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 및 곤충의 곰팡이 병원균에 항균력을 가진 Pseudomonas fluorescens NBC275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ing of Pseudomonas fluorescens NBC275, a biocontrol agent against fungal pathogens of plants and insec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5 no.2, 2019년, pp.157 - 159  

더타 스와나리 (전북대학교 생명공학부) ,  유상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연구본부) ,  나젠드란 라자링감 (전북대학교 생명공학부) ,  정상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연구본부) ,  이용훈 (전북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주변에서 채취한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Pseudomonas fluorescens NBC275 (Pf275) 균주는 식물과 곤충에 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류에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Pf275 균주의 전체염기서열을 해독하고 분석하였는데, 총 염기서열은 6,610,362 bp였고, GC 함량은 60.9%였다. 염색체는 5,869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하였고, 16개의 rRNA와 65개의 tRNA로 구성되어 있었다. 유전체의 분석을 통해 항균력을 나타내는 2차 대사산물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Pf275 균주는 pyoverdine, 2, 4-diacetylphloroglucinol 및 phenazine 등의 항균물질을 생산하였고, 이들 대사산물에 의해 항균력 및 생물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eudomonas fluorescens NBC275 (Pf275) isolated from soil sample collected at riverside of Nakdonggang showed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fungal pathogens of plants and insects. Here we present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f275. The genome comprises of 6,610,362 bp with GC content of 60.9%, which ...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fluorescens strain Pf275 isolated from soil sample collected at riverside of Nakdonggang, South Korea, exhibited broa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s,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and Alternaria solani as well as insect pathogens, Metarhizium anisopliae and Beauveria bassiana. The strain was deposited in the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 with accession number of KCTC 13360BP.
  • 9%였다. 염색체는 5,869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하였고, 16개의 rRNA와 65개의 tRNA로 구성되어 있었다. 유전체의 분석을 통해 항균력을 나타내는 2차 대사산물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Pf275 균주는 pyoverdine, 2, 4-diacetylphloroglucinol 및 phenazine 등의 항균물질을 생산하였고, 이들 대사산물에 의해 항균력 및 생물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in CS, Alexander DH, Marks P, Klammer AA, Drake J, Heiner C, Clum A, Copeland A, Huddleston J, Eichler EE, et al. 2013. Nonhybrid, finished microbial genome assemblies from longread SMRT sequencing data. Nat. Methods 10, 563-569. 

  2. Couillerot O, Combes-Meynet E, Pothier J, Bellvert F, Challita E, Poirier M, Rohr R, Comte G, Moenne-Loccoz Y, and Prigent-Combaret C. 2011. The role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 2,4-diacetylphloroglucinol in the impact of biocontrol Pseudomonas fluorescens F113 on Azospirillum brasilense phytostimulators. Microbiology 157, 1694-1705. 

  3. Couillerot O, Prigent-Combaret C, Caballero-Mellado J, and Moenne-Loccoz Y. 2009. Pseudomonas fluorescens and closely-related fluorescent pseudomonads as biocontrol agents of soil-borne phytopathogens. Lett. Appl. Microbiol. 48, 505-512. 

  4. Ghirardi S, Dessaint F, Mazurier S, Corberand T, Raaijmakers JM, Meyer JM, Dessaux Y, and Lemanceau P. 2012. Identification of traits shared by rhizosphere-competent strains of fluorescent pseudomonads. Microb. Ecol. 64, 725-737. 

  5. Gliese N, Khodaverdi V, and Gorisch H. 2010. The PQQ biosynthetic operons and their transcriptional regulation in Pseudomonas aeruginosa. Arch. Microbiol. 192, 1-14. 

  6. Haas D and Keel C. 2003. Regulation of antibiotic production in root-colonizing Pseudomonas spp. and relevance for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 Annu. Rev. Phytopathol. 41, 117-153. 

  7. Hernandez-Salmeron JE, Moreno-Hagelsieb G, and Santoyo G. 2017. Genome comparis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UM270 with related fluorescent strains unveils genes involved in rhizosphere competence and colonization. J. Genomics 5, 91-98. 

  8. Redondo-Nieto M, Barret M, Morrissey J, Germaine K, Martinez-Granero F, Barahona E, Navazo A, Sanchez-Contreras M, Moynihan JA, Muriel C, et al. 2013. Genome sequence reveals that Pseudomonas fluorescens F113 possesses a large and diverse array of systems for rhizosphere function and host interaction. BMC Genomics 14, 54. 

  9. Silby MW, Cerdeno-Tarraga AM, Vernikos GS, Giddens SR, Jackson RW, Preston GM, Zhang XX, Moon CD, Gehrig SM, Godfrey SA, et al. 2009. Genomic and genetic analyses of diversity and plant interactions of Pseudomonas fluorescens. Genome Biol. 10, R51. 

  10. Tatusova T, DiCuccio M, Badretdin A, Chetvernin V, Nawrocki EP, Zaslavsky L, Lomsadze A, Pruitt KD, Borodovsky M, and Ostell J. 2016. NCBI prokaryotic genome annotation pipeline. Nucleic Acids Res. 44, 6614-66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