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독거노인가구의 과부담 의료비 지출에 관한 연구
The Financial Burden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mong Older Women Living Alone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3 no.1, 2019년, pp.17 - 34  

신세라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lder women who live alone are among society's most vulnerable people, since they experience increased risk of multiple chronic diseases and have limited financial protection. This can lead older women living alone to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CHE), which is defined as a healthcare expenditu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부담 의료비는 무엇인가? 과부담 의료비(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는 가구의 지불능력과 비교하여 의료비 지출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로 정의된다(Berki, 1986; Wagstaff & van Doorslaer, 2003). 이는 의료비 지출이 가계의 경제적 능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하며, 의료비가 단순히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는 고비용과는 개념적으로 차이가 있다(Wyszewianski, 1986).
의료비의 과부담 여부를 경정하는 두 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의료비의 과부담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는 두 가지 요소가 주요하게 작용하는데, 첫째는 과도한 본인부담 의료비의 지출이고, 둘째는 가구의 경제적 능력이다. 같은 수준의 의료비 지출이라 하더라도 고소득가구에 비해 저소득가구에서 느끼는 부담이 더 크기 때문에, 의료비의 부담정도는 가구의 지불능력과 의료비 지출을 같이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여성독거노인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대수명은 남성이 79.3세, 여성이 85.4세이다(통계청, 2017). 평균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6년 이상 오래 산다. 여성독거노인이 많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교성.이현옥(2012).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의료 접근성 연구: 과부담 의료비 지출과 미충족 의료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9(4), 255-279. 

  2. 김수정.허순임(2011). 우리나라 가구 의료비 부담과 미충족 의료 현황: 의료보장 형태와 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7(1), 47-70. 

  3. 김윤희.양봉민(2009). 경제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과부담 의료비 지출 추이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5(1), 59-77. 

  4. 김태일.허순임(2008). 소득 계층별 의료비 부담의 추이와 정책과제. 보건행정학회지, 18(4), 23-48. 

  5. 김학주(2008). 빈곤층의 의료비지출 과부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 9(1), 229-253. 

  6. 김희경.이현주.박순미(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0(2), 279-292. 

  7. 노승현(2012). 장애노인 가구의 과부담 보건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4(3), 51-77. 

  8. 문정화.강민아(2016).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와 영향요인: 취약계층 행동모델 적용. 보건사회연구, 36(2), 480-510. 

  9. 문진영.최연주.서남규(2014). 만성질환 노인의 가구유형별 의료비 부담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5(6), 285-307. 

  10. 박진영.정기택.김용민(2014). 중.고령 가구의 과부담 의료비 발생의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24(1), 56-70. 

  11. 배지영(2014). 만성질환 보유 노인의 의료비 부담 및 의료 미이용 경험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4), 109-129. 

  12. 서남규.안수지.강태욱.황연희(2015).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재난적 의료비 발생 가구 분석 연구.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1(1), 79-102. 

  13. 석재은.임정기(2007).여성노인과남성노인의 소득수준 격차 및 소득원 차이와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7(1), 1-22. 

  14. 손경복.신자운.임은옥.이태진.김홍수(2015). 한국의 노인의료비 지출과 결정요인: 연구 현황과 과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1(1), 51-77. 

  15. 손수인.김창엽.신영전(2010). 저소득층의 과부담 의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사회연구, 30(1), 92-110. 

  16. 이수연.문용필(2018). 국민건강보험의 노인의료비 지출추계 및 장기재정 전망: EU의 '건강한 고령화' 적용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58, 53-93. 

  17. 이원영.신영전(2005). 도시가계의 소득계층별 과부담 의료비 실태. 사회보장연구, 21(2), 105-133. 

  18. 이윤정(2012). 남녀 독거노인가구와 부부노인가구의 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2(4), 1119-1135. 

  19. 이태진.양봉민.권순만.오주환.이수형(2003). 보건의료 비용 지출의 형평성.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9(2), 25-34. 

  20. 이태진.이혜재.김윤희(2012). 한국의료패널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한 과부담의료비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8(1), 91-107. 

  21. 이혜재.이태진(2012). 우리나라 가구 과부담 의료비의 발생 및 재발과 관련된 요인. 사회보장연구, 28(3), 39-62. 

  22. 정형선.송양민.이규식(2007). 인구고령화와 의료비.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3(1), 95-116. 

  23. 최정규.정형성.신정우.여지영(2011). 보장성 강화정책이 만성질환자 및 중증질환자 보유가구의 과부담 의료비 발생에 미친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21(2), 159-178. 

  24. 통계청(2017). 2016년 생명표. 

  25. 통계청(2018). 2017년 사망원인 통계.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27. Arendt, J. N.(2005). Does education cause better health? A panel data analysis using school reform for identification.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4(2), 149-160. 

  28. Berki, S. E.(1986). A look at catastrophic medical expenses and the poor. Health Affairs, 5(4), 139-145. 

  29. Cutler, D. M. & Lleras-Muney, A.(2006). Education and health: evaluating theories and evidence. NBER Working Paper No. 12352,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30. Kickbusch, I. S.(2001). Health literacy: addressing the health and education divide.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6(3), 289-297. 

  31. Lubitz, J., Cai, L., Kramarow, E. & Lentzner, H.(2003). Health, life expectancy, and health care spending among the elderl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9(11), 1048-1055. 

  32. Przywara, B.(2010). Projecting future health care expenditure at European level: drivers, methodology and main result. Economic Papers 417, EU. 

  33. Wagstaff, A.(2002). Poverty and health sector inequalitie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80, 97-105. 

  34. Wagstaff, A. & van Doorslaer, E.(2003). Catastrophic and impoverishment in paying for health care: with application to Vietnam 1993-98. Health Economics, 2(11), 921-934. 

  35. WHO(2005), Distribution of health payments and catastrophic expenditure methodology, Geneva: WHO. 

  36. Wyszewianski, L.(1986). Financially catastrophic and high cost cases: Definitions, distinc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olicy formulation. Inquiry, 23(4), 382-394. 

  37. Xu, K., Evans, D.B., Kawabata, K., Zeramdini, R., Klavus, J. & Murray, C.J.(2003).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 multicountry analysis. Lancet, 362(9378), 111-1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