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고등학생의 자살 보호요인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of Suicidal Protection (MSP)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2, 2019년, pp.161 - 173  

박찬선 (대동대학교 간호학부)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a measurement of the suicidal protection(MSP)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Methods: Thirty-four preliminary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ose items were evaluated by experts for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위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대상자는 예비도구가 총 31문항 이어서 10배수인 330명을 계획하였으며, 탈락률을 고려하여 340명을 편의추출 방법에 의해 표집 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살 생각에 초점을 둔 자살 보호요인을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하여 한국의 고등학생의 특수성을 반영한 자살 보호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도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자살 보호요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제공할 중요한 기초자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도구는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한국의 고등학생에게 적합하게 개발된 도구이다. 또한 청소년의 발달시기에 따라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자살 보호요인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되어 고등학생 맞춤형 자살 보호요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셋째, 본 도구는 기존의 청소년이 살아야 하는 이유 32문항[9]에 반해 26문항으로 짧고, Osman 등[11]의 자살 탄력성 도구의 25문항 수와는 유사하지만, 구성개념이 내적 보호요인, 정서적 안정감, 외적보호영역 등 3개로 구체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는 반면, 본 연구의 도구는 자살두려움, 자아존중감, 자아감정조절, 타인지지, 가족지지, 학교상황 등 6개로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DeVellis [17]가 제시한 도구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한국 고등학생의 자살보호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 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하여 한국 고등학생의 자살 보호요인의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무엇이 있는가? 청소년기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살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예방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살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과 자살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 있다. 자살 보호요인은 자살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살에 저항하는 신념이나 삶에 대한 생존 집념을 갖게 하여 자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다[5].
청소년기의 자살이 갖는 성인과는 다른 특성은? 자살은 중요한 죽음의 원인으로 개인의 문제라기보다 사회적 보건 문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청소년기의 자살은 성인과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2]. 이 시기는 자살생각이 가장 많은 시기이고 자살생각을 가진 경우 최근 12개월 이내에 자살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거나 시도하며[3], 특히 자살생각을 가진 청소년은 성인이되었을 때 자살 시도율이 12배나 높다[4]. 
자살의 특징은? 9명로 성인이나 노인에 비해 낮으나, 2007년 이후로 청소년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1]. 자살은 중요한 죽음의 원인으로 개인의 문제라기보다 사회적 보건 문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청소년기의 자살은 성인과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2]. 이 시기는 자살생각이 가장 많은 시기이고 자살생각을 가진 경우 최근 12개월 이내에 자살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거나 시도하며[3], 특히 자살생각을 가진 청소년은 성인이되었을 때 자살 시도율이 12배나 높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Suicide prevention white book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8 April 16]. Available from http://www.spckorea.or.kr/new/sub03/sub11_view.php?Kind1330&Codeweblibrary&No12516&No212516&ThreadA&Typeedit&page1&Nextview&Category국내보고서 

  2. Hawton K, Saunders KEA, O'Connor RC. Self-harm and suicide in adolescents. The Lancet. 2012;379(9834):2373-2382. https://doi.org/10.1016/S0140-6736(12)60322-5 

  3. Borges G, Nock MK, Abad JMH, Hwang I, Sampson NA, Alonso J, et al. Twelve-month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71(12):1617-1628. https://doi.org/10.4088/JCP.08m04967blu 

  4. Reinherz HZ, Tanner JL, Berger SR, Beardslee WR, Fitzmaurice GM.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s predictive of psychopathology, suicidal behavior, and compromised functioning at age 30.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6;163(7):1226-1232. https://doi.org/10.1176/appi.ajp.163.7.1226 

  5. Park JY.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 suicid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9;16(10):249-272. 

  6. Westefeld JS, Cardin D, Deaton WL. Development of the college student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1992;22(4):442-453. https://doi.org/10.1111/j.1943-278X.1992.tb01038.x 

  7. Gutierrez PM, Osman A, Barrios FX, Kopper BA, Baker MT, Haraburda CM. Development o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young adul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58(4):339-357. https://doi.org/10.1002/jclp.1147 

  8. Linehan MM, Goodstein JL, Nielsen SL, Chiles JA. Reasons for staying alive when you are thinking of killing yoursel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3;51(2):276-286. 

  9. Osman A, Downs WR, Kopper BA, Barrios FX, Baker MT, Osman JR, et al.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adolescents (RFLA):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8;54(8):1063-1078. https://doi.org/10.1002/(SICI)1097-4679(199812)54:8 3.0.CO;2-Z 

  10. Lee HJ, Shin MS, Ko HJ, Kwak YS.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ory for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4;25(3):163-170. https://doi.org/10.5765/jkacap.2014.25.3.163 

  11. Osman A, Gutierrez PM, Muehlenkamp JJ, Dix-Richardson F, Barrios FX, Kopper BA. Suicide resilience inventory-25: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Psychological Reports. 2004;94(3):1349-1360. 

  12. Richardson-Vejlgaard R, Sher L, Oquendo MA, Lizardi D, Stanley B. Moral objections to suicid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ood disordered Whites, Blacks, and Hispanic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009;43(4):360-365. https://doi.org/10.1016/j.jpsychires.2008.03.008 

  13. Song JR. Suicide in korean society and durkheim's theory of suicide: In relation to 'familistic habits of the heart.' Journal of Korean Social Theory Association. 2008;34(0):123-164. 

  14. Kim OS, Park EJ. A comparative study of time us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12;30(4):119-13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4.119 

  15. Park J, Chung I.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roblems on suicidal ideation-focusing on the mediational effects of individual-leve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10;32:69-97. 

  16. De Luca SM, Wyman P, Warren K. Latino adolescent suicide ideations and attempts: Associations with connectedness to parents, peers, and teacher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12;42(6):672-683. https://doi.org/10.1111/j.1943-278X.2012.00121.x 

  17.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CA: Sage; 2012. 171 p. 

  18.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 48-71. 

  19. Lee HS, Kim SY, Park L, Kang YJ, Lee JY, Kwon JH. The reasons of suicide-related ideation and behavior and the reasons for not choosing suicide amo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24(3):703-728. 

  20. Yeo JY, Park TY. A study of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3;20(8):121-145. 

  21. Eom TW, Kang MJ, Choi JS. Gender differences of the stress,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Journal of Human Studies. 2008;22:5-30. 

  22. Cho YS, Lee KN. Effects of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maladjustment 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0;48(8):27-37. https://doi.org/10.6115/khea.2010.48.8.027 

  23. Kim JG, Kim HY. A Study on adolescents' expectation of future: Focused 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3;51(2):173-186. https://doi.org/10.6115/khea.2013.51.2.173 

  24. Noh YC, Kim KS, Park HS. The test of gender difference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though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5;20(5):133-140. https://doi.org/10.9708/jksci.2015.20.5.133 

  25. Hong SH, No UK, Jung S. Meta-analysis about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protective factors.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2016;17(1):137-166. https://doi.org/10.20997/SR.17.1.7 

  26. Jang SY. Effects of self esteem, family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3;30(2):11-21. https://doi.org/10.14367/kjhep.2013.30.2.011 

  27. Kim HW, Cho SY. The moderated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11;29(2):127-142. 

  28. Lee HJ, Kim KS, Kim KH, Nam GW, Min KW, Lee S, et al. Factors that affect the suicidal though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linquent behavior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3;8(7):1025-1032.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7.1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