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옥 가루 표면 개질과 화장품에의 응용을 위한 제형 연구
Formulation Studies for Surfac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to Cosmetics of Jadeite Powde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2, 2019년, pp.167 - 177  

김용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옥 가루는 화장품 제형에 적용 시 분체의 응집 현상으로 인해 제형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코자 경옥 가루 표면 개질을 통한 새로운 복합 분체를 개발하였고 이를 고형 밤 파운데이션과 선 스틱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표면 개질제 중 triethoxycaprylylsilane을 최적의 성분으로 선정하였고 경옥 가루 복합체를 제조하여 각 제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고형 밤 파운데이션에서는 제품 자체 색상에 대한 선명도를 유지해 주는 역할을 했고, 선 스틱의 경우는 UVB 영역에서 기존 대비 약 30% 향상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경옥 가루 복합체를 함유하는 제형은 전반적인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안정성 평가 결과에서는 변색, 변취 및 경도 변화에 대해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경옥 가루 복합체는 무기안료로써 제형 안정성이 확보되었으며, 제품의 색채 선명성 유지 및 자외선 차단제부스터 역할도 수행하는 다기능 소재로써 화장품에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adeite powder has a disadvantage affecting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due to the agglomeration of the powder when applied to cosmetic formulations. To overcome this problem, a new composite powder was prepared by modifying the surface of jadeite powder and applied to foundation pact and s...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피부에 부작용이 없고 지속성, 내수성, 부착력, 안정성 등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되어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최근 트렌드인 고형 밤 타입의 파운데이션에 표면 개질된 경옥 가루를 적용하였을 때 제형이 가지는 색채 선명성 및 안정성 등을 조사하여 제품에 응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고형 밤 파운데이션에서 총 무기안료는 10% 내외로 사용되며 체질안료는 대개 2~5% 함량으로 사용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Table 3과 같이 표면 개질된 경옥 가루 3% 함유한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친환경, 마일드한 컨셉을 추구하는 화장품 트렌드에 맞춰 천연 소재인 경옥 가루를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해 표면 개질을 통해 매끄럽지 못한 점과 응집으로 인한 경시적 안정성 하락과 같은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적합한 표면 개질제를 선택하여 복합 소재 3% 함유한 고형 밤 파운데이션 및 5% 함유한 선 스틱을 제조하여 각 제형이 주는 효과와 관능 평가, 제형 안정성을 통해 화장품에 응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옥 가루 표면 개발 혹은 복합화 과정을 통해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경옥 가루 복합체를 함유한 W/O 타입의 고형 밤 파운데이션과 유분산 타입의 선 스틱을 제조하여 색채 선명성, 자외선 차단 효과, 사용자 관능 평가, 안정성 평가를 통해 경옥 가루복합체가 화장품 제형에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체질안료의 경우 메이크업 제품에 적용될 때 제품이 갖는 고유의 색에 대해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본 연구에서는 색차성을 갖는 Lab 표색계로부터 체질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파운데이션과 각 체질안료가 포함된 파운데이션을 바른 얼굴부위의 색차를 측정함으로써 제형 적용 시 파운데이션이 갖는 본연의 색채 선명성을 확인하였다. L 값(밝기, whiteness)은 수치가 클수록 밝기가 높으며, dE × ab 값은 클수록 기준과 색상 차이가 큼을 의미하기 때문에 색상 차이가 높을수록 발색력이 높아진다.
  • 표면 개질된 경옥 가루가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는 오일군과의 상용성 확인을 통해 다양한 제형에 적용하기 위한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오일군은 화장품 특히 선 케어 기능을 가지는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UV filter, ester oil, silicone oil로 선정하였고 그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ethylhexyl methoxycinnamate,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cyclopentasiloxane을 각각 사용하였다.
  • 표면 개질된 분체의 오일간 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오일은 화장품 제형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오일군인 UV filter, ester oil, silicone oil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오일 1종씩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옥 가루의 단점은 무엇인가? 경옥 가루는 화장품 제형에 적용 시 분체의 응집 현상으로 인해 제형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코자 경옥 가루 표면 개질을 통한 새로운 복합 분체를 개발하였고 이를 고형 밤 파운데이션과 선 스틱에 적용하였다.
안료 입도 사이즈, 성상 등 물리 화학적 특성이 화장품 사용감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들 체질안료들은 기본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안료 입도 사이즈, 성상 등 물리 화학적 특성에 따라 물성이 상이하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제형의 퍼짐성, 밀착성, 지속성, 부드러움성, 가벼움성, 촉촉함 등으로 표현되는 사용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기 분체의 경우 안료의 응집력이 매우 강하여 뭉침 혹은 재응집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경우 제형 안정성 문제로 피부 도포 시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3,4].
메이크업 화장품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안료의 종류는 무엇인가? 메이크업 화장품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안료로는 착색안료, 백색안료, 체질안료 및 진주 광택안료 등이 있다. 즉, 착색안료 및 백색안료는 화장품에 색상을 부여함으로써 색조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피복력도 조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J. Ahn, Recent trends in color cosmetics naturalistic, Korean J. Aesthet. Cosmetol., 12(3), 323-330 (2014). 

  2. T. Kani, T. Suzuki, M. Tsukada, and H. Kamiya, Influence of surface-adhered nanoparticles and nanoporous structure on bulk flowability of silica, Powder Technol., 176, 108-113 (2007). 

  3. Y. S. Kang, K. Y. Kyong, M. J. Rand, D. H. Bae, Y. K. Lee, W. G. Cho, S. K. Choi, and S. K. Han, Science in Cosmetics and Living Health Supplies 1, 230-230, Shin Kwang Publ., Seoul, Korea (2008). 

  4. H. W. Lee, S. H. Kang, and K. D. Nam,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pigments used for cosmetic, J. Korean Oil Chem. Soc., 11(2), 7-15 (1994). 

  5. M. M. C. Roovers, R. Westerkamp, and P. Blais, Cosmetic kit and method, US Patent 20030077238 A1 (2003). 

  6. J. H. Kim, Cosmetics which contain nephrite jade powde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Korean Patent 10-0279694 (2000). 

  7. K. S. Yun and J. Y. Kim, cosmetic composition for containing jade powder, Korean Patent 10-0441773 (2004). 

  8. A. Relier, P. M. Wilde, and H. G. Wiedemann, Thermal reactivity of jadeite and nephrite, J. Therm. Anal., 40, 99-105 (1993). 

  9. C. T. Prewitte and C. W. Burnham, The crystal structure of jadeite, $NaAlSi_2O_6$ , Am. Mineral., 51, 956-975 (1966). 

  10. G. E. Harlow and S. S. Sorensen, Jade (nephrite and jadeite) and serpentinite: Metasomatic connections, Int. Geol. Rev., 47(2), 113-146 (2005). 

  11. K. M. Kim, Y. W. Kim, I. G. Hong, and S. N. Par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adeite powder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 formulations, Appl. Chem. Eng., 29, 81-96 (2018). 

  12. B. H. Yoo, C. M. Park, T. J. Oh, S. H. Han H. H. Kang, and I. S. Chang, Investigation of jewelry powders radiation far-infrared rays and the biological effects on human skin, J. Cosmet. Sci., 50, 175-184 (2002). 

  13. I. A. Siddiquey, T. Furusawa, M. Sato, and N. Suzuki, Microwave assisted silica coating and photocatalytic activities of ZnO nanoparticles, Bull. Mater. Sci., 43, 3416-3424 (2008). 

  14. R. S. Hunter, Accuracy, Precision, and stability of new photoelectric color-difference meter, J. Opt. Soc. Am., 38(12), 1094-1094 (1948). 

  15. J. S. Ko, J. H. Lee, and K. C. Sung, A study on the powders for makeup cosmetics, J. Korean Oil Chem. Soc., 29(2), 286-294 (2012). 

  16. D. Geldart, E. C. Abdullah, A. Hassanpour, L. C. Nwoke, and I. Wouters, Characterization of powder flowability using measurement of angle of repose, China Particuology, 4(3-4), 104-107 (2006). 

  17. S. El-Boury, C. Couteau, L. Boulande, E. Paparis, and L. J. M. Coiffard,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filters on the sunprotection factor (SPF) determined by in vitro method, Int. J. Pharm., 360, 1-5 (2007). 

  18. A. Wokovich, K. Tyner, W. Doub, and N. Sadrieh, Particle size determination of sunscreens formulated with various forms of titanium dioxide, Drug Dev. Ind. Pharm., 35(10), 1180-1189 (2009). 

  19. F. Grasset, N. Saito, D. Li, D. Park, I. Sakaguchi, N. Ohashi, H. Haneda, T. Roisnel, S. Mornet, and E. Duguet, Surface modification of zinc oxide nanoparticles by aminopropyltriethoxysilane, J. Alloys compd., 360, 298-31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