49, 1998. DOI: https://doi.org/10.1016/S0092-8674(00)80897-1 

  31. N. J. Broadbent, L. R. Squire, R. E. Clark. "Spatial memory, recognition memory, and the hippocampu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101, No.40, pp.14515-14520, 2004. DOI: https://doi.org/10.1073/pnas.0406344101 

  32. D. M. Bannerman, R. Sprengle, D. J. Sanderson, S. B. McHugh, J, N. Rawlins, H. Monyer, P. H. Seeburg. "Hippocampal synaptic plasticity, spatial memory and anxiety", Nature Reviews Neuroscience, Vol.15, No.3, pp.181-192, 2014. DOI: https://doi.org/10.1038/nrn3677 

  33. M. S. George, Z. Nahas, J. J. Borckardt, B. Anderson, M .J. Foust, C. Burns, E. B. Short "Brain sti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Vol.20, No.3, pp.250-254, 2007. DOI: https://doi.org/10.1097/YCO.0b013e3280ad4698 

  34. J. D. Feusner, S. Madsen, T. D. Moody, C. Bohon, E. Hembacher, S. Y. Bookheimer, A. Bystritsky "Effects of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on resting state brain activity", Brain and behavior , Vol.2, No.3, pp.211-220, 2012. DOI: https://doi.org/10.1002/brb3.45 

  35. R. B. Smith. "Microcurrent therapies: emerging theories of phys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NeuroRehabilitation, Vol.17, No.1, pp.3-7, 2002. 

  36. Y. H. Kwon, C. S. Kim, S. H. Jang. "Cortical activation in the human brain induced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Vol.21, No.4, pp.73-79, 2009. 

  37. W. R. Markesbery, J. M. Carney. "Oxidative alterations in Alzheimer's disease", Brain Pathology, Vol.9, No.1, pp.133-146, 1999. DOI: https://doi.org/10.1111/j.1750-3639.1999.tb00215.x 

  38. N. A. Avdulov, S. V. Chochina, U. Igbavboa, E. O. O'Hare, F. Schroeder, J. P. Cleary, W. G. Wood. "Amyloid beta-peptides increase annular and bulk fluidity and induce lipid peroxidation in brain synaptic plasma membranes", Journal of Neurochemistry, Vol.68, No.5, pp.2086-2091, 1997. DOI: https://doi.org/10.1046/j.1471-4159.1997.68052086.x 

  39. D. A. Butterfield, C. M. Lauderback.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oxidation in Alzheimer's disease brain: potential causes and consequences involving amyloid ${\beta}$ -peptide-associated free radical oxidative stres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Vol.32, pp.1050- 1060, 2002. DOI: https://doi.org/10.1016/S0891-5849(02)00794-3 

  40. Y. Zhang, H. Xu.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for Alzheimer's disease: understanding APP metabolism", Current Molecular Medicine, Vol.7, pp.687-696, 2007. DOI: https://doi.org/10.2174/156652407782564462 

  41. V. Echeverria, D. E. Berman, O. Arancio. "Oligomers of ${\beta}$ -amyloid peptide inhibit BDNF-induced Arc expression in cultured cortical neurons", Current Alzheimer Research, Vol.4, pp.518-521, 2007. DOI: https://doi.org/10.2174/156720507783018190 

  42. I. Opris, V. P. Ferrera. "Modifying cognition and behavior with electrical microstimulation: implications for cognitive prosthese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 Vol.47, pp.321-35, 2014. DOI: https://doi.org/10.1016/j.neubiorev.2014.09.003 

  43. I. Opris. "Electrical Stimulation for Modification of Memory and Cognition", Electroceuticals, pp. 283- 316, 2017. DOI: https://doi.org/10.1007/978-3-319-28612-9_12 

  44. T. A. Ukhanova, F. E. Gorbunov. "Micro-current reflexotherapy in the rehabilitative treatment of the speech function disord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Voprosy kurortologii, fizioterapii, i lechebnoi fizicheskoi kultury, Vol.1, pp.3-6, 2011. 

  45. S. Liss, B. Liss. "Physiological and therapeutic effects of high frequency electrical pulses", Integrative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cience, Vol.31, No.2, pp.88-95, 1996. DOI: https://doi.org/10.1007/BF026997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