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 설문을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변증의 주요 증상 빈도 연구
Expert Survey about Frequencies of Symptoms and Sign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attern Identification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3 no.2, 2019년, pp.1 - 11  

김락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안윤영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김미연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  정민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pattern identification based on the survey of frequencies of symptoms and signs according to the pediatricians and psychiatrists in Korean Medicine. Methods Eleven pediat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5명의 전문가에게 처방의 개수에 제한 없이 임상에서 ADHD 아동을 치료하면서 빈용하는 처방에 대하여 물었다. 전문가들은 5.
  • 변증 진단에서 각 증상의 중요도가 아닌, ‘임상실제에서 ADHD 변증별로 얼마나 자주 관찰되는지’에 대해 임상적 경험을 중심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DHD 변증의 주요 증상들이 임상 실제에서 각 변증에서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에 대해 전문가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증상이 각 변증에서 나타나는 빈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각각의 증상이 각 변증과의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DHD 변증의 주요 증상이 각 변증에서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변증 유형별 임상 표현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실제 변증 진단에서 중요한 증상을 알아보고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ADHD 변증 주요 증상의 빈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DHD 한의 문헌과 연구에서 여러 변증에서 동일하게 제시되는 증상을 변증과정에서 어떻게 활용할지, 그리고 각각의 변증 증상으로 제시되는 여러 개의 증상들 중에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증상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해 얻은 변증별 증상의 빈도 조사결과를 통해 ADHD로 진단된 아동의 한의 변증의 주요 증상들을 어떻게 해석, 활용할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ADHD 변증에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고, 향후 ADHD 변증 설문지에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증 (辨證)이란 무엇인가? 변증 (辨證)이란 망 (望), 문 (聞), 문 (問), 절 (切)의 사진 (四診)을 통해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수집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각 증후 사이의 내재 관계와 병인․병기를 파악하는 과정이자 진단을 도출하는 방법이다17). 변증은 한의 임상에서 병리 본질을 명확히 규명하여 근본적 치료에 접근하는 장점을 갖지만, 변증의 과정은 직관이 관여되고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다.
변증의 장점은 무엇인가? 변증 (辨證)이란 망 (望), 문 (聞), 문 (問), 절 (切)의 사진 (四診)을 통해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수집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각 증후 사이의 내재 관계와 병인․병기를 파악하는 과정이자 진단을 도출하는 방법이다17). 변증은 한의 임상에서 병리 본질을 명확히 규명하여 근본적 치료에 접근하는 장점을 갖지만, 변증의 과정은 직관이 관여되고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다.
변증 (辨證)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변증 (辨證)이란 망 (望), 문 (聞), 문 (問), 절 (切)의 사진 (四診)을 통해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수집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각 증후 사이의 내재 관계와 병인․병기를 파악하는 과정이자 진단을 도출하는 방법이다17). 변증은 한의 임상에서 병리 본질을 명확히 규명하여 근본적 치료에 접근하는 장점을 갖지만, 변증의 과정은 직관이 관여되고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Kwon JS, et al., Trans). Seoul: Hakjisa. 2017 (Original work published 2013):61-8. 

  2. Hong KE.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Seoul: Hakjisa. 2016: 180-201. 

  3. Wy YM, Kang HW. A Case report of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on school underachievement child caused by ADHD.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9;20(4):197-209. 

  4. Byun KW, Kim JH, Kim JW, Chung SY.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ADHD - a retrospective clinical survey -. J Korean Orient Med.. 20;32(4):75-82. 

  5. Sung WY, Yoo JH, Hwang MY, Kim NY. 3 Case reports of patients with ADHD treated with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and art therapy.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4;25(3):253-262. 

  6. Kim JH, Oh YL, Lee JH, Kim TH, Lyu YS, Kang HW. A case report of typical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on ADHD child.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6; 17(3):157-164. 

  7. Kim LH, Song BY, Yu G. 3 Case reports of ADHD children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1):239-246. 

  8. Hwang YJ, Kim KB, Min SY, Kim JH. A clinical study on 3 cases of ADHD children treated with neurofeedback. J Pediatr Korean Med. 2007;21(3):85-95. 

  9. Kang JW, Park JG, Cheon YW, Han G, Park HC, Kim LH, Yoo G, Jeong EH. A case report of ADHD child treated with neurofeedback.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16(02):243-249. 

  10. Cheong MJ, Chae EY, Kang HW. Meta-analysis: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me in Korea.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6; 27(3):157-167. 

  11. Park JH, Park JH, Kim JH, Kim TH, Lyu YS, Kang HW. A study on the oriental - medical understanding about inattention hyperactivity sympton in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within don yui bo gam Book -.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1):9-25. 

  12. Chang GT. Oriental medical approach to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Pediatr Korean Med. 2001;15(2):141-165. 

  13. Lee TH, Kim LH, Jang IS, Kim JY. A review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14(1):161-174. 

  14. Kang MS, Kim WK, Kim LH. A review of studies for acupuncture therap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Pediatr Korean Med. 2013;27(4):10-16. 

  15. Park HC, Kang MS, Kim LH. A review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7;18(2):35-44. 

  16. Ryu CG, Cho AR, Seo JH, Jeong SS, Lee JS, Sung WY. The current state of clinical studies for herbal medicin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focusing on chinese journal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1):1-12. 

  17.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Oriental Pathology. Oriental Pathology. Seoul: Hanimunhwasa. 2012: 286-8,581 

  18. Zhong hua zhong yi yao xue hui. Zhong yi er ke chang jian bing zhen liao zhi nan. Beijing: Zhong guo zhong yi yao chu ban she. 2012: 69-72. 

  19. Jang ES, Lee EJ, Yun YG, Park YC, Jung IC. Suggestion of standard process in developing questionnaire of pattern identificatio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6;30(3): 190-200. 

  20. Kim LH, An YY, Kim MY, Jeong MJ. Pattern characteristics of symptoms for ADHD in Korean medicine. J Pediatr Korean Med. 2017;31(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