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번행초 추출물의 항염증 및 종양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Tetragonia tetragonoides Extracts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3 no.4, 2015년, pp.391 - 395  

최혜정 (창원대학교 생물학화학융합학부) ,  이성태 (순천대학교 약학대학) ,  권기석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물학화학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번행초의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및 항암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번행초의 항염증 활성은 $1{\mu}g/ml$ LPS로 유도되는 NO 및 IL-$1{\beta}$의 생성이 억제됨을 통해 확인되었다. IL-6$TNF-{\alpha}$$1{\mu}g/ml$ LPS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다당류 추출물을 처리한 후 생성이 감소되었다. 나아가 HX 분획물은 GM-CSF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arcoma 180을 미리 주사한 ICR 마우스에 MeOH과 다당 추출물을 100 mg/kg/day 복강내 투여시 16.67%의 수명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번행초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항염증 및 항암제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로써 중요한 결과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anti-tumor activity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crude extracts and fraction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 tetragonioides was exuded through the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 $1{\mu}g/ml$), induced nitric oxide (NO) and inter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수용성 다당성분은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8, 13], 본 연구진의 기 연구에서 번행초 분획물이 항균, 항산화 및 항당뇨 기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2, 3, 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번행초에 대한 기능성 연구의 일환으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세포에 번행초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여 항염증 효능을 검증하였으며, Sarcoma-180을 복강에 투여한 마우스에서 종양에 대한 생명연장 효과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번행초의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및 항암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번행초의 항염증 활성은 1 μg/ml LPS로 유도되는 NO 및 IL-1β의 생성이 억제됨을 통해 확인되었다.
  • 67%의 수명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번행초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항염증 및 항암제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로써 중요한 결과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각 cytokine의 농도는 어떻게 구했고 한계치는 얼마인가? 적당한 비율로 희석한 세포 배양 상층액과 biotin이 부착된 2차 항체 100 μl/well를 분주하고 일정시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뒤 avidin-peroxidase 100 μl/well와 2,2’'-azino-bis를 첨가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cytokine의 농도는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고 측정 농도의 한계치는 10 pg/ml이었다. 수명 연장 시험은 마우스를 무작위로 10마리씩 나누어 대조군, MeOH 처리군 및 다당류 처리군으로 나누고 이들 마우스 복강에 Sarcoma-180(3 × 106)을 주입한 후, 각 추출물을 100 mg/kg/day 용량으로 400 μl의 PBS에 희석하여 경구투여하였다.
염증반응이란? 염증반응은 병원체와 같은 외부 항원이 체내로 침입하거나 세포 조직이 손상받았을 때 활성화된 면역세포에 의해 일어나는 생체 방어를 위한 필수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이런 반응이 지속적일 경우 외부자극과 염증 매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다양한 염증성 cytokine, chemokine, NO 및 prostaglandin E2(PGE2)를 생성하고 다른 면역세포들을 염증부위로 유도하며[9, 14], 그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 증가, 종양세포의 성장 촉진, 동맥경화 및 류마티스와 같은 다양한 질병이 유발된다[1, 5].
염증반응이 지속될 경우 어떤 문제가 나타나는가? 염증반응은 병원체와 같은 외부 항원이 체내로 침입하거나 세포 조직이 손상받았을 때 활성화된 면역세포에 의해 일어나는 생체 방어를 위한 필수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이런 반응이 지속적일 경우 외부자극과 염증 매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다양한 염증성 cytokine, chemokine, NO 및 prostaglandin E2(PGE2)를 생성하고 다른 면역세포들을 염증부위로 유도하며[9, 14], 그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 증가, 종양세포의 성장 촉진, 동맥경화 및 류마티스와 같은 다양한 질병이 유발된다[1, 5]. 따라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은 만성염증 및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ennan FM, Chantry D, Jackson A, Maini R, Feldmann M. 1989. Inhibitory effect of TNF alpha antibodies on synovial cell interleukin-1 production in rheumatoid arthritis. The Lancet 2: 244-247. 

  2. Choi HJ, Kang JS, Choi YW, Jeong YK, Joo WH. 2008. Inhibitory activity on the diabetes related enzyme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419-424. 

  3. Choi HJ, Park MR, Kang JS, Choi YW, Jeong YK, Joo WH. 2008. Antimicrobial activity of four solvent fracrtion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Cancer Prev. Res. 13: 205-211. 

  4. Choi YW, Kim HJ, Park SS, Chung JH, Lee HW, Oh SO, et al. 2009. Inhibition of endothelial cell adhesion by the new anti-inflammatory agent ${\alpha}$ -iso-cubebene. Vascul. Pharmacol. 51: 215-224. 

  5. Gabay C. 2006. Interleukin-6 and chronic inflammation. Arthritis Res. Ther. 8: 53. 

  6. Han MH, Lee MH, Hong SH, Choi YH, Moon JS, Song MK, et al. 2014.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mong ethanol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Glycyrrhiza uralensis and Dictamnus dasycarpus, and their mixtures in RAW 246.7 murine macrophages. J. Life Sci. 24: 329-335. 

  7. Hofman M, Morrow GR, Roscoe JA, Hickok JT, Mustian KM, Moore DF, et al. 2004. Cancer patients' expectations of experiencing treatment related side effects: a University of Rochester cancer center-community clinical oncology program study of 938 patients from community practices. Cancer 101: 851-857. 

  8. Kato M, Takeda T, Ogihara Y, Shimu M, Nomura T, Tomita Y. 198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I. Chem. Pharm. Bull. 33: 3675-3680. 

  9. Lee ES, Ju HK, Moon TC, Lee E, Jahng Y, Lee SH, et al. 2004.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 ${\alpha}$ ) production by propenone compound through blockade of nuclear factor (NF)- ${\kappa}B$ activation on cultured murine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7: 617-620. 

  10. Lee MA, Choi HJ, Kang JS, Choi YW, Joo WH.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J. Life Sci. 18: 220-227. 

  11. Lee KY, Han MJ, Park SY, Kim DH. 2000.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77-480. 

  12. Masters SL, Simon A, Aksentijevich I, Kastner DL. 2009. Horror autoinflammaticus: the molecular pathophysiology of auto-inflammatory disease. Ann. Rev. Immunol. 27: 621-668. 

  13. Mori K, Kinsho T. 1988. Synthesis of sphingosine relatives, VII. Synthesis of anti-ulcergenic cerebroside isolated Tetragonia tetragonioides. Liebigs Ann. Chem. 8: 807-814. 

  14. Nathan C, Xie QW. 1994. Nitric oxide synthases: Roles, tolls and controls. Cell 78: 915-918. 

  15. Okuyama E, Yamazaki M. 1983. The principle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having antiulcerogenic activity. II. Isolation and structure of cerebrosides. Chem. Pharm. Bull. 31: 2209-2219. 

  16. Park HJ, Kim SM, Kwon HJ, Lee HT, Kim BW, Kim TH, et al. 2014.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hot water extracts containing baicalin on modulation of the immune system in Raw264.7 cells. J. Life Sci. 24: 219-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