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뇌 경색으로 인한 핵간안근마비 환자의 육미지황탕을 활용한 한의 증례보고 1례
A Case Report of an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Patient caused by Pontine Infarction Treated by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Yukmijihwang-tang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0 no.2, 2019년, pp.254 - 261  

김두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현승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안재윤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문병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윤종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INO) is characterized by lesion side eye's adduction limitation in lateral horizontal gaze and nystagmus in the abducting eye due to lesions in the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MLF). Brainstem infarction is one of the causes of INO, but related issues have seldom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의 증례보고 3건에 불과하다. 이에 저자는 내측종속을 포함한 교뇌 피개의 경색으로 인해 핵간안근마비가 발생하여 일상생활수행 능력 및 삶의 질 저하를 호소하던 환자에게 한방 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뇌졸중은 ‘갑작스럽게 진행하는 국소적인 또는 완전한 뇌기능장애가 24 시간 이상 지속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는 질환으로, 뇌혈관의 병 이외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며 허혈뇌졸중(cerebral infarction) 과 출혈뇌졸중(cerebral hemorrhage)로 나눌 수 있다1 . 전체 허혈성 뇌졸중 중 교뇌 경색이 차지하는 비율은 11.
뇌졸중이란?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뇌졸중은 ‘갑작스럽게 진행하는 국소적인 또는 완전한 뇌기능장애가 24 시간 이상 지속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는 질환으로, 뇌혈관의 병 이외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며 허혈뇌졸중(cerebral infarction) 과 출혈뇌졸중(cerebral hemorrhage)로 나눌 수 있다1 . 전체 허혈성 뇌졸중 중 교뇌 경색이 차지하는 비율은 11.
핵간안근마비가 없을 때 정상적인 안구의 활동은? 이는 외전신경핵의 사이신경세포(interneuron) 의 축삭이 교차하여 내측종속을 통해 반대쪽 동안 신경핵의 내직근아핵과 연결되기 때문이다3 . 즉 수평운동신호가 외전신경핵으로 전달되면 이는 같은 쪽의 외직근을 자극함와 동시에 사이신경세포를 통해 반대측 내측종속을 따라 올라가 내직근을 자극하여 양안의 동향주시가 가능도록 한다(Fig.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n Stroke Society. Stroke. Seoul: PanMun Education; 2017, p. 3, 90. 

  2. The Epidemiology Research Council of the Korean Stroke Society. Stroke Statistics in Korea 2018: A Report from the Epidemiology Research Council of the Korean Stroke Society. Korean Stroke Society. http://www.stroke.or.kr/bbs/?codeepidemic1. 2018. Searched at March 20, 2019 

  3.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of Neurology. 2nd ed. Seoul: PanMun Education; 2012, p. 25, 287-9, 294. 

  4. Hanna KL, Hepworth LR, Rowe FJ. The treatment methods for post-stroke visual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Brain and Behavior 2017;7(5):e00682. 

  5. Park J, Kim YS, Cho KH, Mun SK, Jung WS. A Study of Central and Peripheral type of Eye Movement Impairment - Focused on 3 Cases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Korean J Orient Int Med2012;33(4):599-608. 

  6. Jung KS, Park HJ, Kim SH, Ahn HJ, Ock MK. A Clinical Study on One Case of Exotropia Caused by Unilateral-internuclear- ophthalmoplegia due to Pontine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2006;23(3):241-7. 

  7. Shin JA, Son DH, Lee TH, Byun DS, Yoon HS, Jang IS. 3 Cases of Korean Medicine about Eyeball Movement Disturbance due to 3th, 4th, and 6th Cranial Nerve Palsy. Korean J Orient Int Med 2003;24(3):626-34. 

  8. Fenichel Gerald M. Clinical Pediatric Neurology. 6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9, p. 325-6. 

  9. Kochar PS, Kumar Y, Sharma P, Kumar V, Gupta N, Goyal P. Isolated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syndrome: Review of imaging, anatomy, pathophysiology and differential diagnosis. Neuroradiol J 2018;31(1):95-9. 

  10. Choi JY, Kim HS, Lee YC. A Case of Bilateral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J Korean Ophthalmol Soc 1997;38(6):1050-5. 

  11.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Professors for Cardiology and Neurological Medicine. Cardiovascular and Neurological Medicine in Korean Medicine I. Seoul: Woori Medical Books; 2018, p. 254. 

  12. Noh SS. Otolaryngology. Seoul: Iljungsa; 1999, p. 167, 219. 

  13. Nanjing Chinese Medicine Graduate School. Correction &interpretation of Zhu bing yuan hou lun. Beijing: Pea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 p. 781-2. 

  14. Hu J. Donguibogam. Seoul: Bubin Publishers; 2007, p. 619, 638. 

  15. Yun YK. Korean medicine prescription and commentary. Seoul: Uisungdang; 2011, p. 508-9. 

  16. Shin MK.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 Younglimsa; 2010, p. 233, 236, 259, 326, 332, 351, 547. 

  17. Keane JR.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unusual causes in 114 of 410 patients. Arch Neurol 2005;62(5):714-7. 

  18. Wu YT, Cafiero-Chin M, Marques C. Wall-eyed bilateral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review of pathogenesis, diagnosis, prognosis and management. Clin Exp Optom 2015;98(1):25-30 

  19. Bolanos I, Lozano D, Cantu C.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causes and long-term follow-up in 65 patients. Acta Neurol Scand 2004;110(3):16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