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국가별 국가연구시설장비 구축 현황에 따른 국산연구장비 산업 활성화 정책 제언: 기초·분석과학 분야 중심으로
Policy Suggestions for Korean Research Equipment Industry According to the State of Construction of National Research Facility and Equipment by Country of Manufacture : Focusing on Basic and Analytical Science Fiel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322 - 333  

김창용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산장비신뢰성평가센터) ,  정태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정책전략팀) ,  공재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산장비신뢰성평가센터) ,  서인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  박찬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산장비신뢰성평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14년간 한국 정부가 투자한 연구시설 장비의 구축정보를 기반으로 제조국가별로 기초 분석과학 분야의 연구시설 장비 구축 수와 구축금액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국산연구장비의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의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9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200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 구축되고, 기초 분석과학 분야에 활용되는 연구시설 장비(구축금액이 3천만원 이상인 주장비 기준) 20,687점의 구성, 장비표준분류, 구축 수, 그리고 구축금액을 제조국가별로 분석하였다. 제조국가별 연구시설 장비 구축 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단일표본 카이제곱검정 방법을, 구축금액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분석 방법과 본페로니 사후검정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각 제조국가별로 연구시설 장비 구축 수(p<.001)와 구축금액(p<.05)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장비표준분류에 따라 국내 기업의 연구시설 장비 점유 규모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이하였다(p<.05). 따라서 기초 분석과학 분야에 대한 연구장비 국산화 정책 지원 시, 장비유형 및 구축금액별로 정부의 차별화된 전략과 함께 상이한 정책연구 기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market size and market share of domestic research equipments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and amount of construction by the manufacturing countries in the basic and analytical science field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그리고 정책적으로 연구장비 개발 연구자나 기업 관계자, 그리고 연구장비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입안자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비록 ZEUS DB에서 수집·관리되고 있는 다수의 연구시설·장비가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구진의 정성적인 평가 기준으로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 상 기초·분석과학 연구분야로 국한하였기 때문에 연구시설·장비 모든 분야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14년간(’05~’18) 한국 정부가 투자한 연구장비의 구축정보를 기반으로 과학기술의 근간이 되는 기초·분석과학 분야의 국내 연구장비 산업시장을 연구시설·장비의 구성, 제조국가, 구축 수, 구축금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세분화한 후 제조국가 및 표준분류 (소분류 단위)별로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의 수준을 통계학에 기반하여 교차 분석함으로써 이전 문헌조사 연구와 연계하여 연구장비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R&D정책 수립 시 근거가 되는 기초 현황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시설·장비 시장현황 정보가 부재한 상황에서 국내에서 제조·납품한 연구장비의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의 국산화 수준을 통계학적 가설검증을 통한 유의 수준을 추정하기 위해 과거 14년 동안 국가R&D사업으로 도입된 연구시설·장비 중 기초·분석과학 연구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은 연구장비를 표준분류 체계 상 소분류 기준으로 선별하여 제조국가별로 구축 수와 구축금액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 가설 1. 제조국가별로 국내에 구축된 기초·분석 과학 분야의 연구시설·장비 분포 수가 다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산장비의 국내시장 점유 및 신규가 극히 저조한 이유는? 그러나 국내 연구계의 지나친 외산 의존 구조로 인해 국가 R&D예산으로 구축된 연구장비의 대부분 외산장비가 차지하고 있어 국산장비의 국내시장 점유 및 신규 진입 모두가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7]. 실제 2015년 12월 말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이하 NTIS) 기준으로, 지난 10년 동안 공공시장에 구축된 전체 50,271점 연구장비 중 외산은 67%, 국산은 불과 33%에 해당된다 보고하였다[7].
장비활용종합포털서비스(ZEUS)는 무엇입니까? 본 연구의 대상은 장비활용종합포털서비스(Zone for Equipment Utilization Service, 이하 ZEUS)에 등록된 연구시설·장비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ZEUS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2조 제4항 제2호와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 23788호)에 따라 연구시설·장비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범부처 연구시설·장비의 총괄전담기관인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 Center, 이하 NFEC)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국가연구시설장비 정보 지식 종합포털이다. 또한 국가R&D를 수행하고 있는 17개 부처·청(16개 대표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연구자, 정책결정자, 정부 부처 관계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국의 장비보유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만들어 나가는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형 장비예약시스템으로 장비 이용에 대한 중개·알선 및 다양하고 유용한 콘텐츠 제공
장비활용종합포털서비스(ZEUS)를 사용할 경우 얻게되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ZEUS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2조 제4항 제2호와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 23788호)에 따라 연구시설·장비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범부처 연구시설·장비의 총괄전담기관인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 Center, 이하 NFEC)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국가연구시설장비 정보 지식 종합포털이다. 또한 국가R&D를 수행하고 있는 17개 부처·청(16개 대표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연구자, 정책결정자, 정부 부처 관계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국의 장비보유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만들어 나가는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형 장비예약시스템으로 장비 이용에 대한 중개·알선 및 다양하고 유용한 콘텐츠 제공 및 연구장비의 개방과 공유로 장비 이용자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6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Survey and Analysis Report",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Oct 2017. 

  2.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5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Survey and Analysis Report",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Oct 2016. 

  3. OECD. "Release of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 Latest estimates of R&D investment in OECD and major economies", 2017, Available From: http://oe.cd/msti 

  4.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Plan for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plan) (2013 - 2017)", April 24 2013. 

  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16 ministries. "Plan for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and equipment (plan) (2018 - 2022)", January 19 2018. 

  6.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ipment Trends 2016",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 Center, December 2017. 

  7. S. I. Jeong. "Domestic Research Equipment Industry Analysis and Competitive Strategy",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2017,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Jeju, Korea, pp.311-328, Nov 2017. 

  8. TechNavio. "Global Laboratory Analytical Instruments and Consumables Market 2018-2022", pp.2-131, Feb 2018, Available From: https://www.technavio.com 

  9. H. R. Jo. "Research on Convergence R&D Policy through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Equip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2017,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Daejeon, Korea, pp.335-356, May 2017. 

  10. J. H. Lim, J. H. Lee, M. S. Jeong, T. W. Kwon, W. R. Kim. "A Study on Technology Planning Roadmap for Analytical Science",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orea, pp.7-98, December 2015. 

  11. J. W. Choi, S. B. Kwon, S. M. Park, B. R. Yeon, B. B. Kim.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Equipment Industry",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orea, pp.23-102, December 2018. 

  12. S. S. Seol, I. H. Kim. "Distibution Patterns of Research Equipm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Vol.9, No.3, pp.471-495, April 2006. UCI: G704-001043.2006.9.3.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