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도시열섬현상 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탐색
Exploring Physical Environmen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reas in Seoul, Korea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5 no.4, 2019년, pp.61 - 73  

조혜민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하재현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수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의 개발과 고밀화는 도시공간의 기온이 주변지역보다 높아지는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도시열섬현상은 기후변화와 함께 그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여름철 도시의 대기온도가 상승할 때 소득이 낮은 계층, 고령인구,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회적 취약계층은 높아진 열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열섬지역을 공간통계 기법인 Hotspot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열섬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시 42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동별 평균 대기온도를 이용하여 도시열섬 Hotspot 분석을 실행한 결과, 서울시 중구, 종로구, 용산구, 영등포구에서 도시열섬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열섬지역의 물리적 환경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거시설 연면적 비율, 상업시설 연면적 비율, 용적률, 불투수면 비율, 정규화식생지수(NDVI)가 열섬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열섬지역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열환경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독거노인 비율, 기초생활수급을 받는 독거노인 비율 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열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변수를 도출하고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열섬지역이 중첩되어 있는 지역을 판별함으로써 향후 취약계층을 고려한 도시 열환경 설계와 정책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development and densification have led to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which the temperature of urban space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reas, and the intensity is increasing with climate change. In addition, when the city's air temperature rises in summer, low-income, elderly populatio...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적 환경 특성에 더하여 인구 및 사회·경제적 관점을 모두 고려한 도시 열환경 취약지를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도시의 열섬완화 전략의 적용 및 관리에 필요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기존의 연구에서 고려되었던 기후특성과 물리적 환경 특성에 더불어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열환경 취약지역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도시열섬현상 지역의 물리적 환경특성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열환경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도시 열섬현상의 저감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여름철 열환경 개선을 위해 도시계획 및 설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다음으로 지표온도를 대기온도로 변환시키기 위해 오규식·홍재주(2005)에서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AWS의 실측기온과 Landsat 위성영상 값을 회귀 분석하여 지표온도를 대기온도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Landsat의 지표온도를 대기온도로 보정하기 위해 GIS의 Focal statistic을 사용하여 격자 중심으로부터 행과 열을 1부터 33개까지 구성한 뒤, 주변 격자의 온도 값을 고려하여 중심 격자의 평균온도를 구하였다.
  • 또한, 공원및 공공장소, 공공시설물(교육, 건강, 커뮤니티, 교통시설 등), 혼합용도지역(주거·비주거), 상업지역 등을 통하여 행동노출 지표를 산정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 주제였던 대기온도와 물리적 환경에서 나아가 취약계층 지표를 고려하여 열환경 취약지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 도시 열섬현상의 저감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여름철 열환경 개선을 위해 도시계획 및 설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면? 첫째, 불투수면과 정규화식생지수는 기존연구와 유사하게 도시열환경 개선에서 핵심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규화식생지수는 다른 물리적 특성 변수에 비하여 열섬지역에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토지피복의 변화를 통한 열섬완화 전략이 여전히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서울시 도시열섬지역은 열환경의 변화에 대응능력이 부족한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더하여 사회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도시열섬현상저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도심 주변의 저소득층 주거지역에 밀집하고 있는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기초생활수급을 받고 있는 저소득층 독거노인은 대부분 건강 상태가 좋지 않고 열섬현상이 발생할 때 대처능력이 매우 미흡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도시열섬현상 저감의 정책적 지원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위한 도시열환경 취약지역의 도출은 단순히 대기온도가 높은 도시열섬지역에서 나아가 인구 및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울시의 열섬완화 전략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열환경 취약지역의 관리에 필요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다.
‘2015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질병관리본부, 2015)에 의하면 2015년 온열질환자 수는 전국 1,056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몇 몇으로 나타났는가? 하지만, 열환경에 대하여 사회·경제적 그리고 건강측면에서의 취약계층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실정이다. ‘2015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질병관리본부, 2015)에 의하면 2015년 온열질환자 수는 전국 1,056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280명으로 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온열질환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열섬을 완화하기 위해 어떤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는가? 이에 따라, 도시열섬을 완화하기 위한 건축 및 조경 분야를 중심으로 옥상녹화, 고반사 지붕, 차열성 포장, 식재 등의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더불어 기상청은 2008년부터 운영한 폭염특보를 연중으로 확대하고, 질병관리본부는 2012년부터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실행하는 등 여름철 폭염 및 고온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임숙향·곽진,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고동원.박승훈, 2019, 근린환경특성과 도시열섬현상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제20권 3호, pp. 55-67. 

  2. 구유성.김자은.김지숙.이성호, 2015, 폭염 취약성 평가를 통한 도시의 적응능력 향상,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7권 5호, pp. 331-347. 

  3. 권혁춘.이병걸, 2009,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제주도 도심지역 지표면온도분포와 식생지수의 상관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4호, pp. 39-44. 

  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10, 폭염이 서울시 쪽방촌 독거노인에 미치는 건강영향 조사, 서울:기후변화행동연구소. 

  5. 김용진.강동화.안건혁, 2011,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특성 변화와 도시설 계적 대안 모색에 관한 기초 연구, 도시설계, 제12권 3호, pp. 5-14. 

  6. 김준식.이동근.성선용.정승규.박종훈, 2015, 정규화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분석, 국토계획, 제50권 5호, pp. 59-72. 

  7. 김준현.최진호, 2014, Landsat-8을 활용한 대구시 열환경구조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32권 4-1호, pp. 327-333. 

  8. 박정규.배현주.서양원, 2013, 기후환경 취약계층의 환경복지 정책연구(I),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 서울연구원, 2010, 기상이변에 대한 서울시 취약지역 대응 방안, 서울: 서울연구원,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10. 신호성.이수형, 2014,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환경정책연구, 제13권 1호, pp. 69-93. 

  11. 여인애.이정재.윤성환, 2009, 도시의 건폐율 및 용적률이 도시기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29권 3호, pp. 19-27. 

  12. 오규식.홍재주, 2005,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도시설계, 제6권 1호, pp. 47-63. 

  13. 윤성권.최봉석.전의찬, 2013, 시흥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4권 1호, pp. 1-10. 

  14. 이근상.최연웅, 2014, 객체기반 영상분석 기법에 의한 낙동강 유역 토지피복 분류,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6권 3호, pp. 3-18. 

  15. 이나영.조용성.임재영, 2014, 폭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사망률 변화 분석: 서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4권 1호, pp. 456-484. 

  16. Li, Y.이수기.한재원, 2019, 도시의 3차원 물리적 환경변수와 지표온도의 관계분석, 국토계획, 제54권, 2호, pp. 93-108. 

  17. 이준호.윤성환, 2014, 위성영상을 황용한 생태피복도 작성과 E-GIS DB 구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30권 9호, pp. 205-212. 

  18. 임숙향.곽진, 2015, 2015년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 주간건강과질병, 제8권 38호, pp. 906-908. 

  19. 제민희.오규식, 2015, 옥상녹화와 쿨루프에 의한 도시 열환경 개선효과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 제민희.정승현, 2019, 토지이용 유형별 도시열섬강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11호, pp. 1-12. 

  21. 조희선.정유진.최막중, 2014, 도시공간특성이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제22권 2호, pp. 27-43. 

  22. 질병관리본부, 2014, 폭염 대응 건강관리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3. 질병관리본부, 2015, 2015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4. 최예술.김재원.임업, 2018, 서울시 폭염 취약지역의 공간적 패턴 및 적응능력 취약지역 분석, 국토계획, 제53권 7호, pp. 87-107. 

  25. 홍창우, 2013, 고반사 도료를 사용한 차열성 아스팔트 도로 포장의 온도저감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3권 1호, pp. 317-327. 

  26. Harlan, S. L., Brazel, A. J., Prashad, L., Stefanov, W. L., Larsen, L., 2006, Neighborhood microclimates and vulnerability to heat stress, Social Science & Medicine, 63(11), pp. 2847-2863. 

  27. Kim, S., Ryu, Y., 2015, Describing the spatial patterns of heat vulnerability from urban design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 World Ecology, 22(3), pp. 189-200. 

  28. Liang, S., 2001, Narrowband to broadband conversions of land surface albedo I: Algorithm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6(2), pp. 213-238. 

  29. Norton, B. A., Coutts, A. M., Livesley, S. J., Harris, R. J., Hunter, A. M., Williams, N. S., 2015, Planning for cooler cities: A framework to priorities green infrastructure to mitigate high temperatures in urban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4, pp. 127-138. 

  30. O'Neill, M. S., Carter, R., Kish, J. K., Gronlund, C. J., White-Newsome, J. L., Manarolla, X., Zanobetti, A., Schwartz, J. D., 2009, Preventing heat-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New approaches in a changing climate, Maturitas, 64(2), pp. 98-103. 

  31. Onishi, A., Cao, X., Ito, T., Shi, F., Imura, H., 2010,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urban heat-island mitigation by greening parking lot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9(4), pp. 323-332. 

  32. Park, C., Ha, J., Lee, S. 2017, Association between three-dimensional built environment and urban air temperature: Focused on seasonal and temporal differences, Sustainability, 9(8), 1338: 1-16. 

  33. Santamouris, M., 2014, Cooling the cities-a review of reflective and green roof mitigation technologies to fight heat island and improve comfort in urban environments, Solar Energy, 103, pp. 682-703. 

  34. Smith, R. B., 2010, The heat budget of the earth's surface deduced from space, available on http://www.yale.edu/ceo/Documentation/ceo_faq.html. 

  35. Stone, B., Hess, J. J., Frumkin, H., 2010, Urban form and extreme heat events: Are sprawling cities mo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an compact citie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8(10), pp. 1425-1428. 

  36. Tomlinson, C. J., Chapman, L., Thornes, J. E., Baker, C. J., 2011, Including the urban heat island in spatial heat health risk assessment strategies: A case study for Birmingham, UK,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10(42), pp. 1-14. 

  37. USGS, 2015, Landsat 8(L8) data users handbook, available on https://www.usgs.gov/media/files/landsat-8-data-users-handboo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