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HD 변증 유형별 부주의 및 과잉행동-충동성 증상 특징 연구
Pattern Characteristics of Symptoms for ADHD in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4, 2017년, pp.1 - 8  

김락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안윤영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김미연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  정민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characteristics of symptoms for ADH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 identifications in TKM and TCM and three presentations of ADHD defined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DHD 변증 유형별로 증상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변증 유형별 개별 증상을 기술한 문헌의 빈도를 살펴보고, DSM-5 진단기준의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증상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변증의 기초 증상 중에서 ADHD 진단과 관련된 증상들의 특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ADHD 변증 유형과 DSM-5 표현형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변증에서 기술된 증상들은 DSM-5 진단기준과 관련된 증상, DSM-5 진단기준과 관련이 없는 전신 증상, 그리고 설진과 맥진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에서 ADHD 진단기준과 관련된 증상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또는 과잉운동장애 (Hyperkinetic disorder, HKD)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위주로 하는 장애로, 아동초기에 발병하고 만성경과를 밟으며 가정이나 사회, 학교 등 여러 기능 영역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1-3).
ADHD의 증상들은 무엇이 있는가? ADHD의 부주의 증상들은 한의학에서의 健忘, 勞倦傷 등의 증후와, 과잉행동-충동성 증상들은 驚悸, 怔忡, 虛煩, 煩躁, 陰虛火動 등의 증후와 관련된다6). 국내 한의 분야에서도 ADHD에 대한 임상과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는데, ADHD 아동에서 한약을 비롯한 한방치료의 증례 보고7-11), 뉴로피드백 치료 증례 보고10,12,13)들이 발표되었으며, 뉴로피드백 치료의 메타분석14),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ADHD 증후에 대한 고찰6) , 중국에서 ADHD 임상 연구에 대한 고찰15-19) 등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한의 연구들에서 말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변증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ADHD에 대한 국내외 한의 연구들에서는 변증 유형으로 心脾兩虛, 膽熱虛火, 腎虛肝亢, 痰火擾心, 瘀血內阻 등을6-11,15-19)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Seoul: Hakji Publishing Co. 2013. 

  2.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Geneva: The Organization. 1993. 

  3.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al Schools in Nation. The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ine. Seoul: Jip Moon Dang Publishing Co. 2016. 

  4. Polanczyk G, de Lima MS, Horta BL, Biederman J, Rohde LA.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m J Psychiatry. 2007;164(6):942-8. 

  5. Kim BN, Jeong DS, Hwang JW, Kim JW, Cho SC. Epidemiology of mental health proble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eoul. Seoul: Seoul Child Adolescent Mental Health Center. 2006. 

  6. Park JH, Park JH, Kim JH, Kim TH, Lyu YS, Kang HW. A study on the oriental medical understanding about inattention hyperactivity symptom in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in Dongyui- bo-gam. J Orient Neuropsychiatr. 2004;15(1):9-25. 

  7. Wy YM, Kang HW. A case report of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on school underachievement child caused by ADHD. J Orient Neuropsychiatr. 2009;20(4):197-209. 

  8. Byun KW, Kim JH, Kim JW, Chung SY.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ADHD - a retrospective clinical survey. J Korean Orient Med. 2011;32(4):75-82. 

  9. Sung WY, Yoo JH, Hwang MY, Kim NY. 3 case reports of patients with ADHD treated with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and art therapy. J Orient Neuropsychiatr. 2014;25(3):253-62. 

  10. Kim JH, Oh YL, Lee JH, Kim TH, Lyu YS, Kang HW. A case report of typical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on ADHD child. J Orient Neuropsychiatr. 2006;17(3):157-64. 

  11. Kim LH, Song BY, Yu G. 3 case reports of ADHD children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J Orient Neuropsychiatr. 2004;15(1):239-46. 

  12. Hwang YJ, Kim KB, Min SY, Kim JH. A clinical study on 3 cases of ADHD children treated with neurofeedback. J Pediatr Korean Med. 2007;21(3):85-95. 

  13. Kang JW, Park JG, Cheon YW, Han G, Park HC, Kim LH, Yoo G, Jeong EH. A case report of ADHD child treated with neurofeedback. J Orient Neuropsychiatr. 2005;16(2):243-9. 

  14. Cheong MJ, Chae EY, Kang HW. Meta-analysis: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me in Korea. J Orient Neuropsychiatr. 2016;27(3):157-67. 

  15. Chang GT. Oriental medical approach to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Pediatr Korean Med. 2001;15(2):141-65. 

  16. Lee TH, Kim LH, Jang IS, Kim JY. A review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Orient Neuropsychiatr. 2003;14(1):161-74. 

  17. Kang MS, Kim WK, Kim LH. A review of studies for acupuncture therap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Pediatr Korean Med. 2013;27(4):10-6. 

  18. Park HC, Kang MS, Kim LH. A review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Orient Neuropsychiatr. 2007;18(2):35-44. 

  19. Ryu CG, Cho AR, Seo JH, Jeong SS, Lee JS, Sung WY. The current state of clinical studies for herbal medicin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focusing on Chinese journals. J Orient Neuropsychiatr. 2013;24(1):1-12. 

  20.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Oriental Pathology. Oriental pathology. Seoul: Hanimunhwasa. 2008:172, 286, 288, 579. 

  21.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47. 

  22. Ma R. Zhongyierkexue. Beijing: Zhongguozhongyiyao Publishing Co. 2016:143-7. 

  23. Wang XF. Zhongxiyijieheerkexue. Beijing: Zhongguozhongyiyao Publishing Co. 2016:178-83. 

  24. Xu RQ. Zhongyierkexue. Beijing: Zhongguozhongyiyao Publishing Co. 2013:210-7. 

  25. Wang SC. Zhongyierkexue 2nd ed. Beijing: Renminweisheng Publishing Co. 2016:742-50. 

  26. Zhang QW, Zhu JS. Shiyongzhongyierkexue. Beijing: Zhongguozhongyiyao Publishing Co. 2016:953-7. 

  27. Zhang HG. Zhongxiyijiehejingshenbingxue. Beijing: Zhongguozhongyiyao Publishing Co. 2005:291-6. 

  28. Huang TK. Zhongyishenjingjingshenbingxue. Beijing: Zhongguoyiyaokeji Publishing Co. 2000:298-305. 

  29. Wang Y, Sheng ZX. Changjianzhongyiyoushibingzhongzhifajicui. Beijing: Renminweisheng Publishing Co. 2009:399-407. 

  30. Zhonghuazhongyiyaoxuehui. Zhongyierkechangjianbingzhenliaozhinan. Beijing: Zhongguozhongyiyao Publishing Co. 2012:69-72. 

  31. China Guo Jia Zhong Yi Yao Quan Li Ju. Criteria of diagnosis and therapeutic effect of diseases and syndrome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eijing: 2016. 

  32. China Guo Jia Zhong Yi Yao Quan Li Ju. ADHD zhongyizhenliaofangan. Beijing: 2011:417-52. 

  33. The Korean Medical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The Korean medical dictionary. Seoul: Chungdam Publishing Co. 2010:540. 

  34. Hong KE.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Seoul: Hakji Publishing Co. 2014:180-201. 

  35. Clarke AR, Barry RJ, McCarthy R, Selikowitz M. EEG-defined subtypes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lin Neurophysiol. 2001;112 (11):2098-105. 

  36. Karalunas SL, Fair D, Musser ED, Aykes K, Iyer SP, Nigg JT. Subtyp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using temperament dimensions: toward biologically based nosologic criteria. JAMA Psychiatry. 2014;71(9):1015-24. 

  37. Clarke AR, Barry RJ, Dupuy FE, Heckel LD, McCarthy R, Selikowitz M, Johnstone SJ. Behavioural differences between EEG-defined subgroup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lin Neurophysiol. 2011;122(7):1333-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