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야생수집 버섯류 추출물의 생리활성 분석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wild mushrooms collected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7 no.2, 2019년, pp.70 - 77  

안기홍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조재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이강효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한재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의 생리활성 및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버섯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 NO 생성저해도 및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수집 야생버섯 중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이 높은 버섯은 64.2%를 나타낸 박막깔때기버섯(OK825)과 69.7%를 보인 흰우단버섯(OK829)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흰우단버섯(OK811)이 64.1%로 가장 높았다. 야생수집 버섯류 중에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은 젖비단버섯(OK804), 흰우단버섯(OK829) 및 큰밤갈색광대버섯(OK944)으로 각각 19.7 mg GAE/g, 20.2 mg GAE/g, 22.3 mg GAE/g의 값을 보였다. NO 생성저해도의 경우, 박막깔때기버섯(OK825)과 노란다발버섯(OK826)은 각각 11.8%와 11.2%로 가장 낮은 NO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집 버섯 추출물 중에서 가장 높은 항염증 효능을 보였다. MTT를 이용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젖비단그물버섯(OK804), 흰우단버섯(OK811), 노란젖버섯(OK904)의 추출물에서는 각각 40.3%, 48.3%, 43.2%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버섯산업의 확대를 위하여 우수버섯자원을 발굴함과 동시에 토종 버섯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ild mushroom extracts collected from the Gangwon-do,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s in Korea. Among the wild mushroom extracts, those of Clitocybe robusta and Leucopaxillus giganteus (OK829) showed the highest DPPH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의 생리활성 및 항염 활성을 분석하여 항산화 및 염증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우수한 자원을 발굴함과 동시에 토종 버섯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의 약리효과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2007). 또한 영지, 동충하초, 차가버섯, 상황과 같은 약용버섯의 추출물에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식용버섯에 비하여 많아 항산화 효과와 인체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Qi et al., 2013).
버섯의 역할은? 버섯은 식품적 가치가 우수하고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니고 있어 예로부터 인류에게 중요한 식량원으로 사용되어 왔다(Chang and Miles, 1989; Noh et al., 2011).
느타리의 영양소엔 무엇이 있는가? , 2001). 대표적으로 느타리는 필수 아미노산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산과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유리당 및 당알콜류가 함유되어 있다(Hossain et al., 2003; Lilli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ros L, Baptista P, Estevinho LM, Ferreira ICFR. 2007. Effects of fruiting body maturity stage o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arius sp. mushrooms. J Agri Food Chem 55: 4781-4788. 

  2. Chang ST, Miles PG. 1989. Mushroom science in "Edible mushrooms and their cultivation" CRC Press, Inc. pp. 3-28. 

  3. Cho JH, Lee JY, Lee MJ, Oh HN, Kang DH, Jhune CS.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useful $\beta$ -glucan and polyphenol in the fruiting bodies of Ganoderma spp. J Mushroom Sci Prod 11: 164-170. 

  4. Cho JH, Park HS, Han JG, Lee GY, Sung GH, Jhune CS. 2014.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effects and polyphenol contents of the fruiting bodies in oyster mushrooms. J Mushroom Sci Prod 12: 311-315. 

  5. Cho JH, Park HS, Han JG, Lee KH, Jhune CS. 2015. Antidiabetic efficacy of the alcoholic extracts in Ganoderma sp. and Phellinus baumi. J Mushroom Sci Prod 13: 326-329. 

  6. Choi JS, Park SH, Choi JH. 1989.. Nitrite scavenging effect by flavonoids and its structure-effect relationship.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12: 26-33. 

  7. Choi DB, Cho KA, Na MS, Choi HS, Kim YO, Lim DH, Cho SJ, Cho H. 2008. Effect of bamboo oil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J Ind Eng Chem 14: 765-770. 

  8. Choi JH, Kim GS, Lee SE, Cho JH, Sung GH, Lee DY, Kim SY, Lee TH, Noh HJ.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Cordyceps militaris extracts. J Mushroom Sci Pro 10: 249-253. 

  9. Chung SY, Kim NK, Yoon S. 1999.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ethanol fraction obtained from green yellow vegetable ju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42-347. 

  10.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1. Gardner PR,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Escherichia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J Biol Chem 266: 1478-1783. 

  12.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3. Hossain S, Hsahimoto M, Choudhury EK, Alam N. 2003. Dietary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meliorated atherogenic lipid in hypercholesterolacmic rats. Clin Exp Pharmacol P 30: 470-475. 

  14. Krik PM, Cannon PF, David JC, Stalpers JA. 2001. Ainsworth and Bisby's dictionary of the fungi. 9th edition, CAB International publishing, 650pp 

  15. Kwon SC. 2011.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mycelium on Angelica keiskei and Angelica Keiskei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rt 40: 1648-165. 

  16. Lee JH, Do JR, Chung MY, Kim KH.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cornucopiae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836-841. 

  17. Lillian B, Paula B, Daniela M, Susana C, Beatriz O, Isabel C. 2007. Fatty acid and sugar compositions, and nutritional value of five wild edible mushrooms from Northeast Portugal. Food Chem 105: 140-145. 

  18. Manzi P, Aguzzi A, Pizzoferrato L. 2001. Nutritional value of mushrooms widely consumed in Italy. Food Chem 73:321-325. 

  19. Noh JG, Park JS, Choi JS, Song IG, Yun T, Min KB. 2009. A study of useful wild mushroom by segregation and identification native in middle area. Korean J Mushroom Sci 7: 49-52. 

  20. Noh HJ, Choi SI, Lee KH, Jang KY, Cho JH, Sung GH, Kim GS, Lee SE, Kim SY. 2011.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shroom extracts in Korea. J Mushroom Sci Pro 9: 84-86. 

  21. Sohn HY, Shin YK, Kim JS. 2010.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olid-state fermented medicinal herbs using Phelimus baumii against human colorectal HCT116 cell. J Life Sci 20: 1268-1275. 

  22. Park YH, Yang SK, Cha DY. 1978. Investigation on artificial culture for new edible wild mushrooms. Korean J Mycology 6: 25-28. 

  23. Park WM, Kim GH, Hyeon JW. 1995. New synthetic medium for growth of mycelium of Pleurotus species. Korean J Mycol 23: 275-283. 

  24. Qi Y, ZhaoX, Lim YL, Park KY.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55-6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