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라헤르츠 이미징기법을 이용한 유화의 상태분석 및 진단
Study of Condition Analysis and Diagnosis on Oil Paintings with Terahertz Imaging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3, 2019년, pp.237 - 244  

백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교기업 컨테크) ,  송유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교기업 컨테크) ,  김문정 (A&A 예술과 미래 보존)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 기술학과) ,  이한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기술소재은행)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근대시기 유화 작품 3점('소년', '소녀', '혜화동풍경')에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법을 활용하여 추출 가능한 작품 내부 정보의 종류와 이를 추출하기 위한 분석 조건을 연구하였다. 또한 테라헤르츠 스캔 적용 시 대상 작품의 굴곡에 따라 분석 대상 표면과 검출부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발생하는 이미지 왜곡이 주된 문제점임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작동 거리 유지 장치'를 고안하였다. 연구 결과,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법을 이용하여 유화의 바탕재 특성과 내부의 손상형태를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바탕재의 특성과 하부층 확인에는 테라헤르츠 주파수 분해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였으며 붓터치 등 채색기법을 파악하는 것에는 최대 반사피크 이미지와 단면 이미지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표면에서 관찰할 수 없는 작품 내부 손상 정보는 단면 이미지와 주파수 분해 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이 유용하였다. 회화작품에 적용한 결과, '소년'과 '소녀'에서는 내부의 구조적 손상 자국을, '혜화동풍경'에서는 작가의 채색 방식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우리나라 근대기 유화의 예방보존 및 보존처리를 위한 상태분석 및 진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pplied terahertz imaging technology to three Korean modern oil paintings ('Boy,' 'Girl,' and 'Hyehwadong Landscape'); investigated the types of inner layer information in the pictures that can be extracted with terahertz imaging technology; and analyzed the conditions for ext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화 작품들의 캔버스 처짐 또는 종이 보드의 휘어짐 현상으로 인한 굴곡은 층위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테라헤르츠 시간 지연 이미지에 심각한 왜곡을 발생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표면과 검출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완 장치를 개발하여 이미지 왜곡을 방지함으로써 작품 내부의 층위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법을 우리나라 근대시기 유화 작품에 적용하여 기존 테라헤르츠 이미지 분석 데이터의 한계 및 주된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추출 가능한 내부 상태 정보의 종류와 이를 추출하기 위한 분석 조건을 연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근대시기 유화 작품의 내부 상태를 분석⋅진단하기 위한 접근 방법을 연구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화란 무엇인가? 유화는 안료에 오일을 개어 만든 물감으로 그린 서양화의 한 종류이다. 한국에서는 19세기 말에 청나라 사신들에 의하여 처음 유럽의 서양화가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 1910년대에 서양의 양식을 수용하고 1920∼1930년대를 지나며 근대적 양식이 정착하였다(Kim, 2009).
유화 작품의 손상원인은 무엇인가? 유화 작품은 온습도⋅빛 등의 환경적 요인 및 재료 자체의 결함이나 물감 사용기법 등에 의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화는 계속해서 진행되므로 최대한 적절한 보존환경을 유지하는 예방보존 관리가 필요하다(Ahn, 2016).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법이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겉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회화 작품의 내부 구조와 상태에 대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손상과 관련한 보존의 목적 및 작품의 회화적, 재료적 특성에 대한 더 많은 정보 확인의 목적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적외선⋅X선 이미지 등이 회화의 밑그림 및 내부 구조 진단에 적용되어 왔으나 적외선의 경우 침투 깊이가 수십 ㎛에 불과하고 X선의 경우 물질을 투과하기 때문에 (Fukunaga et al., 2007) 두께가 수 mm에 이르는 회화 작품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Figure 1).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hn, J.W., 2016, A study on the damage types of the oil painting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Cheongju, 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k, N.Y., Kang, D.I., Ha, T.W., Sim, K.I., Lee, H.W., Kim, J.H. and Lee, H.H., 2016, Study of noncontact condition diagnosis on painting with terahertz wave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2(2), 235-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Fukunaga, K., Ogawa, Y., Hayashi, S. and Hosako, I., 2007, Terahertz spectroscopy for art conservation. IEICE Electronics Express, 4(8), 258-263. 

  4. Fukunaga, K. and Picollo, M., 2014, Terahertz time domain imaging for cultural heritage. Insight-Non-Destructive Testing and Condition Monitoring, 56(3), 142-146. 

  5. Hong, T.Y., Choi, K.J., Ha, T.W., Park, B.C., Sim, K.I., Kim, J.H., Kwon, J.E., Lee, S.H., Kang, D.I. and Lee, H.H., 2014, Terahertz time-domain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of traditional Korean pigments. Journal of the Korea Physical Society, 64(5), 727-731. 

  6. Kim, E.J., 2009, Formation of Korean western painting and painting style of 1930s.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hler, W., Panzer, M.J., Klotzbach, U., Beyer, E., Winnerl, S., Helm, M., Rutz, F., Jordens, C., Koch, M. and Leitner, H., 2006,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of paintings with THz-radiation. 9th European Conference of NDT, Berlin, September 25-29, 181. 

  8. Lee, H.H., Jung, C.H., Baek, N.Y., Song, Y.N., Kim, M.J. and Chung, Y.J., 2018, Feature detection of paintings using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Cheongju, November 2-3, 43-44. (in Korean) 

  9. Rhee, C.H., 2008, Terahertz pulsed imaging and its applications. New Physics: Sae Mulli, 56(2), 5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Science Daily, 2019, Ancient Roman man hidden beneath famous painting at the Louvre. https://www.sciencedaily.com (May 1,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