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업 붐 확산을 위한 창업지원정책 방안 연구
A Study on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y measures for Start-up boom sprea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201 - 209  

김용태 (남서울대학교 교양대학) ,  김종진 (중앙대학교 창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 및 공공, 민간 분야의 다양한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대다수의 예비 창업자 및 초기 창업자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발전되고 사업화 가능성이 제고되는 있는 반면에 일부 우수 참가자들의 사업 아이디어가 소멸되는 문제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창업경진대회 운영자와 주요 참가자 등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창업경진대회의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적이고 실무적인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경진대회 운영에서는 이벤트 성격의 탈피, 대회 진행시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공개 지양, 투입 시간을 고려한 수상금액 책정, 형식적 절차의 축소, 운영자들의 권위적인 태도 지양, 서류양식의 간소화, 발표자료 활용방식 개선, 경진대회의 목적과 모집대상의 정확한 명시 등이 요구된다. 둘째 전문성을 갖춘 심사위원 및 멘토진의 보완이 필요하겠다. 분야별로 전문성을 갖춘 심사위원 멘토 구성, 심사위원 구성 시 지역별 배분, 창업경험 보유 심사위원 위촉, 심사위원에 대한 사후 평가시스템 도입이 필요하겠다. 셋째, 제조업 등에 치중될 것이 아니라 산업분야별로 특성화된 경진대회 운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향후 연구에서는 운영주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실증적인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various start-up competitions have been held in the government,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business model of the majority of preliminary founders and early founders through the start - up contest, while improving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The purp...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7년 1월 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창업 활성화 방안에서도 창업 붐 확산 및 전 국민 관심도 제고를 위하여 전국민이 참여 가능한 이벤트를 통하여 창업 붐을 확산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창업 붐 확산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는 창업경진대회를 대상으로 국내·외 에서 진행되는 주요 창업경진대회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국내 창업경진대회 운영자 및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를 분석해보았다. 결론에서는 향후 창업 경진대회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 민간부문 창업경진대회 사례는 대표적으로 정주영 창업경진대회가 있다. 민간 재단인 아산나눔재단 주최로 2012년부터 열리고 있는 창업경진대회로, 지역별 창업 생태계 구성원들에게 기업가정신을 확산하고 창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망 창업가들(본 대회에서 발굴한 창업가들을 포함함)의 강연으로 구성된 지역설명회를 통해, 대회를 홍보할 뿐만 아니라 강연 자체가 창업 교육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창업경진대회 현황을 살펴보고, 운영 주체와의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다만 위에서 살펴본 여러 가지 실무적인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운영주체에 대한 나열식 설문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심층적인 인터뷰 및 실증연구를 통해 보다 학문적인 시사점을 가질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의 조사목적은 예비 창업자 및 잠재적 창업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창업경진대회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창업지원 정책에 대한 수요 등을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창업경진대회 운영 및 창업지원 정책 개선에 필요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함에 있다. 조사대상은 창업경진대회 운영자 100명, 일반국민 900명이며 총 1,000명으로 진행하였다.
  • 창업경진대회 수상자는 도전! K-스타트업을 비롯하여, 정부/공공, 민간 주최로 진행된 경진대회의 수상자 15명을 대상으로 창업경진대회의 참여목적, 참가 동기, 참가 과정에 대한 심층조사를 진행하였다. 심층조사를 통해 도출된 창업경진대회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사항을 바탕으로 창업붐 확산을 위한 창업 경진대회의 기본방향과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다양한 공모전·경진대회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경진대회 운영자 및 참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도출된 초기단계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향후 창업 붐 확산을 위한 실무적인 추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창업경진대회의 실태조사를 통해 기존에 운영되었던 창업경진대회 및 공모전의 객관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운영자 및 참가자가 가지고 있는 수요를 확인하였으나, 구조화된 일반 통계방식이 가지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심층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창업경진대회의 운영자, 대회 수상자 및 평가자 등 창업경진대회 생태계를 구성하는 구성원들과의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창업경진대회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였다. 창업경진대회 운영자는 13개 경진대회의 16명을 대상으로 심층조사를 진행하여 아래와 같은 문항을 중심으로 창업경진대회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다양한 공모전·경진대회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경진대회 운영자 및 참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창업경진 대회의 직접적인 참여자인 초기·예비 창업가와 잠재적 참여자인 일반 국민들 1,000명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창업경진대회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창업지원 정책에 대한 수요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창업 붐 확산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는 창업경진대회를 대상으로 국내·외 에서 진행되는 주요 창업경진대회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 창업경진대회 운영자 100명을 대상으로 창업경진대회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만족도 및 사후관리 방안에 대한 의견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창업경진대회 운영 전반을 위한 실태조사를 병행하였다. 일반국민 900명을 대상으로 창업경진대회에 대한 인식도, 창업경진대회 만족도 및 사후관리에 대한 부분, 창업 경진대회 입상시 입상 내용에 대한 조사들을 통하여 창업경진대회에 참가하는 참가자의 실재 수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창업경진대회 국내외 현황에 대하여 종합·진단하여, 향후 창업경진대회를 통한 창업붐 조성을 위해 정부부처에서 나아가야 할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각 창업경진대회가 참가자 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창업경진대회 참가자 중심의 수요와 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창업경진대회 및 공모전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실태조사를 통해 창업경진대회의 고도화를 위하여 필요한 항목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창업경진대회 운영자 100명을 대상으로 창업경진대회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만족도 및 사후관리 방안에 대한 의견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창업경진대회 운영 전반을 위한 실태조사를 병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업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의 결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정부 및 국회도 이러한 창업활성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창업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창업기업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질적으로는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우수 창업팀 발굴과 창업문화 조성의 창구가 되는 창업 경진대회, 공모전 등은 양적으로는 증가하였으나, 고도화와 실효성, 홍보효과 등 질적인 면에서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다양한 공모전·경진대회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경진대회 운영자 및 참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최근 우리 경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 경제는 기술혁신으로 생산성이 증대되는 한편 구조적인 영향으로 일자리가 감소함에 따라 청년 고용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가 성장의 패러다임을 창업기업 육성으로 전환 중이며, 창의인재를 육성하여 새로운 가 치를 창업활성화를 통하여 일자리 확대를 국가과제로 추 진하고 있다[1].
데모데이와 창업경진대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국내의 창업경진대회를 조작적으로 정의하면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팀 별 경쟁을 통해 선발된 팀에게 상금 등으로 시상하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2]. 창업경진대회와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데모데이’가 있는데 액셀러레이터 등의 보육기관이 창업팀의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는 행사로 투자유치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3]. 창업경진대회의 다수가 공공부문의 주도로 개최되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국방부가 주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BSON et al.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15/2016 Global Report, 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Association, London. 

  2. R. Baron & S. Shane. (2005). Entrepreneurship : A Process perspective, Southwestern, Thomson, Cincinnati, OH 35-62. 

  3. H. Barrett. (1996). Relations amo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marketing mix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School of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45-67. 

  4. B. R. Barringer. (1995).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achieving a fit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strategic management practices,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Missorri-Columbia, A Dissertation of Ph. D. 23-44. 

  5. S. Birley & P. Westhead. (1994). A taxonomy of business start-up reasons and their impact on firm growth and siz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9(4), 7-31. 

  6. E. H. Butter & D. P. Mooer. (1997). Women's Organizational Exodus to Entrepreneurship : Self-reported Motivations and Correlates with Succes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24(4), 18-29. 

  7. J. G. Covin & D. P. Slevin. (1986).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level entrepreneurship scale,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Wellesley, MA; Babson College, 628-639. 

  8. W. B. Gartner. (1985).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scribing the phenomenon of new venture cre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696-706. 

  9. GEDI.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2017, The Global Entrepreneurship and Development Institute, Washington, D.C., USA. 

  10. J. F. Hair & W. C. Black.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11. S. M. Hitt & D. I. Sexton. (2001). Guest editor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strategic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ial Strategics for wealth cre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6), 479-491. 

  12. H. W. Yim. (2018). A Study on the Causes and Consulting Methods to Reduce the Differentiation of Incubator Center,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313-320. 

  13. I. C. Yoon. (2017). Effect on startup mentor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artup inten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265-273. 

  14. N. F. Krueger. (1993), The impact of prior entrepreneurial exposure on perceptions of new venture feasibility and desirability,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1), 5-21. 

  15. H. Leffel. (2008). Influencing entrepreneurial inten for new technology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in a university and entrepreneurs in a university environment, PICMET 2008 Proceedings, Cape Town, July. 

  16. G. T. Lumpkin & G. Dess. (1996).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1), 135-172. 

  17. K. S. Manning & D. Norburn. (1989). Developing a new ventures strategy,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4(1), 68-76. 

  18. A. H. Maslow.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 370-396. 

  19. D. Miller. (1983).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29(7), 770-791. 

  20. OECD, Entrepreneurship at a Glance 2016, OECD Publishing, Paris. 

  21. S. Scheinberg & L. C. MacMillan. (1988). An 11 Country Entrepreneurship Study of Motivations to start a Business, Frontier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Wellesley, MA;Babson College, 669-687. 

  22. J. A. Schumpeter.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 

  23. A. Shapero. (1982).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University of Illinois Academy for Entrepreneurial Leadership Historical Research Reference in Entrepreneurship. 

  24. H. Stevenson & J. C. Jarllio. (1990). "A paradigm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anagement",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2, 1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