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183 - 193  

지재훈 (동의과학대학교 의무행정과) ,  허성은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B 지역 내 치위생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SPSS 24.0 및 AMOS 24.0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외재적 직업 가치관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와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에 부(-)의 효과가,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음이 검정되었다. 또한, 외재적 직업 가치관과 내재적 직업 가치관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이는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한 직업 가치관 형성과 전공 만족 수준을 높여야 함을 시사하며,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진로 및 교육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 survey was conducted on dental hygien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B area, an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 The extrinsic w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 관계를 분석하여 치위생 교육은 물론 치과위생사 직업의 바 람직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 의 진로 및 교육 방향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치과위 생사 직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 으로 특히,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모형 내 포함된 변수들의 직접 효과, 간접 효과, 총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인과관계와 직· 간접 효과를 통해 규명하여, 직업 가치관과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전공 교육의 방향성 을 제시하여 치위생 교육 및 치과위생사의 직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 관계를 분석하여 치위생 교육은 물론 치과위생사 직업의 바 람직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 의 진로 및 교육 방향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치과위 생사 직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치위생(학)과의 전공 교육에 있어서 직업가치관을 중요하게 인식할 수 있는 진로 교육 프로그램은 개발은 물론 전공 관련 봉사활동 프로그램 을 시행하여 전공에 대한 이해와 확신을 심어준다면 국민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강보건 전문 인력 양성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6]. 이에 본 연구결과가 치위생 전공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치위생 교육 및 치과위생사의 직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자 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 일부대학의 치위생 전공 대학 생으로 제한된 표집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각 지역별, 학년별로 구분 하여 진로 교육 내용 및 교과과정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직업가치관 및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 가치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즉,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믿음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7-9]. 직업 가치란 직업에 대한 태도와 개인의 신념으로 직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의미하며 [7,10,11], 직업 가치에 대한 인식이 직업 활동의 본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대학 시기의 직업 가치관은 중요한 의미 를 갖는다[12]. 또한,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진로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 따라 대학에서의 전공과 관련된 진로교육에 있어서 직업 가치관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이다 [10,12,13].
미래의 직업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가? 또한, 치과위생사로서의 긍정적 직업 정체성은 치과위생사 직무에 대한 강한 신념으로 안정적인 직업 활동이 가능하게 되므로[19], 구강 보건 전문 인력으로써 질 높은 구강 보건 서비스 제공은 물론, 국민의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 바가 매우 크다. 결국, 미래의 직업에 대한 태도가 전공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짐에 따라 치위생 전공 관련 진로 교육에 있어서 치과위생사에 대한 긍정적 직업 가치 인식을 제고한다면 전공 선택에 대한 확신으로 직업적 가치의 확립은 물론, 진로 결정의 확고한 동기부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5,9]. 따라서 치과위생사에 대한 바람직한 직업가치관을 함양하고, 직업 현장에서 가치 있는 인력으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양질의 치위생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18].
내재적 직업 가치관 향상은 어떤 결과를 예상하는가? 즉, 내재적 직업 가치관 을 가진 사람이 외재적 직업 가치관을 가진 사람보다 진로 의식에 있어서 그 수준이 높으며, 진로 의식이 성숙될수록 직업에 대한 내적 가치를 선호함에 따라[25,26],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전공과 관련된 진로 교육에 있어서 직업 가치관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이며[13] 특히, 국민의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구강 보건 전문 인력을 양성을 목 표로 하는 치위생 교육에 있어서 내재적 직업 가치관 향상 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학생의 사회 봉사활동 경험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허[27]의 연구 결과, 봉사활동 경험이 있을 경우 전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전공과 관련성이 있을 경우 전공만족도가 훨씬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공 관련 봉사 활동이 진로에 대한 가능성을 스스로 찾을 기회를 제공하여 내재적 직업 가치관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되며[6], 이를 통한 전공에 대한 확신과 전공만족도 향상은 진로 결정의 확고한 동기부여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 C. Han. (2017). An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Job-Search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Ego-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2. S. M. Im. (2012). A Study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n decision on the course to take of students in security related maj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Gyeonggi. 

  3. C. H. Oh & H. J. Kim. (2016). The Effect of job-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Specializing in Taekwondo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Journal of Matirial Arts, 10(2), 91-109. 

  4. K. M. Nam. (2008). A Study on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Mal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B. W. Kim & K. H. Kim. (1997).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311-333. 

  6. Y. K. Au. (2011). The relation between the career counseling activit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ation: Regulating effect of decision-making criterion for major.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2(2), 1793-1811. DOI : 10.15703/kjc.12.5.201110.1793 

  7. K. C. Han. (2014).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jor Selection Motive and their Work Valuer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8. K. H. Kim et al. (2009). School Counseling. Seoul : Hakjisa Publishing. 

  9. J. U. Kim & H. H. Kim.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2), 619-637. 

  10. M. J. Jeong. (2018).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in the Relations Between Intrinsic. Extrinsic Work Values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11. E. Lim, B. K. Park & J. S. Hyun. (2012). Work Value Shif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2001 to 2011.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5(3), 19-37. 

  12. E. Y. Jeong & J. K. Kim. (2013). A study on work value factors and professional attitude factor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par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3), 439-448. DOI : 10.13065/jksdh.2013.13.3.439 

  13. H. S. Park. (2011). A Study on the Work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Care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4), 95-111. DOI : 10.12811/kshsm.2011.5.4.095 

  14. J. Y. Jeong. (2013). The analysis on the casual model between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mediated by occupational value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5. M. S. Choi, Y. H. Jang & H. K. Yun. (2014). Effect of self-resilience and self-efficiency on the satisfaction with major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2), 155-162. DOI : 10.13065/jksdh.2014.14.02.155 

  16. S. N. Lee & E. S. Kim. (2015).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 on Major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304-5313. DOI : 10.5762/KAIS.2015.16.8.5304 

  17. J. H. Park, H. J. Song & B. Y. Lee. (2018). The Influences of Ethical propensity, Self-esteem and Clinical satisfaction on Major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 261-269. DOI :10.15207/JKCS.2018.9.6.261 

  18. E. Y. Jeong & J. K. Kim. (2013). A study on work value factors and professional attitude factor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par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3), 439-448. DOI : 10.13065/jksdh.2013.13.3.439 

  19. R. P. Abelson. (1988). Conviction.American Psychologist, 43(4), 267. DOI : 10.1037/0003-066X.43.4.267 

  20. A. Bandura & D. H. Schunk.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3), 586. DOI : 10.1037/0022-3514.41.3.586 

  21. A. L. Kalleberg. (1997). Work values and jib reward: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1), 124-143. DOI : 10.2307/2117735 

  22. M. S. Kang. (2015). The influ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ness and major satisfaction up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Unpublished doctoral thesis, Hanseo University, Chungnam. 

  23. K. H. Lee & H. J. Lee. (2000). The Effects of Career Self Efficacy in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2(1), 127-136. 

  24. K. H. Kim. (2019).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Daejin University, Gyeonggi. 

  25. E. M. Gade & G. Peterson. (1977).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nd the vocational maturity of vocational-technical students.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6(2), 125-130. DOI : 10.1002/j.2164-585X.1977.tb00959.x 

  26. Phyllis Post-Kammer. (1987).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nd career maturity of 9th­and 11thgrade boys and girl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5(8), 420-423. DOI : 10.1002/j.1556-6676.1987.tb00746.x 

  27. S. E. Heo. (2016). Convergence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299-305. DOI : 10.15207/JKCS.2016.7.4.085 

  28. H. W. Han & K. S. Moon. (2017). The Effec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ating role of Academic Emotion. Journal of Lead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8), 845-866. DOI : 10.22251/jlcci.2017.17.18.845 

  29. S. Y. Kim. (2016).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i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Decision Attitud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4), 115-122. DOI : 10.22156/CS4SMB.2016.6.4.115 

  30. J. S. Kim & D. Y. Lee. (2014). A Study on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y Majors in Gyeong-sang Provi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389-396. DOI : 10.14400/JDC.2014.12.8.389 

  31. G. Y. Choi & D. H. Lee. (2019).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 Efficacy, Learning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adjustment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 299-305. DOI : 10.15207/JKCS.2019.10.1.299 

  32. J. C. Lee. (2013). Theoretical Study and Comparison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rr, 3(1), 49-66. 

  33. J. Y. Yun. (2014). A Study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3(2), 111-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