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친매성 금입자 표면의 소수성/친수성 비율에 대한 온도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Hydrophobic to Hydrophilic Ligand Ratio on the Surface of Amphiphilic Gold Nanoparticl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3, 2019년, pp.308 - 312  

이화진 (금오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현진 (금오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민국 (금오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장지웅 (금오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희영 (금오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친매성 금입자는 그 표면에 소수성친수성 리간드를 결합시켜 합성된다. 이러한 양친매성 입자들은 바이오, 에너지, 광학, 전자 공학 분야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입자 표면의 소수성/친수성 비율은 양친매성 금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양친매성 금입자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친매성 금입자 합성 과정(리간드 치환반응)에서 온도 변화에 대한 표면의 소수성과 친수성 리간드 비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치환 반응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표면의 친수성 리간드의 비율이 증가하고, 또한 더 적은 친수성 리간드의 비율에서도 양친매성 금입자가 수용액상에 개별적으로 잘 분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phiphilic gold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the functionalization of gold nanoparticles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ligands on their surfaces, which can be applied to many disciplines such as biology, photonics, electronics, and so on. The ratio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ligands pl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수용액상에서 양친매성 금입자 합성에서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나노 크기의 금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은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그 표면을 양친매성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 이번 논문에서 우리는 수용액상에 개별적으로 잘 분산되어 있는 양전하를 띠는 양친매성 금입자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치환 반응 온도에 따른 금입자 표면의 성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여러 온도 조건(30, 40, 60 ℃)의 리간드 치환반응 과정을 통하여 온도에 따라 금입자의 표면에 결합하는 친수성과 소수성 리간드의 비율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친매성 금입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표면에 결합시킬 수 있는 리간드의 종류에 따라서 금입자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지닐 수 있는데, 최근 몇몇의 연구 그룹에서 금입자의 표면에 소수성과 친수성의 리간드를 동시에 결합시켜 양친매성 금입자를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3-11]. 이러한 양친매성 금입자는 그 표면에 소수성과 친수성 리간드를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양친매성 분자와 유사한 성질을 지니게 된다. 예를 들어, 양친매성 금입자는 두 개의 섞이지 않는 용매(예: 톨루엔/물)에 분산될 때 경계면의 성질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두 용매의 경계면에 존재한다.
금입자의 활용 분야는? 나노크기를 갖는 금입자에 대한 연구는 금입자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 때문에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금입자는 의학적 이미지, 광학적 치료, 약물전달 등의 바이오 분야뿐만 아니라, 에너지 보관 및 저장, 광학, 전자 공학 등의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1,2]. 이러한 금입자의 응용 가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금입자 표면의 물리화학적 성질이다.
양친매성 금입자 리간드 치환반응에서 온도 증가 시, 어떤 변화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양친매성 금입자 합성 과정(리간드 치환반응)에서 온도 변화에 대한 표면의 소수성과 친수성 리간드 비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치환 반응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표면의 친수성 리간드의 비율이 증가하고, 또한 더 적은 친수성 리간드의 비율에서도 양친매성 금입자가 수용액상에 개별적으로 잘 분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Eustis and M. A. El-Sayed, Why gold nanoparticles are more precious than pretty gold: Noble metal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its enhancement of the radiative and nonradiative properties of nanocrystals of different shapes, Chem. Soc. Rev., 35, 209-217 (2006). 

  2. C. Ludovico, O. A. Geoffrey, and L. Jean-Marie, Concept of Nanochemistry, Wiley-VCH, Germany (2009). 

  3. J. He, Y. Lu, T. Babu, Z. Wei, and Z. Nie, Self-assembly of inorganic nanoparticle vesicles and tubules driven by tethered linear block copolymers, J. Am. Chem. Soc., 134, 11342-11345 (2012). 

  4. J. He, Z. Wei, L. Wang, Z. Tomova, T. Babu, C. Wang, X. Han, J. T. Fourkas, and Z. Nie, Hydrodynamically driven self-assembly of giant vesicles of metal nanoparticles for remote-controlled release, Angw. Chem. Int. Ed., 52, 2463-2468 (2013). 

  5. A. M. Jackson, Y. Hu, P. H. Silva, and F. Stellacci, From homoligand-to mixed-ligand-monolayer-protected metal nanoparticles: A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investigation, J. Am. Chem. Soc., 128, 11135-11149 (2006). 

  6. H. Y. Lee, S. H. R. Shin, L. L. Abezgauz, S. A. Lewis, A. M. Chirsan, D. D. Danino, and K. J. M. Bishop, Integration of gold nanoparticles into bilayer structures via adaptive surface chemistry, J. Am. Chem. Soc., 135, 5950-5953 (2013). 

  7. H. Y. Lee, S. H. R. Shin, A. M. Drews, A. M. Chirsan, S. A. Lewis, and K. J. M. Bishop, Self-assembly of nanoparticle amphiphilies with adaptive surface chemistry, ACS Nano, 8, 9979-9987 (2014). 

  8. H. J. Jang and H. Y. Lee, Size control of aggregations via self-assembly of amphiphilic gold nanoparticles, Colloids Surf. A, 538, 574-582 (2018). 

  9. X. Liu, M. Yu, H. Kim, M. Mameli, and F. Stellacci, Determination of monolayer-protected gold nanoparticle ligand-shell morphology using NMR, Nat. Commun., 3, 1182, 1-9 (2012). 

  10. R. C. V. Lehn and A. Alexander-Katz, Structure of mixed-monolayer-protected nanoparticles in aqueous salt solution from atomistic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J. Phys. Chem. C., 117, 2014-2015 (2013). 

  11. H. J. Jang, S. H. R. Shin, and H. Y. Lee, Surface property modification of well-dispersed amphiphilic gold nanoparticles as individuals, J. Nanopart. Res., 20, 244 (2018). 

  12. D. M. Andala, S. H. R. Shin, H. Y. Lee, and K. J. M. Bishop, Templated synthesis of amphiphilic nanoaparticles at the liquid-liquid interface, ACS Nano, 6, 1044-1050 (2012). 

  13. E. Glogowski, J. He, T. P. Russell, and Todd Emrick, Mixed monolayer coverage on gold nanoparticles for interfacial stabilization of immiscible fluids, Chem. Commun., 2005(32), 4050-4052 (2005). 

  14. S. Kubowicz, J. Daillant, M. Dubois, M. Delsanti, J.-M. Verbavatz, and H. Mohwald, Mixed-monolayer-protected gold nanoparticles for emulsion stabilization, Langmuir, 26, 1642-1648 (2010). 

  15. N. Bizmark and M. A. Ioannidis, Nanoparticle-stabilised emulsions: Droplet armouring vs. droplet bridging, Soft Matter, 14, 6404-6408 (2018). 

  16. S. H. R. Shin, H. Y. Lee, and K. J. M. Bishop, Amphiphilic nanoparticles control the growth and stability of lipid bilayers with open edges, Angew. Chem. Int. Ed., 54, 10816-10820 (2015). 

  17. A. M. Kalsin, B. Kowalczyk, P. Wesson, M. Paszewski, and B. A. Grzybowski, Studying the thermodynamics of surface reactions on nanoparticles by electrostatic titrations, J. Am. Chem. Soc., 129, 6664-6665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