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노인 환자의 연명의료 의사결정의 번복 및 관련 요인
Reversals in Decisions about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Older Patients with Terminal Stage of Cardiopulmonary Diseas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3, 2019년, pp.329 - 339  

최정자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신우 (경북대학교병원 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patterns, and factors of reversals in decisions about life-sustaining treatment (LST) among older patients with terminal-stage chronic cardiopulmonary disease.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orrelational descriptive study b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심폐질환을 주 진단으로 입원한 말기 상태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조사를 통하여 연명의료 의사결정 후 번복 결정의 유형과 빈도 및 사망 전 실제로 제공된 중재를 확인하고, 더 많은 연명의료를 받기로 번복하는 것과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 2)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상태의 노인 환자의 연명의료 의사결정에서 더 많은 연명의료를 받기로 번복하는 것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상태의 노인환자에게 내려진 연명의료 의사결정의 번복 유형과 유형별 빈도 및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상태의 노인환자에게 내려진 연명의료 의사결정의 번복 유형과 빈도 및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COG의 점수범위는 어떠한가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입원 시 주 진단명 및 주 호소, 연명의료 의사결정 당시 일상생활 수행능력(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15]과 지남력에 대해 조사하였다. ECOG는 0~5점 범위로, 점수가 낮을수록 기능 상태가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지남력은 병원의 전자 의무기록 내 간호 기록의 중증도 상세내역에서 “지남력이 명확하고 의사소통이 명확함”,“지남력과 의식은 있으나 의사소통 시 부분적 도움이 필요함(노인,통증이나 튜브 삽입 등으로)”에 체크된 경우 지남력이 있음으로 코딩하였고, “질문에 대한 반응이 시간이 걸리고 반복적으로 천천히 설명해야 함”, “의식변화가 심하거나 무의식 상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에 체크된 경우 지남력이 없음으로 코딩하였다.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연명의료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2018년에 보고된 우리나라 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 65세 이상 노인들의 약 1/3은 사망 전 1개월 이내에 중환자실 입원, 인공호흡기 치료, 경관 영양, 심폐소생술 등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연명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2]. 특히 암이나 치매가 주 진단인 경우 연명의료를 받을 가능성이 감소하는 반면, 만성 심폐질환이 주 진단인 경우 연명의료를 받을 확률이 2.5배나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연명의료 의사결정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2]. 노인의 만성 심폐질환은 장기부전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서 질병의 경과 과정에서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면서 점진적인 질병의 악화와 신체기능의 감퇴를 동반한다[3].
노인의 만성 심폐질환의 말기 상태에는 어떤 의사결정이 요구되는가? 노인의 만성 심폐질환은 장기부전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서 질병의 경과 과정에서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면서 점진적인 질병의 악화와 신체기능의 감퇴를 동반한다[3]. 이에 따라 말기 상태에 접어들어 더 이상 건강상태의 호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면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적용, 기도삽관, 승압제, 혈액투석 등 연명의료에 대한 의사결정이 요구되지만[4], 암이나 치매 질환에 비해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연명의료 의사결정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 없는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ung KH, Oh YH, Lee YK, Oh MY, Kang EN, Kim KR, et al. Analysis of the 2017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Nov. Report No.: 11-1352000-000672-12. 

  2. Kim SH, Kang S, Song MK. Intensity of care at the end of life among older adults in Korea.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18;33(1):47-52. https://doi.org/10.1177/0825859718754398 

  3. Murray SA, Kendall M, Boyd K, Sheikh A. Illness trajectories and palliative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2005;330(7498):1007-1011. https://doi.org/10.1136/bmj.330.7498.1007 

  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2016 [cited 2018 Jan 2].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법령/호스피스 ${\cdot}$ 완화의료및임종과정에있는환자의연명의료결정에관한법률/(14013,20160203). 

  5. Kim DK. Hospice-palliative care and law.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7;92(6):489-493. https://doi.org/10.3904/kjm.2017.92.6.489 

  6. Auriemma CL, Nguyen CA, Bronheim R, Kent S, Nadiger S, Pardo D, et al. Stability of end-of-life preferenc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JAMA Internal Medicine. 2014;174(7):1085-1092. https://doi.org/10.1001/jamainternmed.2014.1183 

  7. Chavez G, Richman IB, Kaimal R, Bentley J, Yasukawa LA, Altman RB, et al. Reversals and limitations on high-intensity, life-sustaining treatments. PLoS One. 2018;13(2):e019056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90569 

  8. Song MK, Ward SE, Hanson LC, Metzger M, Kim SH. Determining consistency of surrogate decisions and end-of-life care received with patient goals-of-care preference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16;19(6):610-616. https://doi.org/10.1089/jpm.2015.0349 

  9. Pasman HRW, Kaspers PJ, Deeg DJH, Onwuteaka­Philipsen BD. Preferences and actual treatment of older adults at the end of life: A mortality follow­back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3;61(10):1722-1729. https://doi.org/10.1111/jgs.12450 

  10. Hart JL, Harhay MO, Gabler NB, Ratcliffe SJ, Quill CM, Halpern SD. Variability among US intensive care units in managing the care of patients admitted with preexisting limits on life-sustaining therapies. JAMA Internal Medicine. 2015;175(6):1019-1026. https://doi.org/10.1001/jamainternmed.2015.0372 

  11. Park SY. Current status of advance care planning and factors affecting in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process for critical ill patients in Korea [dissertation]. Ulsan: Ulsan University; 2017. p. 1-136. 

  12. Allen LA, Yager JE, Funk MJ, Levy WC, Tulsky JA, Bowers MT, et al. Discordance between patient-predicted and model-predicted life expectancy among ambulator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AMA. 2008;299(21):2533-2542. https://doi.org/10.1001/jama.299.21.2533 

  13. Kim SH. Family surrogates' decision regret and psychological stress about end-of-life cancer treatments: Path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8(5):578-587. https://doi.org/10.4040/jkan.2018.48.5.578 

  1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15. Oken MM, Creech RH, Tormey DC, Horton J, Davis TE, McFadden ET, et al. Toxicity and response criteria of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82;5(6):649-656. https://doi.org/10.1097/00000421-198212000-00014 

  16. Bursac Z, Gauss CH, Williams DK, Hosmer DW. Purposeful selection of variables in logistic regression. Source Code for Biology and Medicine. 2008;3:17. https://doi.org/10.1186/1751-0473-3-17 

  17. Kim KS. Application of advance directives at a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ersity; 2009. p. 1-70. 

  18. Kang NY, Park J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ncologic patients with DNR decision at a tertiary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19(1):26-33.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1.26 

  19. Brehaut JC, O'Connor AM, Wood TJ, Hack TF, Siminoff L, Gordon E, et al. Validation of a decision regret scale. Medical Decision Making. 2003;23(4):281-292. https://doi.org/10.1177/0272989X03256005 

  20. Lee KH, Jang HJ, Hong SB, Lim CM, Koh YS. Do-not-resuscitate order in patients, who were deceased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f an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8;23(2):84-89. https://doi.org/10.4266/kjccm.2008.23.2.84 

  21. Kim HA, Park JY. Changes i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fter signing a do-not-resuscitate order.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7;20(2):93-99. https://doi.org/10.14475/kjhpc.2017.20.2.93 

  22. Kim M. Noh S, Ryu E, Shin S. Research trend analysis of do-not-resuscitate decision: Based on text network analysis.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4):254-264. https://doi.org/10.5388/aon.2014.14.4.254 

  23. Jung S, Lee H, Lee S. Characteristics of end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s towards advance directives among geriatric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2):103-111. https://doi.org/10.14370/jewnr.2014.20.2.103 

  24. Park SY.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t the end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8;93(2):75-79. https://doi.org/10.3904/kjm.2018.93.2.75 

  25. Hawkins NM, Virani S, Ceconi C. Heart failure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challenges facing physicians and health services. European Heart Journal. 2013;34(36):2795-2807. https://doi.org/10.1093/eurheartj/eht192 

  26. Song TJ, Kim KP, Koh YS. Factors determining the establishment of DNR orders in oncologic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8;74(4):403-4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